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눈으로 세상을 제패한 빛의 지배자 - 삼엽충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이루어진 절지동물이다. 캄브리아기 초기인 약 5억2100만 년 전에 바다에서 처음 등장한 뒤, 페름기 말에 일어난 지구 최대의 대멸종 사건 때 사라지기까지 약 2억7000만 년 동안 바다의 주인공이었다. 연구된 종의 수만 2만 종이 넘고 지금도 계속 새로운 종이 발견되고 있다. 화석 생물로는 가장 다양한 ... ...
- 수학에 희망을 드립니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서적이자, 지금도 꾸준히 나오고 있는 ‘경문수학산책’ 시리즈다. 1994년 처음 나온 뒤 현재 43권까지 나왔다. 수학전공자와 수학교사가 읽고 주변에 알리기 좋은 주제로 돼 있으며 지금도 시리즈가 나올 때마다 기본적으로 1000부 이상씩 나가는 스테디셀러다. 대부분이 번역서이며 두 권을 국내 ... ...
- 다시 읽는 난중일기 거북선 정말 철갑선이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것에 비해 증거가 될 만한 자료가 없어 안타깝기만 하오. 내 기억은 희미하고, 문헌을 뒤져 이 사실을 밝혀내는 데도 어려움이 있으니 과학적 실험과 연구를 통해 밝혀낼 수밖에 없을 것 같소. 그리하여 내 친구들에게 부탁을 하려하오. 부디 훌륭한 과학자가 되어 거북선이 ... ...
- Part 1. 전격 분석! 필즈상의 모든 것수학동아 l2014년 08호
- 만든 사람은 캐나다의 수학자 존 찰스 필즈다. 그는 캐나다와 미국에서 수학을 공부한 뒤, 유럽으로 건너가 미타그 레플러와 같은 당대 유명한 수학자들과 교류했다.필즈는 이렇게 유럽에서 저명한 수학자들과 친분을 쌓으며 수학자들과의 교류가 얼마나 중요한지 느끼게 된다. 이에 유럽에서 다시 ... ...
- Part ➊ 수학자들의 올림픽, 세계수학자대회수학동아 l2014년 08호
- 하나 되게 만들자는 생각을 한다. 이에 1894년 국제올림픽위원회가 조직됐고, 2년 뒤인 1896년에 제1회 올림픽 대회가 그리스 아테네에서 열렸다.올림픽과 세계수학자대회 모두 4년에 한 번 열리는 것을 원칙으로 했지만,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났던 1914년부터 1918년까지, 그리고 제2차 세계 대전이 ... ...
- [만화뉴스] 가장 깔끔한 공중화장실을 찾는 방법은?수학동아 l2014년 08호
- 화장실의 개수를 변수로 해서 가장 깔끔한 화장실을 사용할 확률을 그래프로 나타낸 뒤, 미분을 통해 확인해야 할 화장실의 개수를 구한 것이다. 그 결과 전체 화장실의 37%를 확인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화장실의 개수가 100개라면 처음 37개의 화장실을 확인한 후에 가장 깔끔한 화장실을 ... ...
- [시사] 수학계 라이징 스타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쉽게 말해 뾰족하게 튀어나온 부분을 말해요.대수다양체를 연구하면서 1970년대에 제기된 뒤 그때까지 풀리지 않았던 ‘로타의 추측’도 증명할 수 있었어요. 로타의 추측이란 미국 수학자 지안-카를로 로타가 제안한 것으로, 모든 그래프의 특성다항식들이 어떤 보편적인 부등식을 만족한다는 ... ...
- [체험] 손끝으로 만나는 수학세상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이매지너리수학동아 l2014년 08호
- 대한 인식을 바꾸고 일반인들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서였죠. 그해 독일에서 크게 성공한 뒤, 이를 바탕으로 유럽, 북미, 남미, 동남아시아 등 세계 각지에서 순회 전시가 이어졌어요. 우리 연구소에서도 ‘한국 수학의 해’를 기념해 오래 전부터 수학의 아름다움을 여러 사람들에게 소개할 만한 ... ...
- 동토의 제국이 숨 쉬기 시작했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알래스카주 앵커리지 공항에서 꼬박 하룻밤을 샌 뒤 놈(Nome)으로 향하는 비행기에 올랐다. 놈은 3층 건물조차 드문 작은 항구마을로 앵커리지에서 출발하는 세계 최대 길이(1688km)의 개썰매 경주(Iditarod)가 끝나는 곳이다. 놈에서 2시간 가까이 북동쪽으로 차를 타고 가면 카운실(Council)이라는 오지가 ... ...
- Part 2. 별별 필즈상 이야기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참석하지 못했던 비운의 수학자 그리고리 마르굴리스는 미국 대학으로 자리를 옮긴 뒤 오희 교수를 지도했다.한편 러시아 출신 필즈상 수상자 막심 콘체비치의 아버지인 레프 콘체비치는 러시아 최고의 한국어 권위자다. 막심 콘체비치는 어렸을 때부터 아버지로부터 한글이 얼마나 과학적인 ... ...
이전5495505515525535545555565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