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fun] 다른 곳에는 없는 독특한 과학책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그런데 세월이 흐르니까 이게 다 저작권이 되더군요.” 문화가 한 번 스며들면 그 뒤에는 알아서 찾게 된다. 번역판이 잘 팔리지 않는 미국에 과학만화 시리즈를 출판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문화상품은 계속 퍼트려야 한다.취재를 끝내고 나서는 기자의 눈에 불그레 변해가는 도봉산의 모습이 ... ...
- [life & tech] 피노키오는 아이들의 거짓말을 줄였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나서 연구자는 아이에게 “자 솔직하게 얘기해봐. 아까 선생님이 잠깐 자리를 비웠을 때 뒤를 돌아봤니?”라고 물었다. 과연 어떤 이야기를 들은 아이들이 가장 거짓말을 적게 했을까. 놀랍게도 오직 조지 워싱턴과 체리나무 이야기(정직하게 행동했을 때의 ‘좋은 결과’를 강조한 이야기)를 들은 ... ...
- [2030 인류, 화성에 가다] 화성 올림픽 폐막 파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2008년 이소연 우주인 때 볶음김치, 고추장, 라면 등 10개 품목을 처음 개발해 제공한 뒤 점점 품목을 늘려갔다. 2014년에는 약 30개의 식품을 개발했고, 화성에 가던 2030년대에는 100종 이상의 제품을 보유하게 됐다. 우주인들이 여러 해 우주에서만 살아도 먹는 문제로 괴로워하지는 않을 수준이다. ...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경우, 광대뼈가 옆쪽으로 향해 있어서 앞에서 보는 얼굴은 갸름하고 옆에서 보면 앞뒤로 길다. 유럽인의 얼굴이 이렇게 옆에서 봤을 때 긴 이유는 무엇 일까. 그 기원은 네안데르탈인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네안데르탈인은 현생 인류와 별반 다르지 않은 모습을 하고 있었다. 이전 의 인류처럼 ...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별빛과 다름없는 태양빛 외에 내가 의지할 것은 아무 것도 없다. 그나마 태양풍이 뒤에서 밀어줄 때까지만 해도 마음이 편안했다. 하지만 지금은 별 사이의 망망대해를 맨몸으로 헤치며 항해하고 있다. 누군가 그랬다. 항해자의 운명은 그런 거라고. 내게 ‘항해자(보이저)’라는 이름을 붙인 사람은 ... ...
- 5th 마틴 가드너의 퍼즐 캠프수학동아 l2014년 10호
- 혹시 15퍼즐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15퍼즐은 4×4칸에 1부터 15까지의 숫자를 차례대로 놓은 뒤, 마지막 14와 15를 바꾸었을 때 다시 원래대로 돌릴 수 있는지를 묻는 퍼즐입니다. 저는 이 퍼즐을 소개하면서 처음으로 푸는 사람에게 1000달러를 상금으로 주겠다고 밝혔어요. 하지만 아무도 풀지 못했죠. ... ...
- PART 2. 광대뼈가 높을수록 진실한 사람이라고?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자신의 얼 굴이 행운이 따르는 얼굴인지, 종교적인지, 믿을만한지 등을 평가했다. 그 뒤 응답에 따라 따로 얼굴을 합성해 그 항목의 평균 얼굴을 만들었다. 즉 ‘나는 종교적이다’ 라고 평가한 사람들을 모아 ‘종교적인 사람’의 평균 얼굴 을 만드는 식이다. 이어 다시 온라인에 얼굴을 공개하고 ... ...
-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반해, 브링스요드 박사의 접근법은 “생명은 소중하다”는 큰 원칙을 프로그래밍 해준 뒤, 로봇이 스스로 사고를 피하는 방향으로 행동하게끔 해주는 것이다.그가 개발한 프로그램 하나는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라는 공리주의 원칙에 따라 결정을 내린다. 이 인공지능을 탑재한 돌봄 로봇은 ...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불임 벼가 만들어졌다. 허 교수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자포니카와 인디카를 교배시킨 뒤 불임이 아닌 종자를 다시 인디카와 교배시키는 3원 교배로 ‘통일벼’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통일벼는 기존의 자포니카 품종보다 30%나 생산성이 높았다.통일벼는 1970년부터 농가에 보급됐다. 박정희 정부의 ...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유전자가 계속 걸러지면 생물종은 오래오래 유지될 수 있을 거야.하지만 나이를 먹은 뒤 늙게 만드는 유전자는 자손을 남기는 데 영향을 미치지 않아서 그대로 살아남기 쉽단다. 결국 노화를 일으키거나 관련이 있는 ‘나쁜 유전자’들은 인간의 진화 끝에 살아남는 ‘승자’인 셈이지.“왜” 창문 ... ...
이전5415425435445455465475485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