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9,103건 검색되었습니다.
자면서 기억력 쑥쑥
과학동아
l
200612
전 단어 46개를 외우게 했다. 실험 참가자가 머리에 전극 4개를 붙이고 깊은 잠에 든
뒤
연구팀은 뇌에 75Hz급의 약한 전류를 1분 간격으로 5분간 5회 흘렸다. 숙면을 취한 다음날 아침 이들은 전날 외운 단어를 암기하는 시험을 치렀다.깊은 잠에 빠졌을 때 전류로 뇌를 자극한 그룹의 정답수는 잠들기 ... ...
INTRO 8일간 환상의 우주여행
과학동아
l
200612
이름을 써 보는 건 어떨까. 1961년 러시아의 유리 가가린이 지구를 떠나 우주를 체험한
뒤
440명이 넘는 사람이 우주비행사로 또는 우주여행객으로 우주여행을 즐기고 돌아왔다. 이제는 당신이 떠날 차례다.DAY 1 훈련우주여행은 돈만 있다고 할 수 있는 게 아니다. 우주공간은 지구와는 전혀 다른 ... ...
취향 따라 골라 입는 패션 우주복
과학동아
l
200612
디자인하기 위해 포물선 비행을 하는 러시아제 일류신(Ilyusin) 76호에 모델을 태운
뒤
몇 초간 무중력상태가 될 때 모델의 움직임을 사진으로 찍는 수고도 마다하지 않았다. 조만간 무중력 웨딩드레스를 입고 우주공간에서 결혼식을 올리는 광경을 볼 수 있지 않을까.지난 11월 2일 일본 도쿄대 ... ...
DAY 7 잠 못드는 우주의 밤
과학동아
l
200612
Flight)의 저자인 미국의 배너 본타는 남편과 함께 무중력 비행 시뮬레이션을 경험한
뒤
“키스조차 쉽지 않았다”고 밝혔다. 서로 접촉하는 것만으로도 상대방이 반대편 벽까지 튕겨나가기 때문이다.만약 사랑의 힘으로(?) 이 문제를 해결한다면? 우주공간에서 성교를 하고 임신도 할 수 있다. ... ...
생활 속 단위의 세계
과학동아
l
200612
식이다. 그렇다면 2.5평은? 가로와 세로를 금방 척으로 따지기 힘들고 ㎡로 면적을 환산한
뒤
에야 크기에 대한 느낌이 생긴다.1평은 키가 1.8m인 사람이 누울 만한 넓이라고 하지만 1m도 인간 냄새가 묻어나는 단위다. 나무에 매달린 과일을 따는데 씀 직한 막대기의 적당한 길이가 1m고, 무심코 물건을 ... ...
분단을 뛰어넘는 두루미 사랑
과학동아
l
200612
모여든다. 올해 태어나 처음 철원에 온 새끼 두루미는 어미가 가르쳐 준대로 2~3년이 지난
뒤
자신이 낳은 새끼를 데리고 다시 철원을 찾아올 것이다.겹겹이 가로막힌 비무장지대 철책도 두루미 가족을 막을 수 없다. 그들이 밟은 북녘 땅의 흙이 철원평야에 자연스럽게 스며든다. 지아비를 잃어 슬피 ... ...
쿨하게 열나게 온도의 과학
과학동아
l
200612
처음 알아낸 갈릴레이를 기리기 위해 이런 이름을 붙였다. 이 온도계는 갈릴레이가 죽은
뒤
인 17세기 말부터 제작됐고 1776년 설립된 독일의 한 회사가 제작 과정에 대한 특허를 갖고 있다. 이 회사의 제품은 약 0.2℃의 정밀도를 갖는다고 한다.갈릴레이도 ‘온냉계(Thermoscope)’라는 새로운 온도계를 ... ...
행복한 엔지니어 이달우 회장
과학동아
l
200612
만들어 군산화력발전소에 납품했다. 이 시설은 지금도 잘 가동되고 있다. 그
뒤
이 회장은 1973년 한국코트렐을 설립하고 본격적으로 환경산업에 뛰어들었다.국내 화력발전소와 제철소에 설치돼 있는 대부분의 전기집진기는 한국코트렐의 제품이다. 뿐만 아니라 대형 산업시설의 배기가스에 포함돼 ... ...
환자 만족 높이는 한·양방 협진
과학동아
l
200612
느끼는 정도와 타액 분비량을 측정했다.그 결과 환자의 78.3%가 백호가인삼탕을 복용한
뒤
평균 16.8일이 지나자 입마름 증상이 호전됐고 타액분비량도 늘었다.항콜린제는 위장 내시경 검사를 하기 전 구강의 분비물을 줄여 검사를 원활히 하기 위한 전(前)처치제로 많이 사용된다.1999년 일본 의사 ... ...
우주를 꿰뚫는 코드, 단순함
과학동아
l
200612
꿰뚫는다. 복잡한 미래는 예측하기 어렵고, 사소한 사건 하나가 일으킨 파문이 전체를
뒤
흔들지만 네트워크 깊숙이 숨겨진 ‘딥 심플리시티’가 모든 현상을 주도한다는 얘기다.우주에 널린 원재료로부터 복잡다단하게 진화해온 인간도 어쩌면 ‘딥 심플리시티’라는 기본 원칙에서 출발했는지도 ... ...
이전
556
557
558
559
560
561
562
563
5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