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방사능보다 더 무서운 괴담의 진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만들어 낸다는 사실은 연구로 증명됐어. 방사선을 쪼여 돌연변이를 만들어 낸 뒤 뛰어난 개체를 골라 키우는 ‘방사선 육종기술’이 대표적인 예지. 하지만 후쿠시마에서 동식물의 형태가 변하는 돌연변이가 급격하게 발생하기는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야.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김은희 ... ...
- 수학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는 이유는 유전자 탓?수학동아 l2014년 05호
- 불안감, 독해력, 수학 문제 해결력의 4가지 요소를 초등학교 저학년 때 처음 측정한 뒤, 쌍둥이들이 9살에서 15살이 될 때까지 최대 8번에 걸쳐 집을 방문하며 지속적으로 측정했다.연구팀은 이처럼 오랜 기간측정된 결과를 가지고 일란성 쌍둥이와 이란성 쌍둥이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 ...
- 별별 데이터 세상수학동아 l2014년 05호
- 맞지 않으면 즉시 엔진이 꺼진다. 또 운전자의 자세가 어떻게 바뀌었을 때 어떤 사고가 뒤따랐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면 운전자의 자세와 사고 사이의 관계도 알아낼 수 있다.신체 정보도 데이터화 시대미국 조지아공대 리서치연구소의 로버트 델러노와 브라이언 파리제 교수는 ... ...
- 세계 최대 사장교 러스키교에서 ∠, △, ⊥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4년 05호
- 있다. 즉, 17세기에 쓰여진 백과사전식 수학교과서였던 셈이다.이 책은 1634년 처음 나온 뒤, 1644년에는 두 번째 판이 출간될 정도로 큰 인기를 모았다. 특히 여러 수학자들의 논문이나 수학자들끼리 주고 받은 편지에도 이 책에 대한 이야기가 언급될 정도로 널리 읽혔다. 삼각형, 수직, 각도의 ... ...
- 김주황의 악당예찬2 -바이오닉 암보다 접합부가 문제 윈터솔져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관절은 x, y, z축과 깊이까지 총 4개의 축으로 움직인다. 손가락 끝에 젓가락을 묶은 뒤, 그 젓가락으로 무엇이든 집어 보자. 젓가락이 빠지던가, 손가락에 피가 통하지 않든가 둘 중 하나다. 이 때문에 아무리 뛰어난 의수를 개발하 더라도 아직은 늘 몸에 붙이기 힘들다. 가슴 근육으로 움직이는 ... ...
- 김주황의 악당예찬6 - 창 하나로 세뇌시킬 수 있을까 로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던 형이 이미 내정됐다. 유능한 둘째 왕자에서 악당으 로 변신한 로키는 내란에 실패한 뒤 우주를 방황하다 치타우리 족으로부터 ‘셉터’라는 창을 얻었다. 셉터의 주 요 기능은 상대를 세뇌하는 것. 물리학자인 에릭 셀빅 박사는 물론 쉴드의 1급 요원인 호크아이조차 순식간 에 세뇌당해 로키에게 ... ...
- 세월호 참사, 무게중심 흔들어버린 人災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이때 회전방향 안쪽에서 파도가 크게 치면 배가 좌우로 흔들리는 횡동요가 발생해 배가 뒤집어질 수 있다. 학계에서는 이런 전복사고를 ‘브로칭(broaching)’이라고 부른다. 빠른 조류가 세월호를 쓰러뜨렸을까이번 사고도 브로칭의 일종인데, 큰 파도가 치지 않았다는 것이 미스터리다. 세월호와 ... ...
- 우주 급팽창 첫 증거 발견, 그 이후 - 초끈이론이 흔들린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급팽창 모델을 구별하는 중요한 값들이 있는데 n, r, α가 대표적이다. 자세한 건 뒤에서 고민하고, 여기서는 바이셉2가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해서 그 값들을 구했다는 점만 짚고 넘어가자. 바이셉2의 결론은 n=0.96, r=0.2, α=-0.028이다.지금까지 표준 모델을 토대로 만든 대부분의 급팽창 모델은 r=0.1, α은 ... ...
- 술 먹는 초파리의 비밀, 뇌지도가 풀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기술이다. 프리브 교수는 초파리 3만7780마리의 신경 섬유에 일일이 빛을 쬐어 활성화한 뒤, 그 신경 섬유가 활성화할 때 초파리가 어떤 행동을 보이는지를 조사해 목록을 만들었다. 초파리의 ‘행동 뇌지도’가 나온 셈이다. 연구팀은 ‘장애물을 피하기 위해 도는 동작’ 등 특정 행동과 관련이 ... ...
- 투명망토로 지진파 돌려보낸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프랑스 그르노블 지역 인근 한 고산 지대에서 폭약을 이용해 인공 지진파를 일으켰다. 그 뒤 지진파의 진동주기를 측정하고 이를 제어할 수 있는 구덩이 크기를 계산했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깊이 5m, 너비 0.32m 크기의 구덩이를 1.5m 간격으로 촘촘히 파냈다. 여기에 인공 지진파를 일으켰더니 ... ...
이전558559560561562563564565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