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 아벨상 수상자 세머레디 교수 난제 해결의 실마리는 가벼운 문제에서수학동아 l2014년 12호
- 학문이 아닙니다. 여러분의 자산으로 수학을 활용할 날이 반드시 찾아옵니다.”강연 뒤 기자는 세머레디 교수와 단독으로 만나 더 자세한 이야기를 들었다. 세머레디 교수는 아벨상 수상 당시 너무 바빠 아내가 인터뷰를 대신한 적도 있었다며 너스레를 떨면서 이야기를 시작했다.“가벼운 ... ...
- 환자는 의사에게, 의사는 수학자에게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없을 때 혈액 순환이 어떻게 가능한지도 연구해 논문을 발표했다.태아는 수정 3~4주 뒤에 심장 판막이 생기는데, 판막이 생기기 전에도 혈액의 순환을 관찰할 수 있다. 이런 태아의 혈액의 흐름을 추적해 새로운 수리 모델을 설계한 것이다. 이러한 심장 방정식은 판막의 기능이 약해진 환자의 치료를 ... ...
- [참여] 수학을 배우고, 나누고, 즐기는 제4회 창의적수학토론대회!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내에 해결하는 게 핵심이다.창의력수학토론대회는 네 단계의 평가를 통해 점수를 합산한 뒤 결과가 좋은 학생들을 뽑아 상을 준다.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대상 1팀, 학년별로 금상 1팀, 은상 2팀, 동상 3팀, 창의으뜸상, 상상으뜸상, 릴레이상, 장려상을 뽑는다. 이날 대상은 수학 토론에서 두드러진 ... ...
- PART3. 핵융합의 장점과 발전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먼저 생각한 기술은 가속기로 중수소 빔과 삼중수소 빔을 각각 높은 에너지로 가 속시킨 뒤 서로 충돌시키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핵융합이 일어날 확률이 너무 낮아 실용화될 수 없었다.이후 과학자들은 양자역학적 터널링 효과를 통해 핵융합 반응이 쉽게 일어나도록 하는 방법, 즉 고온의 ... ...
- [hot science] 천문학자가 본 ‘인터스텔라’ 중력은 차원을 넘나들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뒤, 웜홀을 통해 정보를 보낼 수밖에 없다. 김 그룹장은 “케플러우주망원경이 발사된 뒤 외계행성이 7000~8000개나 발견됐지만 행성의 구성성분이 제대로 밝혀진 것은 10개가 채 안 된다”며 “앞으로 25m 거대 마젤란 망원경이 완성되면 외계행성에 대한 정보도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 ...
- [hot science] 영조와 사도세자 정신병원에 오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 그녀는 “곧 그러겠다”고 답했다. 오늘 정말 고마웠다며 두둑한 흰 봉투를 건넨 뒤 병원을 떠났다. 다음 날 하루 종일 그녀를 기다렸지만, 아무도 오지 않았다. 아버지가 날 죽이려 하는데, 아무도 날 믿지 않아 한 달쯤 지난 어느 날 저녁. 퇴근을 준비하는데 김 간호사가 다급하게 들어왔다. ... ...
- [knowledge] 지도를 4가지 색만으로 칠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순탄치 않았다.“컴퓨터 증명은 수학 본질에 맞지 않다”이렇게 지난한 과정을 거친 뒤, 결국 4색 문제는 컴퓨터가 증명했다. 이제는 ‘4색 정리(four color theorem)’로 불린다. 1976년 미국 일리노이대 케네스 아펠(1932~2013년)과 볼프강 하켄(1928~ )은 새로운 방법으로 4색 문제에 접근했다. 지도 모양에 ... ...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싶다면 물이 묻은 휴지로 지워버리면 된단다.색이 바뀌는 요술 사인펜펜으로 글씨를 쓴 뒤 또 다른 펜으로 쓱 그으면 색이 변하는 요술 사인펜도 있어. 용액에 따라 지시약의 색이 변하듯 잉크와 잉크가 만나 색이 변하는 거야. 날 이용하면 알록달록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단다.글과 그림이 소리가 ... ...
- 똑 소리 나는 교관 ‘대충하지 마림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절도 있게 걷는 훈련부터 다시 배운다.“앞으로 가! 좌향 앞으로 가! 우향 앞으로 가! 뒤로 돌아 가! 우향 앞으로 가! 제자리에 서!”미션2 몸 튼튼 마음 튼튼, 체력훈련“군인은 뭐니 뭐니 해도 체력이 좋아야 한다!”다음은 체력단련 훈련이었다. 길게 늘어진 밧줄을 타고 올라가야 한다. 위에 달린 ... ...
- PART 3 웜홀 타고 우주여행 가능할까?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몇 시간 만에 다시 우주정거장으로 돌아왔지만, 이미 지구의 시간은 수십 년이 흐른 뒤였다. 첫 번째 행성이 블랙홀 근처에 있었던 터라 중력이 강해 시간의 흐름이 느리게 간 탓이다.이어 탐사대는 두 번째 행성에 가기로 결심한다. 하지만 여기도 인간이 살 수 없는 척박한 곳이었다. 돌아온 그들은 ... ...
이전5355365375385395405415425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