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5. 핵융합의 난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가둬져 있다. 이 때 가스레인지(외부 에너지 공급)를 이용해 물 온도를 100℃까지 올린
뒤
가스레인지를 꺼 보자. 물의 온도가 떨어지는 시간은 주전자의 보온 성능과 관련이 있다. 물이 식는 데 더 오랜 시간이 걸리는 주전자가 보온 성능이 좋은 주전자다.이 원리를 핵융합 장치에도 적용해 보자.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추진 로켓도 장착한다. 제논 가스에 전압이나 자기장을 걸어 전자와 양이온으로 분리한
뒤
무거운 양이온을 빠른 속도로 가속시켜 내뿜는 이온엔진은 연료효율이 좋다. 시속 1만5000km까지 우주선을 가속시키기 위해 기존 화학로켓은 연료를 3500kg이나 쓰는데, 이온로켓은 540kg만 있으면 된다.소행성 ... ...
[knowledge] 출발! 오로라 여행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특이한 현상으로 취급했지만, 시간이 흘러 허블우주망원경을 이용해 정밀한 관측을 한
뒤
에야 목성에서 발생하는 오로라 현상으로 밝혀졌다. 특이하게도 목성은 태양에서 오는 하전 입자가 오로라를 만들지 않는다. 목성은 자전 속도가 10시간 정도로 매우 빠른데, 이 때문에 생기는 전기 에너지가 ...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보통 성장하기까지 수천 만 년이 걸리는 데 비해 화성은 200~300만 년 만에 급격히 커진
뒤
다른 물체와의 충돌을 피해 지금의 크기가 됐다고 해요. 화성은 아기행성이 그대로 커서 어른이 된 셈이에요. 요즘 인간들의 운석학계에서는 행성의 ‘폭주성장(runaway growth)’이 가장 ‘핫’한 논쟁거리래요. ... ...
[life & tech] ‘강철 멘탈’ 되는 법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삶이 끝장난 것처럼 쉽게 좌절하던 사람이었다. 반면 중요한 일에서 크게 미끄러지고 난
뒤
에도 “다음에 더 잘 하면 돼”라며 넘어가는 사람도 있었다. 왜 어떤 사람은 작은 일에도 쉽게 좌절하고 어떤 사람은 덤덤히 넘어갈 수 있는 걸까? ‘멘탈이 강철같다’는 사람은 무엇이 다를까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질병민감성 등 겉으로 보이는 형질을 바꾼다고 알려져 있었는데 이 소장은 기존 개념을
뒤
엎고 유전자의 개수가 이런 차이를 낳는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 이 소장은 “개념은 새롭지만 현상 자체는 염기분석을 해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봤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면 ... ...
INTRO. Y의 몰락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인간의 염색체를 나열하다 보면 유난히 (작아서) 눈에 띄는 염색체가 하나 있다. 성별을 결정하는 성염색체, Y다. Y 염색체는 처음 생겨난 이래 지금까지 점점 줄어들 ... ‘몰락’하는 시대라고.▼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Y의 몰락PART 1.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PART 2.Y가 사라진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자녀의 성별에 관해 전해오는 시원통쾌한 이야기 하나. 아버지는 아들을 갖고 싶었지만 첫 아이는 딸이었단다. 아버지는 시시때때로 어머니에게 싫은 소리를 ... 생명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Y의 몰락PART 1.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PART 2.Y가 사라진 ... ...
[과학뉴스] 3년 만의 우주쇼,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천체사진가들이 찍은 월식 관측 사진을 공개했다. 이른 저녁부터 월식이 완전히 끝난
뒤
까지 극적인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서울 용산에 위치한 ‘과학동아천문대’에서도 월식 관측과 파티를 함께 한 개기월식 대축제가 열렸으며, 아마추어 사진가들의 사진 촬영도 이뤄졌다 ... ...
[과학뉴스] 서울과 도쿄는 닮은 꼴 도시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그런
뒤
구역의 전체 넓이를 구하고, 각 구역을 둘러쌀 수 있는 최소의 원 넓이를 구한
뒤
서로 나눴다. 이 값을 X축으로 놓고 구역의 넓이를 Y축으로 삼아 그래프를 그렸더니, 도시마다 각기 다른 독특한 패턴을 그린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일종의 ‘도시 지문’이 된 셈이다.연구팀은 이런 방식으로 ... ...
이전
537
538
539
540
541
542
543
544
5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