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쥐가 알려 주는 교통사고 방지 전략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반사된 초음파가 돌아오는 시간에 따라 다른 박쥐와의 거리를 알아낼 수 있거든요. 그 뒤 날갯짓을 4~5번 할 동안 다른 박쥐가 날아가는 방향을 알아내고, 날아갈 방향을 다른 쪽으로 바꿀 수도 있답니다.그런데 혹시 제 외모를 보고 제가 도와 줄 거라 생각했나요? 박쥐는 외모와 달리 착한 ... ...
- 지친 곤충들만 오세요~! 곤충호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안에서 열매를 먹으며 자라요. 그러다 이듬해 봄이 되면 애벌레는 똥을 가득 싸 놓은 뒤 도토리를 탈출한답니다. 4월쯤부터 어른이 된 도토리바구미를 만나 볼 수 있을 거예요.최숙영 숲 해설가님의 재미있는 설명을 들으며 숲길을 걷는 동안 한 봉지 가득 나뭇가지가 모아졌어요. 기자단 친구들은 ... ...
- [지식] 진단, 나 너 믿어도 돼?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받았다. 검사 결과는 ‘음성’이였다. 메르스에 걸리지 않았다는 뜻이다. 그런데 이틀 뒤 다시 한 번 받은 검사에서는 메르스에 걸렸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 학생은 진단 검사를 여러 번 다시 받았고, 3번 음성 판정이 나와 퇴원했다. 강남 모 병원에 입원한 30대 남성도 처음에는 검사 결과가 ... ...
- [참여] 게임카페 1기, 첫 번째 수업 상상력과 논리의 멋진 조화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많지 않았어요. 여기저기서 “조금만 더요~!”라고 외치는 소리에 예정 시각을 넘긴 뒤에야 끝이 났답니다.자랑스런 우리의 게임마지막으로는 부모님들까지 모신 채로 각자 만든 게임을 발표했어요. 조별로 판넬을 들고 앞으로 나와 마이크를 돌려가면서 한 명도 빠지지 않고 모두 발표했어요. ... ...
- 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년 전에 박테리오파지에서 처음 발견됐지만 인간에서 발견된 것은 2009년이 처음이다. 2년 뒤에는 미국 하버드대 연구팀이 TET 단백질이 5mC를 산화시켜 5hmC를 만든다는 것을 밝혀냈다.아직까지 5hmC가 정확히 어떤 기능을 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특별한 기능 없이 단순한 경유지에 불과하다는 ... ...
- Part 1. 탐식의 시작 : 처음 밝혀진 조선시대 미슐랭 가이드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파로 양념을 한 뒤 다시 볶거나 삶아야 훌륭한 맛이 난다’ 등 구체적으로 설명을 한 뒤, “이것이 바로 박 초정(박제가)의 개고기 요리법입니다”라고 적었다.박제가는 반찬을 만드는 솜씨도 좋았다. 특히 말린 늙은 호박을 이용해 나물 무침을 맛깔나게 만들었다. 당시 호박은 절에서만 먹는 ... ...
- “실제 사람 다리로 미라를 만들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인간의 성장과 발달, 원시 병리학 등이 관심 주제고, 미라도 그런 관점에서 연구했다. 5년 뒤부터는 고대의 DNA를 본격적으로 연구할 계획이다. 이미 청동기와 신석기 사이 그리스인들의 유전적 변화를 연구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Q 한국의 미래 인류학자들에게A 역사와 고고학을 열심히 ... ...
- ‘키스하는 수병과 간호사’ 오후 5시 51분에 찍혔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미국 뉴욕주 맨해튼을 촬영한 사진 수백 장과 당시의 지도를 분석한 결과, 연인의 오른쪽 뒤에 보이는 알파벳 ‘BOND’에 그림자를 만든 것이 주변에 있는 ‘애스터 호텔’이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리고는 당시 지형을 재현한 모형을 만들고 여기에 빛을 비춰 시간에 따른 그림자의 변화를 ... ...
- 바닷속 경주에서 만난 수중 고고학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발견되면, 사라진 파편을 복원하는 건 연구사의 몫이다. 석고로 비어있는 부분을 만든 뒤 기존 유물과 유사한 색으로 칠하는 복원 작업이 필요하다. 정용화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는 “문화재를 다룰 땐 반드시 다시 원래대로 되돌릴 수 있는 물질을 써야 한다”며 “현재 사용하는 복원 ... ...
- 중력파 검출, 초읽기 들어가나?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있다. 리사는 인공위성 세 대를 우주에 띄워 정삼각형 모양의 레이저 간섭계를 만든 뒤 중력파를 검출하는 프로젝트다. 왜 굳이 검출기를 우주로 올리는 걸까. 저주파 영역의 중력파는 지구 지름보다도 훨씬 긴 파장을 가지기 때문이다. 일부 블랙홀이나 펄사 쌍성계에서 오는, 주파수가 0.1mHz에서 0. ... ...
이전5005015025035045055065075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