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달콤한 유리창 품은 바삭한 쿠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들어 있는 밀가루인 강력분을 사용해요. 다른 밀가루 음식에 비해 반죽이 탄탄하고, 구운 뒤에는 쫄깃쫄깃하지요.바삭바삭한 쿠키나 부드러운 케이크를 만들 때에는 글루텐이 10% 이하로 가장 적게 들어 있는 밀가루인 박력분을 사용해요. 맛있는 전을 부치거나, 국수를 만들 때에는 글루텐이 ... ...
- 수학으로 달리는 똑똑한 지하철수학동아 l2014년 07호
- 있는 출발 신호기를 통과하기까지의 시간이다. t2는 역에 정차하고 있는 시간이고, t3은 뒤 열차가 역 안으로 들어올 때 가장 먼저 보이는 장내 신호기에 진입한 후 정차하기까지의 시간이다. t4는 폐색 신호기와 장내 신호기 사이를 주행하는 시간이다. 여기서 폐색 신호기란, 2대 이상의 열차가 ... ...
- Part 2. 직접교차분화, 암 뛰어넘는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세포에서 다른 쪽 세포로 질러가는 길만 있다면 굳이 어렵게 만능줄기세포로 되돌아간 뒤 다시 필요한 세포로 재분화시킬 이유가 없다. 더구나 한번 분화된 세포는 암으로 변하지도 않는다. 그렇다면 환자맞춤형 줄기세포 대신 직접 환자맞춤형 분화세포를 만드는 방법은 없을까? 암 가능성 ...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2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바이러스 ‘M13’을 이용해 물속에서 마그네슘 분자를 끌어당겨 산화마그네슘을 만든 뒤, 팔라듐을 소량 첨가해 전도성 높은 나노촉매를 완성했다. 기존 촉매보다 표면적이 넓어서 효율이 높으며, 유독한 화학물질 없이 물로만 만들 수 있어서 안전하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멍청아! ... ...
- 넌 컵으로 물마시니? 난 공기에서 빨아 마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개를 마치 땅에 나무를 심듯 세로로 고정시켜 두께 1cm 정도의 재료를 만들었다. 그런 뒤 재료의 위쪽 표면에 물을 끌어들이는 친수성 재료를 붙였다. 맨 위에서 친수성 재료가 공기 중의 습기를 끌어당기면, 물이 재료 내부의 소수성 탄소나노튜브 ‘숲’에 갇힌다. 스폰지가 물을 머금는 것과 비슷한 ... ...
- 인공지능 ‘Her’, 아직은 시기상조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말을 글자 그대로 받아들인 결과임을 알 수 있다. 만약 튜링이 엄밀한 근거 없이 50년 뒤의 미래를 적당히 예상해 던진 말이었다면 이야기는 완전히 달라진다. 김 교수는 “의견 차이는 있지만 상당히 많은 전문가가 유진은 튜링 테스트를 100% 통과했다고 할 수 없다고 한다”며 몇 가지 문제를 ... ...
- "SCV good to go, Sir"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이 계획에 따르면 탐사로봇은 일주일 동안 1km가량 이동하면서 1m 깊이에서 시료를 채취한 뒤 분석하게 된다. 이태식 한양대 교수는 “가까운 미래에 아예 달이나 화성 표면에 우주 광산을 개발하고, 그곳에서 나오는 광물을 이용해 현지에 우주 기지를 건설하는 날도 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SCV의 ... ...
- [시사] 360°로 보는 동그란 세상수학동아 l2014년 07호
- 직접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해 사진을 만들어 보았는데 멋있는 작품이 완성됐어요. 그 뒤로 홈페이지에 계속 사진을 올리며 사람들과 공유하고, 즐거움을 나누고 있습니다.뛰어난 카메라 장비가 없어도 누구나 작은 행성과 같이 구를 한 장의 사진으로 담을 수 있답니다. 여러분도 한번 도전해 ... ...
- 너희들은 수학으로 포위됐다수학동아 l2014년 07호
- 방법이다. ➋번 평면도는 꼭짓점을 기준으로 여섯 개의 삼각형으로 분할할 수 있다. 그런 뒤에는 각 꼭짓점을 서로 다른 세 가지 색으로 나눠 표시한다. 삼각형에서는 세 가지 색이 번갈아가면서 한 꼭짓점을 차지하기 때문에, 결국 그림 ➋와 같이 순서대로 꼭짓점을 색칠하게 된다.이때 각 꼭짓점은 ... ...
- [과학뉴스] 쿼크 6개로 이뤄진 新 입자 발견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스핀)을 통제시킨 중수소 핵을 가속기를 이용해 양성자에 충돌시켰다. 두 입자는 충돌 뒤에 새로운 입자들을 만들어냈는데, 이들이 튀어나오는 각도는 입자의 종류에 따라 달랐다. 연구팀은 측정기를 통해 이 각도를 재 이 가운데에서 이중중입자의 붕괴 생성물을 검출해내는 데 성공했다. 독일 ... ...
이전5525535545555565575585595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