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38만 년이 지난 다음의 모습만을 볼 수 있어요. 하지만 중력파는 빅뱅이 일어나고 10-32초
뒤
부터 볼 수 있답니다. 중력파는 오랜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인 셈이에요.처음 전자기파를 발견한 헤르츠는 ‘전자기파는 아무 데도 쓸 데가 없다’고 말했어. 하지만 오늘날 인터넷이나 전화 통화 등의 무선 ... ...
[수학뉴스] 이제는 함께 토론하며 수학 공부하자!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주제를 정해 이를 해결해 보는 것입니다. 주제가 정해지면 관련된 자료를 모으고 분석한
뒤
그 결과를 정리해 발표합니다.이 수업은 평균이나 표준편차 등을 구하는 따분한 통계 수업에서 벗어나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를 친구들과 함께 고민하고 해결해 나가는 토론형 수업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 ...
[소프트웨어] 눈 더미보다 더 빨리~ 날아라, 스키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곳으로 뛰어내리면 공기 저항을 받아 세찬 바람소리가 들리고, 머리카락과 옷자락이
뒤
로 젖혀져요. 또 실제처럼 중력가속도를 고려했기 때문에 캐릭터가 움직이는 속도도 일정한 크기로 점점 빨라지지요. 낭떠러지의 높이가 높을수록 땅에 닿았을 때 달리는 속도가 빨라져요. 에너지의 총합은 ... ...
[과학뉴스] 낙타 유전자 다양성의 비결은 ‘여행’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단봉낙타는 지난 3000년 동안 사막을 여행하는 사람들의 발이었다. 하지만 단봉낙타가 어떻게 가축화됐으며, 그 과정에서 어떤 유전자들이 선택됐는지는 알려진 ... 최초로 가축화된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야생 단봉낙타는 가축화가 일어난
뒤
약 2000년
뒤
에 멸종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 ...
[News & Issue]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양말 밑바닥에 있는 오줌 주머니를 통과하게 했다.착용자가 양말을 신고 걸으면 발
뒤
꿈치에 있는 펌프가 눌리면서 오줌이 24개의 고무 튜브 회로를 순환한다. 오줌이 미생물 연료전지를 지나가면 안에 든 미생물이 전기를 만든다. 연구팀은 이 시스템으로 무선 송신기에 전기를 공급해 ‘세계 최초 ...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미세먼지가 생기는 과정을 밝히기 위한 대규모 연구가 한반도의 하늘·바다·육지에서 동시에 이뤄지고 있다. 한국과 미국의 연구진이 참여해 5월 2일 ... 자료를 모은 다음, 자료를 공유하면서 동시에 종합적인 해석을 위한 워크숍을 진행해 1년
뒤
쯤 연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화합물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물질들이 만들어진
뒤
어떻게 변하는지 불과 1초 안에 일어나는 과정까지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연구자가 좋은 아이디어만 있으면 무궁무진한 응용연구를 할 수 있다.Q : 가속기는 한국 과학계에 어떤 의미인가.A : 세계적인 기초과학 연구 ... ...
[Photo] 침철석(Goethite) 괴테에게 헌정된 광물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보여주는 또 다른 사례는 화석이다. 예컨대 나무 화석은 나무가 화산재나 모래 등에 덮인
뒤
오랜기간에 걸쳐 목질 부분이 석영으로 치환된 것이다. 겉보기에는 나무 같지만 실은 광물질이다. 흔히 알고 있는 삼엽충과 암모나이트 화석 등도 유사한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광물의 희귀성만큼 중요한 ... ...
[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박사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연구단에 포함됐다.오 박사는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에서 1987년 박사 학위를 받은
뒤
지금껏 로봇 개발에 매진해 온 순수(?) 공학도. 그런 그가 의학 등 학문의 기반이 다른 이들과 함께 연구하는 데 어려움은 없을까. 그는 “의료진과의 협업에는 문제가 없다. 모르면 물어보면 된다”며 “그보다는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반응했고, 이를 본 조테르만은 간지럼이 통각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
뒤
의 연구들도 간지럼은 통각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뒷받침했죠. 그런데 1990년, 이와 반대되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영국 신경질환국립병원의 피터 나탄 교수가 척수손상으로 통증을 못 느끼는 환자들이 ... ...
이전
453
454
455
456
457
458
459
460
4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