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 역사를 바꾼 가장 위대한 전쟁 명량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있어야 한다. 따라서 화포를 쏠 때는 정확하게는 아니더라도 대략적인 거리를 계산한 뒤 화포를 쏜다. 즉, 계속해서 배를 움직이면서 화포를 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하지만 날개 접은 학익진의 경우에는 조선군과 일본군의 형세가 원의 방정식을 따르기 때문에 군함을 움직이면서도 화포를 쏠 수 ... ...
- PART3. 인간에겐 아직 두 개의 무기가 남아 있습니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먼저 쥐를 바이러스에 감염시킨다. 쥐에게서 얻은 항체유전자를 박테리아에 넣은 뒤 담배세포 속으로 집어넣는다. 에볼라 항체를 생산한 담뱃잎을 갈아서 항체를 추출하면 끝이다(자세한 과정은 81쪽 참조). 지맵은 이런 방법으로 생산한 3가지 서로 다른 항체를 섞었다. 1개는 에볼라에 감염된 ... ...
- INTRO. 110km에서 슈퍼맨처럼 날아오르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자유낙하상태에 진입한 것 같았다. 본격적인 우주여행을 만끽할 시간이다. 의자가 뒤로 젖혀지면서 공간이 넓어졌다. 조종사가 안전벨트를 풀어도 좋다는 신호를 보냈다. 나는 슈퍼맨처럼 날아올라 가장 먼저 창문에 달라붙었다. 아마추어천문활동을 하는 나는 죽기 전 우주에서 별을 보는 게 ... ...
- 식물끼리 대화? “RNA로 해요”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자신의 생명을 유지한다.연구진은 새삼을 애기장대와 토마토를 숙주로 삼아 자라게 한 뒤 이들 세 식물의 전령RNA를 모아 염기서열을 분석했다. 그 결과 애기장대에 기생하는 새삼의 전령RNA 중 1.1%는 애기장대에서, 토마토에 기생하는 새삼의 0.17%는 토마토에서 유래했다는 것을 알아냈다. 반대로 ... ...
- [knowledge] 아름다운 과학과학동아 l2014년 09호
- 한 눈에 알 수 있는 그림으로 만들었다. 먼저 월별 사망자 수를 원인 별로 분류해 모은 뒤, 그에 비례하는 반지름의 부채꼴로 그렸다. 그림에서 푸른 색 영역은 위생 상태 때문에 죽은 병사의 수고, 붉은 색은 직접적인 전쟁으로 사망한 병사의 수, 그리고 검은색은 기타 원인이다. 부채꼴이 클수록 ... ...
- ‘생각하는 방법’ 가르치는 리버럴 아츠 과학 교육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대한 인기도 뜨겁다. 처음 개설됐던 ‘에너지와 인간’ 과목은 3학기째 계속되고 있고, 뒤를 이어 ‘음식과 약’이 2학기째 진행됐다. 지난 학기에는 ‘인간과 우주’가 추가로 개설됐다. 기회가 된다면 기자도 토론에 참여해보고 싶을 만큼 매력적인 주제들이다. 주제뿐만 아니다. ‘인간과 우주’ ... ...
- 나의 에디슨은 그렇지 않아!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언제 적 기사인지 궁금해서 찾아보니 1933년 기사였습니다. 에디슨이 죽고 2년이 지난 뒤에 나온 기사입니다. ‘이제는 말할수 있다’ 류의 기사인데, 이야기의 출처가 나와 있지 않습니다. “가까운 지인 몇 명만 알고 있었던 터라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다”면서 정작 자기들은 어디서 들었는지 말 ... ...
- ‘녹색 화성’에선 누에가 맛있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심해 태양광의 강도가 낮다. 따라서 우리는 먼지폭풍 위로 태양전지 풍선을 올린 뒤 케이블을 통해 전기를 내려 받는 방법을 개발했다. 풍선은 화성대기 밀도(0.015kg/m3)보다 가벼운 헬륨가스로 채웠고, 표면에는 광전지를 붙였다. 효율을 높이기 위해 주기적으로 광전지를 청소하거나 교체해야 한다는 ... ...
- 꿀벌 VS 말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애벌레를 말벌이 훔치러 오는 경우가 있어요. 그러면 꿀벌은 무리지어 말벌을 둘러싼 뒤 근육을 움직여 온도를 높이거나 이산화탄소를 내뿜어 말벌이 질식하게 만드는 등 꿀벌만의 방어를 한답니다. + 말벌 집을 발견하면?산에서 밤, 도토리를 줍다가 말벌집을 건드리는 경우가 많아요. 이 때 말벌을 ... ...
- [시사]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영광의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수학동아 l2014년 09호
- 함수에 0에서 1 사이의 수를 반복적으로 대입할 때 나오는 점의 자취가 시간이 오래 지난 뒤에 어떻게 이동할지에 대해 궁금해 했다. 하지만 이 문제는 30년이 지난 2000년대 초반까지도 풀리지 않는 어려운 문제였다. 바로 그때 혜성처럼 등장한 아빌라 교수가 동역학계의 모든 점의 자취가 특정한 ... ...
이전5445455465475485495505515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