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경쟁하는 너? 스트레스 받는 나!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말 한마디에 안절부절 못하는 우스꽝스러운 일이 벌어지는 것이다. 경쟁의 일상화
뒤
에 드리워진 어두운 그림자과도한 경쟁적 분위기는 사회경쟁적인 측면에서 많은 부작용을 낳는다. 예를 들어, 경쟁에 목매는 언론 환경이 불러일으킨 결과는 아주 치명적이다. 온통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기사가 ... ...
[Knowledge]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는 거야?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박사팀은 여기서 멈춘게 아니었다. 도마뱀이 능숙하게 여닫이문을 여는 영상을 촬영한
뒤
이 영상을 네 마리의 다른 턱수염도마뱀들에게 보여줬다. 여닫이문을 여는 영상을 시청한 도마뱀들은 과연 그대로 따라 할 수 있었을까.놀랍게도 영상을 시청한 네 마리의 도마뱀들은 모두 여닫이문을 여는 ...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지적이 있다. 인공 와우귀에 장착한 마이크로폰에 들어온 소리가 몸 바깥(혹은 귀
뒤
)에 휴대한 음성처리장치에서 적절한 전기신호로 변조돼 귀 안에 이식한 다채널 전극에 무선 전송된다. 여기서 나온 전기 신호가 청신경을 자극한다. 1990년대에 이미 제품화됐고, 이를 이용해 2012년까지 ... ...
[Tech & Fun] 당신이 이불 밖으로 나가지 못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곧잘 무기력해진다. 미국의 사회심리학자 로이 바우마이스터는 에너지원을 고갈시킨
뒤
보충하지 않으면 정신력이 필요한 과제의 수행능력이 급격히 떨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바우마이스터는 ‘귀차니즘’은 사용 가능한 에너지가 적어서 휴식을 취해야 한다는 신호라고 설명했다. 만약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툴툴거리며 남은 세월을 살아갈 것이다. 하지만 은성에 대한 사랑은 그대로일 것이고 그
뒤
로도 윤정의 일부로 남아 그녀의 삶을 풍요롭게 할 것이다. 그리고 그건 좋은 일이라고, 정말로 좋은 일이라고 윤정은 생각했다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38만 년이 지난 다음의 모습만을 볼 수 있어요. 하지만 중력파는 빅뱅이 일어나고 10-32초
뒤
부터 볼 수 있답니다. 중력파는 오랜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인 셈이에요.처음 전자기파를 발견한 헤르츠는 ‘전자기파는 아무 데도 쓸 데가 없다’고 말했어. 하지만 오늘날 인터넷이나 전화 통화 등의 무선 ... ...
[수학뉴스] 수영하면 수학 성적이 오른다?!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수영이나 댄스 같은 방과후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지를 조사했습니다. 그런
뒤
그들이 초등학교를 졸업하기 전 예측되는 수학 시험 성적과 실제 성적을 비교했습니다.그 결과 방과후 스포츠 활동에 참여한 청소년은 수학 성적이 1.5배 높아졌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영어와 과학 성적도 ... ...
Part 2. 수학으로 정체 밝히는 ‘플래닛 나인’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아홉 번째 행성이 맞을지, 또 그보다 먼 곳에 열 번째 행성이 있을지 궁금해진다. 5년
뒤
를 기다려 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태양계의 9번째 후예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Part 2. 수학으로 정체 밝히는 ‘플래닛 ... ...
[SW 기업 탐방] 라온스퀘어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예를 들어 화면을 터치하면 원하는 콘텐츠가 나타나도록 하는 식이다. 프로젝트가 끝난
뒤
에도 의뢰인이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관리할 수 있도록 관리 프로그램도 만든다.디자인과 소프트웨어 기술이 조화를 이루는 라온스퀘어의 문화는 이들이 만드는 광고에도 녹아 있다. 과거 한 모터쇼에서 ... ...
[과학뉴스] 피부에 넣은 태양전지로 전기 만든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6~7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6m) 두께의 얇은 태양전지 기판을 유연한 필름 위에 붙인
뒤
, 투명하고 생체 적합성이 높은 물질로 코팅해 생체에 무해한 태양전지를 만들었다. 이것에 발광다이오드(LED)를 붙여 쥐의 피부 속에 넣자 태양빛을 받아 LED에 빛이 들어왔다. 연구팀은 또 심장이 불규칙하게 ... ...
이전
453
454
455
456
457
458
459
460
4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