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공원의 물고기, 사람만 보면 몰려드는 이유는?과학동아 l2014년 08호
- 20분씩 3일 동안 반복했다. 이어 12일 동안은 다른 수족관으로 옮겨 휴식기를 가졌다. 그런 뒤 다시 원래 수족관에 풀어 놓고 움직임을 관찰했다. 실험결과 금붕어들은 12일 전에 먹이를 주던 장소를 유독 반복해서 찾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실험을 이끈 트레버 해밀턴 박사는 “먹이가 있는 ... ...
- 양자컴퓨터 최강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있는 곳이었다. 김 박사는 귀국 후 퀀텀랩에 들어왔고, 그 때의 경험을 살려 세계 수준에 뒤지지 않는 이온트랩 양자컴퓨터를 만들기 시작했다. 조동일 서울대 교수팀과 멤스 기술을 이용해 이온트랩 칩을 개발했고, 여러 개의 이온을 포획하고 그 모습을 시연하는 데 성공했다.현재 이 분야의 최고 ... ...
- [Knowledge] 녹색식물도 키우는 ‘ 화성 호텔’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내가 그 비밀을 밝혀낼 수 있을까.홈, 마이 스위트 홈(Home, My Sweet home)지는 해를 뒤로 한 채 기지에 돌아왔다. 긴 그림자가 나보다 먼저 기지로 뛰어드는 기분이었다. 모듈에 들어가기 전, 수집한 지질샘플들을 행성과학실험 유닛의 외부에 있는 에어로크 입구에 넣었다. 먼지를 제거한 샘플들은 ... ...
- Part 1. 전격 분석! 필즈상의 모든 것수학동아 l2014년 08호
- 만든 사람은 캐나다의 수학자 존 찰스 필즈다. 그는 캐나다와 미국에서 수학을 공부한 뒤, 유럽으로 건너가 미타그 레플러와 같은 당대 유명한 수학자들과 교류했다.필즈는 이렇게 유럽에서 저명한 수학자들과 친분을 쌓으며 수학자들과의 교류가 얼마나 중요한지 느끼게 된다. 이에 유럽에서 다시 ... ...
- Part ➊ 수학자들의 올림픽, 세계수학자대회수학동아 l2014년 08호
- 하나 되게 만들자는 생각을 한다. 이에 1894년 국제올림픽위원회가 조직됐고, 2년 뒤인 1896년에 제1회 올림픽 대회가 그리스 아테네에서 열렸다.올림픽과 세계수학자대회 모두 4년에 한 번 열리는 것을 원칙으로 했지만,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났던 1914년부터 1918년까지, 그리고 제2차 세계 대전이 ... ...
- [시사] 수학계 라이징 스타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쉽게 말해 뾰족하게 튀어나온 부분을 말해요.대수다양체를 연구하면서 1970년대에 제기된 뒤 그때까지 풀리지 않았던 ‘로타의 추측’도 증명할 수 있었어요. 로타의 추측이란 미국 수학자 지안-카를로 로타가 제안한 것으로, 모든 그래프의 특성다항식들이 어떤 보편적인 부등식을 만족한다는 ... ...
- [체험] 손끝으로 만나는 수학세상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이매지너리수학동아 l2014년 08호
- 대한 인식을 바꾸고 일반인들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서였죠. 그해 독일에서 크게 성공한 뒤, 이를 바탕으로 유럽, 북미, 남미, 동남아시아 등 세계 각지에서 순회 전시가 이어졌어요. 우리 연구소에서도 ‘한국 수학의 해’를 기념해 오래 전부터 수학의 아름다움을 여러 사람들에게 소개할 만한 ... ...
- ❶ 행성의 타원궤도 - 뉴턴 미적분, 죽은 케플러를 춤추게 하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 아니라는 사실에 많은 사람들이 충격을 받았습니다. 불과 반세기 뒤, 또 하나의 충격적인 발견이 알려졌습니다. 요하네스 케플러라는 독일 천문학자가 관측을 통해 행성의 궤도가 타원이라 는 사실을 발견한 것입니다. 당시 상식으 로 행성의 궤도는 완전한 도형인 원 이외 의 ... ...
- ❷ 일반상대성이론 - 절친 수학자가 열어준 아인슈타인의 기적과학동아 l2014년 08호
- 혁명적인 발상 이었습니다. 먼 옛날 그리스 수학자 유클 리드가 기하학을 정립한 뒤 2000년 가까이 ‘평평한 공간’ 개념이 수학과 물리학을 지배하고 있었으니까요. 그런데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 자체가 휘어있다니,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어렵지요.아인슈타인 역시 처음에는 리만 기하학을 ... ...
- 초파리도 실연당하면 술을 마신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우연히 거꾸로 걷는 초파리를 발견했다. 이 초파리에는 ‘문워커(마이클 잭슨의 뒤로 걷는 춤)’라는 이름이 붙었다. 연구진은 이런 행동을 하게 하는 ‘문워커’ 신경세포가 단 7개로 구성돼 있으며, 중추신경계와 다리 근육 사이에서 스위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 ...
이전5485495505515525535545555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