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안에 사람이 들어가면 높은 주파수를 가진 전자파를 순간적으로 발사해요. 그러면 잠시
뒤
에 뇌에 흡수됐던 전자파가 다시 방출돼요. 이 신호를 컴퓨터가 계산해서 뇌의 속을 보여 주는 영상을 만드는 거예요.성능이 좋은 MRI가 개발되면서 뇌 연구도 활발해졌어요. 뇌에 있는 혈관만 찍은 영상과, 각 ... ...
[지식] 안테나, 우주의 소리를 듣다!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포물면의 곡률이 달라져도 포물선의 축과 나란하게 들어오는 빛은 포물면에 반사된
뒤
모두 초점으로 향한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포물선의 초점에서 나온 빛은 포물면에 반사돼 포물선의 축에 평행하게 멀리 잘 뻗어나갈 수 있다.우여곡절 끝에 세상에 알려진 전파천문학은 후대의 ... ...
[생활] 디자인 놀이터에서 즐기는 수학데이트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없는데도 건물이 안정감있고 튼튼해 보여요. 어떻게 가능할까요?비밀은 건물 외벽
뒤
에 숨어 있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와 ‘메가트러스 공법’에 있답니다.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란 오른쪽 그림처럼, 건물 외벽 마감 공사를 하기 전 철골을 이용해서 3차원으로 만든 내부 ... ...
우주론을 바꾼 역사
뒤
편의 영웅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여겨지게 된 것은 또 다른 역사의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1993년 미국국립학술원이
뒤
늦게 앨퍼와 허먼에게 헨리 드레이퍼 상을 수여하면서 “우주의 진화에 대한 물리적 모형을 발전시키기고 우주배경복사의 존재를 예측”한 공로를 치하했지만 말이다. 함께 만들어가는 과학의 길역사는 언제나 ... ...
[Knowledge] 우주의 풍경을 그려내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두 은하는 가스로 이뤄진 마젤란 다리(Magellanic Bridge)로 연결돼 있다. 또 소마젤란은하
뒤
쪽 방향으로 가스의 흐름(마젤란 흐름)이 길게 이어져 있다. 이 흐름의 기원은 25억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두 은하는 서로 충돌할 뻔 했는데, 그 영향으로 가스의 흐름이 만들어졌다. 이후 두 은하가 ... ...
아리따운 꽃집 주인 ‘꺼끄니 꼬단파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꺼끄니 꼬단파라는 꽃을 사랑하는 마음을 보여 달라며 다짜고짜 썰렁홈즈를 꽃집
뒤
켠에 있는 꽃밭으로 데려갔다. 다섯 개의 직선으로 구역이 나눠진 꽃밭에는 작은 꽃 모종들이 자라고 있었다.“저는 이 꽃밭을 아름답게 꾸미고 싶어요. 그러려면 한 구역에 하나의 꽃만 배치해야 해요. 그런데 ... ...
올록볼록~! 종이로 만든 동화 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모양을 각각 그리고 칼로 잘라요. 이렇게 자른 종이를 접거나 구부려서 입체감을 준
뒤
, 층층이 풀로 붙여서 조립하면 완성이에요. 종이 조각 사이에 층층이 다른 종이를 넣어서 공간을 약간씩 넓혀 주면 더욱 입체적인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답니다.황정아 작가는 앞으로도 다양한 종이 작품을 만들 ... ...
바지락 VS 꼬막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흰살 조개에는 헤모글로빈 대신 헤모시아닌이 들어 있지요.꼬막은 여름에 산란을 한
뒤
가을이 되면 춥고 매서운 겨울을 나기 위해 살을 찌워요. 따라서 10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의 꼬막이 살이 많고 쫄깃쫄깃해 맛이 가장 좋답니다 ... ...
밤마다 그린라이트를 켜는 귀신버섯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그 결과, 가장 빛을 많이 내는 시기는 22시간을 주기로 돌아온다는 것을 알아냈답니다. 그
뒤
연구팀은 귀신버섯과 비슷한 인공 버섯을 만들었어요. 초록색 LED를 넣은 인공 버섯과 빛을 내지 않는 인공 버섯으로, 두 버섯의 표면을 끈적하게 만들어 곤충이 얼마나 접근했는지 측정할 수 있도록 했지요 ... ...
마지막 한 방울의 케첩까지 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안쪽 벽면은 마치 아주 가는 송곳으로 구멍을 뚫어놓은 것 같은 모양이 되지요. 그
뒤
표면을 다시 매끄럽게 만들어 주기 위해 2차 코팅을 한답니다. 그러면 1차 코팅에서 생긴 구멍이 *모세관 현상을 일으켜 2차 코팅제가 잘 달라붙을 수 있어요.2차 코팅제는 내용물에 따라 종류가 달라져요. ... ...
이전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