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저와 대화해 볼래요?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배워가는 속도는 급격히 빨라졌다. 영어로 하는 말도 이해하는 듯했다.훈련이 끝난 뒤 코코는 1000개 이상의 단어를 수화로 표현하고, 2000개 이상의 영어 단어를 듣고 이해할 수 있게 됐다. 단어들을 조합해서 자신이 보고 느낀 것도 표현할 줄 알았다. 예를 들어, 평소 아끼던 고양이가 교통사고로 ... ...
- [Knowledge] 거대 악어의 반격이 시작되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먹는 먹이가 서로 달라서 서식지를 사이좋게 공유할 수 있었던 거다.아름다운 과거를 뒤로 하고악어는 지난 2억 5000만 년 동안 수많은 변화를 겪었다. 2억 년 전에 있었던 초대륙의 분열로 급격한 환경변화도 겪었고, 6600만 년 전의 소행성 충돌 사건도 목격했다. 이런 재앙에도 불구하고 악어는 ... ...
- Part 1 그들은 왜 아이를 죽였나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남아 있었다.학대의 대물림은 자녀학대로만 이어지지 않는다. 학대 피해자는 성장한 뒤 자신을 학대한 부모를 살해하기도 한다. 존속살해 사건은 표면적으로 경제적인 문제와 가정불화 등 원인이 다양하지만, 그 밑바탕에는 학대로 인한 상처가 자리 잡고 있는 경우가 많다. 2011년 서울 광진구에서 ... ...
- 알면 알수록 신기한 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둥근 공 모양인 반면 용반류 공룡이나 조류 알은 길쭉해요. 이들은 난관을 한 번 수축한 뒤 알을 낳기 때문에 알 끝이 눌리며 뾰족해진 거랍니다.반면 무척추동물의 알은 다양한 형태를 하고 있어요. 예를들어 식물에 알을 낳는 곤충의 알은 밑면이 납작해야 잎이나 줄기에 안정적으로 붙어 있을 수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반짝반짝 오로라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없고, 저기 급식실 냉장고에 먹을 게 있을 거야. 그럼 나 먼저 간다!”오로라는 시원이를 뒤로하고 밖으로 뛰어 나갔어요. 시원이는 배가 너무 고파서 급식실로 걸음을 옮기다가 멈췄어요. 밤에 혼자 돌아다니는 오로라가 왠지 걱정됐거든요. 기숙사 밖으로 나가자 오로라는 뭔가를 골똘히 보고 ... ...
- [소프트웨어] 신선한 채소가 매주 집으로! ‘만나CEA’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동아리에서 전기 자동차, 경주용 자동차 등을 함께 만든 ‘절친’이었다. 군 제대를 한 뒤에는 함께 태양광 발전소를 설계하는 일을 했는데, 평생 할 수 있으면서도 가치가 있는 일이 뭔지를 고민하다가 농업에 뛰어들게 됐다.이곳에는 스타트업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능력을 갖춘 인재가 두루 모여 ... ...
- [과학뉴스] 마비 환자, 기타를 잡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치기도 했다. 보턴 연구원은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연구는 사고를 당한 뒤에도 뇌가 신호를 정확히 발생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줬다”면서 “컴퓨터라는 우회로를 통해 마비된 부위를 움직일 수 있다는 희망이 생겼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4월 13일 ‘네이처’에 실렸다 ... ...
- [과학뉴스] ‘아가미 필터’ 노하우 밝혔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3월 29일자에 발표했다. 금붕어와 고래상어 등의 어류는 아가미로 바닷물을 빨아들인 뒤 물속에 들어 있는 먹이만 걸러내 먹는다. 아가미가 일종의 필터 역할을 하는 셈이다. 아가미 필터는 찌꺼기 때문에 막히는 일이 없고, 필터 구멍보다 더 작은 입자들까지도 걸러낸다.연구팀은 원리를 알아내기 ... ...
- [과학뉴스] 스티븐 호킹의 ‘인터스텔라’ 계획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디자인했다. 약 1000개의 나노크래프트를 발사체에 실어 지구 밖으로 내보낸 뒤, 지구에서 발사한 레이저로 이들을 추진해 우주로 날려 보내는 계획이다. 속도는 광속의 5분의 1 수준으로, 오늘날의 우주선으로는 3만 년 걸리는 거리를 나노크래프트는 20년 안에 주파할 수 있다. 비행하는 동안 촬영한 ... ...
- PART 2 "젊은 연구자들에게 기회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부족하던 과거에는 식당A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박사급연구자가 많아진 뒤에는 자연스럽게 식당B와 같은 구조로 바뀌어야 연구생태계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부나 과학계가 나서서 공급(신규 박사학위자)을 줄이고 수요(스태프 과학자 등 박사급 연구개발 일자리)를 ... ...
이전4574584594604614624634644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