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몸은 탈수 중 물 마시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역할을 하기 때문이지요.➋ 자주 마시자갈증이 나는 것은 이미 내 몸에 물이 부족한
뒤
에 나타나는 신호입니다. 따라서 갈증을 느끼지 않도록 활동하는 공간에 물을 놓고 자주 자주 마시는 게 좋아요.➌ 한 번에 500㎖이상 마시지 않는다.물을 한꺼번에 너무 많이 마시면 몸속 나트륨 농도가 낮아져 ... ...
Part 3. 총성 없는 전쟁, 사이버테러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재빨리 백신을 개발해 배포한다. 경찰청 사이버안전국에서는 현장에서 증거물을 확보한
뒤
어디서 공격해 온 것인지 알아내기 위해 IP 주소와 악성코드를 분석한다. 대부분의 사이버테러는 해외 IP를 경유하기 때문에 국제 협력도 요청한다.해킹 못 막으면 암호로!사이버테러를 막을 방법은 없을까? ... ...
[생활] 축구 선수의 팀 기여도 네트워크 분석으로 측정한다!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데 걸림돌이 됐다. 결국 소수 전문가들이 축구 경기를 관람한
뒤
각자의 의견에 따라 선수의 평점을 매기는 방식을 쓸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평가하는 사람이 주관적으로 점수를 매기는 방식은 기준이 들쑥날쑥하다는 문제가 있다.네트워크 분석으로 축구 선수를 평가한다!201 ... ...
[재미] 11회 지리산에 있는 벽돌집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찾기 위해 일부러 3년 전 한국에 왔어요. 누나가 반장님과 헤어진
뒤
에 실종된 걸 안
뒤
부터 반장님을 원망했어요. 그래서 반장님에게 복수하려고 곁에 머물면서 사건을 일으켰어요. 흐으윽.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반장님이 복수의 대상이 아니란 걸 알게 됐어요. 반장님과 함께 누나를 찾아야겠단 ... ...
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뜻이다. 이 모든 것은 100여 년에 걸친 교육과 투자의 결과다. 외국 바라기로 서양
뒤
만 좇지 않고 과감하게 자국의 생각과 힘을 키웠기 때문이다. 우리는 아직 그런 역사가 짧다. 이제 겨우 한두 명의 후보자나 유망주가 나오고 있다. 긴 시간 연구자를 기다려주는 문화도 별로 없다. 노벨상이 문제가 ... ...
PART 2.Y가 사라진 세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일찍 죽는 남성들 이제 남성을 XY 대신 Xy라고 부른다. 이유는 간단하다. 2억년 전 Y 염색체가 탄생하자마자 시작된 유전자 소실이 다시 시작됐기 때문이다. 3500만 년 ... 어떤 결과를 만들게 될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Y의 몰락PART 1.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PART 2.Y가 사라진 ... ...
[과학뉴스] 중력으로 그린 바닷속 지도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해구는 그 반대의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해수면 변화에서 기후 등 다른 효과를 제거한
뒤
, 이를 바탕으로 중력지도를 그려 바닷속 지형을 새로 밝혀내는 데 성공했다.연구팀은 이 지도를 이용해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지형을 찾기도 했다. 1000km가 넘는 해구가 걸프만에서 새로 발견됐다. 아프리카 ... ...
[knowledge] 우주 미아 찾기 대작전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다시 지구의 반대편으로 태양을 크게 돌아 17년
뒤
지구에 돌아온다. 이 탐사선은 17년
뒤
에도 파커와 만날 수 있을까? 파커의 대답은 “아니오”였다. 파커는 올해 81살이다. 위성이 다시 돌아올 때 그의 나이는 98살이 된다. ISEE-3호의 여정탐사선으로서의 기능은 끝났지만 ISSE-3호의 모험은 끝나지 ... ...
[life & tech] 당신의 발열공포가 아이를 괴롭힌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주장이 맞는 것 같다는 반응도 있다. 직장인 Y씨는 “몸살 감기에 걸렸을 때 이불을 푹
뒤
집어 쓰고 땀을 뻘뻘 흘리면서 한숨 자고 나면, 감기가 말끔하게 나은 듯한 기분을 느껴본 적이 있다”고 말했다. 이쯤 되니 헷갈린다. 어린아이가 열이 나는 건 위험천만한 일이니 열심히 열을 식혀줘야 할까,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삼은 ‘염색체 기반 인간프로테옴프로젝트(C-HPP)’가 공식 출범했다. 이 프로젝트는 10년
뒤
인 2022년 9월 9일에 종료될 예정이다. 현재 상염색체 22개와 성염색체인 X, Y 그리고 미토콘드리아를 분석하는 그룹까지 총 22개국 25개 그룹이 참여하고 있다.문제는 단백질을 만드는 인간 유전자는 2만30 ... ...
이전
540
541
542
543
544
545
546
547
5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