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양말 밑바닥에 있는 오줌 주머니를 통과하게 했다.착용자가 양말을 신고 걸으면 발뒤꿈치에 있는 펌프가 눌리면서 오줌이 24개의 고무 튜브 회로를 순환한다. 오줌이 미생물 연료전지를 지나가면 안에 든 미생물이 전기를 만든다. 연구팀은 이 시스템으로 무선 송신기에 전기를 공급해 ‘세계 최초 ...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주장하는 이들도 있지만 뚜렷한 증거가 없고 반론도 만만치 않다. 신경세포에 침투한 뒤 어떻게 세포를 망가뜨리는지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자가 면역반응을 일으켜 스스로 자살을 하게끔 한다는 것이 유력한 가설이지만 증거가 더 필요하다. 브라질 정부는 올해 안에 백신을 개발하겠다고 ... ...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화합물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물질들이 만들어진 뒤 어떻게 변하는지 불과 1초 안에 일어나는 과정까지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연구자가 좋은 아이디어만 있으면 무궁무진한 응용연구를 할 수 있다.Q : 가속기는 한국 과학계에 어떤 의미인가.A : 세계적인 기초과학 연구 ... ...
- [Knowledge]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찾거나 먹는 행동을 반복하는 데 비해, 콜로부스 원숭이는 나뭇잎을 한번 많이 먹은 뒤에는 거의 움직이지 않는다. 마치 코알라처럼, 나무 위에서 쉬면서 뱃속에 있는 나뭇잎을 발효하는 데 대부분의 시간을 보낸다.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섬에 사는 일부 원숭이들도 초록 잎을 주식으로 삼는다. 각각 ... ...
- Part 3 "취업로봇 수술 하고 싶은 나, 비정상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있습니다. 보도에 우과동 기자입니다.기자서울 동대문구에 사는 A씨. 대학을 졸업한 뒤 2년째 취업에 성공하지 못해 지난 달 큰 결심을 내렸습니다. 팔의 신경과 로봇 팔을 연결하는 근력 증강 수술을 받기로 한 겁니다.취업 준비생 A씨 큰 수술이니까 무섭긴 하죠. 우리 부모님 세대가 많이 했다는 ...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반응했고, 이를 본 조테르만은 간지럼이 통각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 뒤의 연구들도 간지럼은 통각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뒷받침했죠. 그런데 1990년, 이와 반대되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영국 신경질환국립병원의 피터 나탄 교수가 척수손상으로 통증을 못 느끼는 환자들이 ... ...
- [Career] 계산과학·공학을 쉽고 빠르게, 에디슨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탑재된 콘텐츠 중 마침 적당한 게 있었다. 세 명의 학생은 매뉴얼을 보며 독학한 뒤 시뮬레이션을 돌려 기존 피아노와 전혀 다른 화음을 만들었다. 두 달에 걸친 연구 끝에 논문이 나왔다. 이 논문은 올해 3월 미래창조과학부가 주최한 ‘제5회 에디슨 SW활용 경진대회’에서 고등부 최우수상을 받았다 ... ...
- PART 1 크다고 다 빅데이터일까?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있다. CCTV로 모은 데이터로 범죄자가 범죄를 일으키기 전에 어떤 행동을 하는지 분석한 뒤, 비슷한 행동을 하는 사람들이 있는 장소를 순찰해 예방하는 것이다. 그러면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범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마치 영화 속에서나 있을 법한 이런 이야기는 이미 빅데이터로 현실이 되고 ... ...
-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value수학동아 l2016년 06호
- 00번 인용될 정도로 유명합니다. 재현성 문제의 원인은 여러 가지입니다. 수십 번 실험한 뒤 한 번 성공한 것을 논문으로 썼을 수도 있고,의미 있는 결과를 내기 위해 입맛에 맞게 데이터를 변형했을 수도 있지요. 그 중 연구자가 잘 몰라서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P-value’입니다.연구자들은 ...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천천히 지구로 떨어뜨릴 수 있다. 인공위성이 이렇게 궤도를 바꿀 때는 임무를 다 마친 뒤 스스로 소멸할 때다. 김 교수는 최근 우주쓰레기 문제가 심각해지며 항력 돛이 더욱 각광을 받고 있다고 했다. 고도 450~700km 사이에는 전세계가 쏘아 올린 위성 수백 개가 아슬아슬하게 서로를 피해 궤도를 ... ...
이전4514524534544554564574584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