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뱃돈이 사라진다?! 미래의 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건너 뛰고 스마트폰만 단말기에 갖다 대면 간편하게 결제가 이뤄지지요. 페이 서비스 뒤에는 어떤 정보통신 기술이 숨어 있을까요? 첫 번째는 토큰화 기술이에요. 토큰화 기술은 실제 카드 번호대신 가상의 카드 번호(토큰)를 사용해 스마트폰 안에 있는 카드정보를 안전하게 지켜 주는 기술이에요 ... ...
- [핫이슈] 잠든 책이 깨어난다! 구스범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불리는 늑대인간의 이야기는 고대 그리스 문학과 신화에 먼저 등장한 뒤 전세계로 퍼졌죠. 털로 덮인 피부와 얼굴은 늑대의 모습을, 체형은 사람의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랍니다. 또 보름달이 뜨면 나타나고, 은으로 만든 무기에 약하죠.그런데 늑대인간에 대한 전설이 그냥 지어낸 ... ...
- [지식]SHERLOCK열혈 팬, 천재 수학자를 만들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퀸즈 칼리지에 머물렀다면 그는 분명 불의 뒤를 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다른 사람이 불의 뒤를 잇는 교수가 됐다는 건 모리아티가 이미 다른 학교에서 교수가 됐다는 뜻이다. 즉, 1863년에 그의 나이는 이미 21세 이상이었다는 뜻이다.어느 학교의 교수가 됐을까?소설에 따르면, 모리아티는 작은 ... ...
- [지식]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생긴다’는 신문 기사를 읽었어요. ‘수리생물학’이라는 단어를 처음 들은 거예요. 그 뒤로 수리생물학 책을 찾아서 부대에서 1년 동안 열심히 읽었어요. 저한테 정말 재미있었고 결국 이 분야를 공부하기로 결정했지요.수리생물학에서는 어떤 문제를 연구하나요?예를 들면 생체시계와 암이 어떻게 ... ...
- [소프트웨어]앱으로 나를 소개하자!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아래에 표시됩니다. ▲ Blocks 버튼(❶)을 클릭해 블록 모드로 이동합니다. ❷를 클릭한 뒤 When ~ Click 블록을 드래그해 화면으로 가져갑니다(❸). ▲ ❶을 클릭하고, ❷처럼 call ~ Speak 블록을 When ~ Click블록에 조립합니다. ▲ 최종 모습이 이렇게 되도록 합니다.여기까지 다 되었나요? 스마트폰 화면을 ... ...
- [News & Issue]굶주린 아기새, 커서도 먹이 집착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작은 찌르레기는 몸집이 큰 찌르레기와의 경쟁에서 밀려 먹이를 잘 먹지 못했다. 열흘 뒤 찌르레기 새끼들을 동일하게 먹이가 풍족한 환경으로 옮겼다.10개월 뒤, 연구팀은 성체가 된 찌르레기들이 먹이에 어떻게 접근하는지 관찰했다. 새끼 때 먹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은 찌르레기는 양은 적지만 ... ...
- [News & Issue]다이아몬드 능가하는 신구조 탄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1나노초는 10억 분의 1초) 동안 레이저로 가열해 순간적으로 온도를 3700C°까지 올린 뒤 급히 식혔다. 그 결과 다이아몬드 구조에 거품이 생긴 것 같은 새로운 구조가 나타났다. 이것을 ‘불을 끄다(quench)’라는 단어와 연관지어 Q-탄소라고 명명했다.Q-탄소는 기존의 탄소 구조들과 완전히 다른 특징을 ... ...
- [News & Issue]사회성의 천재, 붉은털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하는 행동이 아이의 정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믿던 당시 사회 분위기를 완전히 뒤바꿔놓았다. 할로는 비윤리적인 실험을 강행했다는 이유로 여전히 손가락질 받고 있지만, 그가 이 실험을 통해 얻어낸 연구 결과는 인간의 본질을 좀 더 이해하는 계기가 됐다.인간과 93% 닮은 붉은털원숭이허 ... ...
- 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단백질을 억제해 암세포의 증식을 막았다.“우리가 처음 광유전학과 단백질을 결합한 뒤부터, 다른 경쟁 그룹들도 비슷한 기술들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기술개발경쟁이 심해지고 있다는 것이죠. 새로운 기술을 만드는 사람으로서 어쩔 수 없는 숙명인데, 치열한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남들보다 ... ...
- [Knowledge]전투면역 세포 백혈구의 재발견, 뉴트로필 리턴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세포 바깥에 그물처럼 생긴 덫을 만들어 침입자를 묶습니다. 이런 상태로 거리를 좁힌 뒤에 침입자를 공격해 다른 세포의 피해를 최소화합니다. 유속이 빨라 침입자에게 접근하기 어려운 혈관에서도 유용합니다. 손 대표 당신네들은 어떤 독한 훈련을 하기에, DNA를 밖으로 꺼내고도 멀쩡한 ... ...
이전4734744754764774784794804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