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최시원, 꽃처럼 피었다 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오로라를 생각하며 민들레 한 송이를 꺾는 순간, 누군가가 팔로 시원이의 목을 감싼 뒤 어딘가로 끌고가기 시작했어요.“으악~! 누…, 누구…? 헉! 지원군 선배?”“조용히 해! 누가 보면 어쩌려고 그래?”“도대체 왜 이러시는 거예요? 목 아프잖아요!”“네가 지금 무슨 짓을 저지른 건지 모르겠어 ... ...
- PART 1. 캐릭터 만드는 4가지 비법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수 있습니다. 이렇게 골라낸 빛줄기가 결국 조명에서 나와 캐릭터의 표면에 부딪힌 뒤 카메라의 렌즈로 들어가는 빛인 셈이거든요. 꼭 필요한 빛만 고려하니까 계산을 줄일 수 있지요.캐릭터의 표면 위 한 점에 부딪히는 빛줄기가 많을수록 그 부분은 환하고 부드럽게 보이고, 빛줄기가 적을수록 ... ...
- Part 2. 좀비의 공격에서 살아남으려면?수학동아 l2016년 07호
- 그 시간은 확 줄어든다.울리 박사는 “만약 좀비가 2시간 거리에 있다면 대략 4시간 뒤에는 좀비의 공격을 받게 된다”면서, “재빨리 도망쳐 좀비와 맞닥뜨리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늘려야 한다”고 설명했다.좀비는 24시간 쉬지 않고 사람을 쫒기 때문에 언젠가는 사람을 공격하게 된다는 것이다. ... ...
- [재미] 7화 쳇바퀴를 돌리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방법을 얘기했는데, 그게 확률론 공부의 출발점이었죠. 그러다 죽을 고비를 한 번 넘긴 뒤에는 철학과 종교로 관심을 돌리게 됐습니다.”“그럼 그 이후로는 수학 연구를 하지 않은 건가요? 그런데 왜 탑에 가둔 것일까요?”“아까 말했듯이 이 쳇바퀴가 그리고 있는 곡선이 문제였어요. ... ...
- [과학동아] 상처 난 곳까지, 출동 피부세포!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공초점 현미경으로 확인했다. 피부세포는 자기를 고정시키고 있는 단백질을 녹인 뒤 아메바처럼 기어서 이동했다. 상처 부위에 도착해서는 새롭게 세포 분열을 시작해 녹였던 단백질을 굳혀 상처를 봉합했다. 존스 교수는 “피부세포의 이동을 촉진하면 피부궤양이나 화상 부위의 피부 재생을 도울 ... ...
- [과학뉴스] 우주팽창, 예상보다 빠르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빛이 326만 년 동안 가는 거리) 떨어진 별은 초당 73.2km씩 멀어지고 있었다. 이는 98억 년 뒤에는 두 천체가 기존의 예상보다 두 배 더 멀어진다는 것을 의미했다.연구를 주도한 미국 존스홉킨스대 아담 리스 교수는 “이 발견은 암흑에너지, 암흑물질, 어두운 방사선 등 우주의 95%를 구성하면서 빛을 ... ...
- [News & Issue] “나, 실험실 돼지 남다른 돼지가 됐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크리스퍼로 유전자를 편집한 돼지 배아에 사람의 유도만 능줄기세포(iPS)를 주입시킨 뒤, 대리모 돼지의 자궁에 착상시키는 데 성공했다. iPS세포는 2006년 일본 교토대 야마나카 신야 교수팀이 만든 줄기세포로, 체세포를 역분화시켜 여러 다른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게 한 줄기세포다. 연구팀은 ... ...
- [News & Issue] 장기기증자의 눈물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한국의 생존 기증자 수는 매년 최대치를 경신해 2015년에는 1929명을 기록했다. 과연 30~40년 뒤 이들의 건강은 어떤 상태일까.‘어린 사람 장기를 나이 든 사람에게’ 도 문제한국의 이 같은 특수 상황이 정점으로 치닫는 사례는 바로 미성년자의 장기 기증이다. 우리나라에서 이뤄지는 생존자 간 이식 ... ...
- 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분석 비용이 적어 부담 없이 검사할 수 있다.명절날 눈이 반쯤은 커진 채로 족보를 뒤져 자신의 이름을 찾던 심정으로(절대 기자의 이야기는 아니다!), 자신의 미토콘드리아 하플로그룹을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도 있다. 미국에서는 이미 10년 전부터 성행 중이고 개인이 직접 하플로그룹을 확인할 수 ... ...
- [Knowledge] 페르마, 진짜 여백이 부족했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케임브리지대에서 타원방정식을 전공하고 미국 프린스턴대 수학과에 교수로 자리 잡은 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에 도전하는 기나긴 여정을 시작한다. 타원방정식은 타원의 둘레나 행성의 궤도를 계산할 때 사용하던 방정식으로, 다음과 같은 형태를 띠고 있다. 페르마의 정리와 생김새가 좀 ... ...
이전448449450451452453454455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