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9,103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눈에 씌인'콩깍지'의 정체
과학동아
l
200610
B와 13 둘 모두로 읽을 수 있는 애매한 그림(왼쪽)을 컴퓨터 모니터에 띄운
뒤
B로 읽으면 오렌지주스를, 13으로 읽으면 스무디를 주겠다고 했다. 오렌지주스는 신선하고 맛있었지만 스무디는 그렇지 않았다.특수카메라를 사용해 실험참가자들의 초기 안구 운동을 추적한 결과 실험참가자 대부분이 ... ...
손 씻는 행위가 죄책감 덜어 준다?
과학동아
l
200610
월 8일자에 발표했다.이들은 45명에게 과거의 나쁜 짓을 고백하게 한
뒤
이 중 22명만 비누로 손을 씻게 했다. 그리고 연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원생을 도와줄 것을 요청하자 손을 씻지 않은 사람의 74%가 요청에 응한 데 반해 손을 씻은 사람은 41%만 요청에 응했다.연구팀은“손을 씻은 사람은 ... ...
주몽의 炒鋼法(초강법) 비밀
과학동아
l
200610
탄소원자가 제거된 것이다. 주철을 녹여 미리 준비한 틀에 부어 화살촉을 제작한
뒤
이 화살촉을 녹지 않을 정도의 높은 온도에서 장기간 가열하면 표면에서 탄소원자가 나와 표면에 강철 층이 만들어진다. 고구려에서 주철소재가 생산됐으며 탄소함량을 낮춰 강을 생산하는 제강법이 있었음을 ... ...
내 머릿속의 국어사전
과학동아
l
200610
수 있는데 이들 가운데 3000개 정도가 실제 언어생활에 쓰인다. ‘ㄱㄴㄷ’순으로 분류된
뒤
‘ㅏㅑㅓㅕ’순으로 나눠진 실제 국어사전과 다른 방식이라 경제적이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 뇌는 실생활에 쓰이는 음절을 기억함으로써 자음과 모음에서 단어를 만들어내는 계산량을 줄이는 ... ...
태권V 생각만으로 조종하려면
과학동아
l
200610
미세전극을 시도했다. 신경세포에서 나오는 운동명령정보를 미세전극에서 받아들인
뒤
실시간으로 해석해 기계를 제어한다. 이런 기술은 1990년대 후반 컴퓨터 정보처리 속도가 급속히 발달함에 따라 많은 신경세포로부터 엄청나게 많은 정보를 해독하고 실시간에 기계를 조정하는 명령어로 변환할 ... ...
빛의 혼돈이 만든 초소형 레이저
과학동아
l
200610
샷이 이어질 때마다 관객들은 탄성을 질렀다.선수는 공과 공 사이의 각도와 방향을 잰
뒤
큐대를 밀어보지만 늘 예상대로 굴러가는 것은 아니다. 살짝만 빗맞아도 공은 기대했던 방향과 다르게 굴러간다. 즉 초기 조건이 조금만 달라져도 전혀 다른 결과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것이 혼돈 현상 즉, ... ...
그대에게 바치는 가을 보약
과학동아
l
200610
함께 달인 것을 ‘독삼탕’(獨蔘湯)이라고 한다. 동의보감에는 ‘허로(虛勞)로 피를 토한
뒤
에 몹시 여위고 기운이 약해진 몸을 치료한다’고 쓰여 있는데, 예전에는 기력이 매우 떨어진다든지 출혈이 심하거나 심부전으로 쇼크가 있을 때 구급약으로도 사용했다.인삼을 많이 먹으면 열이 나거나 ... ...
쥐의 코가 밝힌 가문의 체취
과학동아
l
200610
쥐의 코를 사용했다. 이들은 쥐들이 피실험자의 몸에서 나는 냄새에 익숙해지게 한
뒤
, 새로운 사람의 체취에 대한 쥐들의 반응시간을 조사했다.실험 결과 쥐들은 아무 관계가 없는 사람의 체취보다 피실험자 친척의 몸에서 나는 냄새에 더 빨리 반응했다. 예민한 후각을 가진 쥐가 체취를 통해 ... ...
충돌 은하에서 암흑물질의 비밀 밝힌다
과학동아
l
200610
질량 중심을 구했다. 그러나 질량 중심은 허블 우주망원경이 이 은하의 운동을 관찰한
뒤
얻어낸 질량 중심과 일치하지 않았다. 두 은하가 스쳐지나갈 때 전하를 가지고 있는 가스구름은 상호작용하며 그 자리에 남았지만, 전하가 없는 암흑 물질은 그대로 통과해 분리됐던 것.콜로웨 교수는“눈에 ... ...
명왕성 퇴출! 행성이 뭐길래?
과학동아
l
200610
둘러싼 논란이 다시 재연될 가능성이 높다. 교과서 개정은 좀더 시간을 두고 지켜본
뒤
해도 늦지 않을 듯하다. 왜행성 : 태양 주위를 돌며 둥근 천체로 영어명은 ‘dwarf planet’이다. 태양 같은 별의 최후인 고밀도 천체를 ‘백색왜성’(white dwarf)이라 부르는데서 착안한 명칭이다 ... ...
이전
560
561
562
563
564
565
566
567
5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