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유속 단백질, 화재 막는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토리노공대 제니 알론기 박사팀은 면과 폴리에스테르 합성섬유 표면에 카제인을 바른 뒤 불을 붙이면 연소 속도가 눈에 띄게 감소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화학공학분야 국제학술지 ‘I&EC 리서치’ 최근호에 발표했다. 이에 따라 친환경적 난연제 개발에 대한 가능성이 커졌다. ‘난연제’는 불에 잘 ... ...
- “화공과 나오면 뭐 해 먹고 사냐고요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떡을 대량 생산하는 떡공장 같은 곳이에요.”3월 18일 경기 고양시 백양고 시청각실. 10년 뒤 자신의 모습이 궁금한 학생 70명이 과학동아가 주최한 진로특강 강의실에 모였다. 과학동아 3월호 정기 구독자 부록인 진로가이드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로 수업을 하던 중, 한 학생이 “화학과와 ... ...
- 나무 아파트, 몇 층까지 지어봤니?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모두 리히터 규모 6.7의 노스리지 지진(1994년)과 규모 7.0의 고베 대지진(1995년)을 겪은 뒤라 내진은 건축의 중요한 요소였다.연구진은 목조 아파트에 리히터 규모 6.5~7.3의 진동을 40초간 수차례 가했다. 엄청난 진동이 아파트를 때릴 때마다 벽체는 흔들렸고, 안에 있던 가구와 식기는 쏟아졌다. 아파트 ... ...
- [Knowledge] 히틀러는 왜 계속 태어나는가?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지도자의 노선에 반대하는 여론이 형성되기 힘들다. 마치 전쟁 준비를 하듯 지도자 뒤에 줄을 서게 된다. 리더의 편집적 성향이 사회 전체로 확산되는 것이다.정신분석학자인 프레드릭 쿨드리지와 다니엘 세갈은 히틀러, 사담 후세인, 김정일에 대한 연구에서 이들이 가학성이나 반사회성 성향과 ... ...
- 삼각형 내각의 합은 180°가 아니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기하학이 유일하다는 사고에서 벗어나 새로운 기하학을 구축한 것이다. 그리고 약 60년 뒤, 아인슈타인(1879~1955년)은 일반상대성이론을 발표해 우주가 평평하지 않고 중력에 의해 휘어 있음을 밝혔다. 이 과정에서 비유클리드 기하학은 중력으로 휜 공간에 대한 기초 이론을 제공했다. 현대 물리학의 ... ...
- 수학자 출신 억만장자 제임스 사이먼스수학동아 l2014년 04호
- 몰랐어요. 전 물리학에 대해 하나도 모르거든요. 사실 이 이론이 발표되고 10년이 흐른 뒤에야 물리학에 적용되기 시작했어요. 더 놀라운 것은 현재 이 이론이 전류를 6배에서 10배나 빠르게 흐르게 하고, 컴퓨터의 속도를 높이는 등 실생활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거예요.”기하학과 ... ...
- [생활] 생생한 화질 경쟁, 수학으로 앞서 간다!수학동아 l2014년 04호
- 문제에 흥미를 느껴 도전했다.이전에는 진드기의 번식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콩잎을 딴 뒤 사진을 찍어서 진드기의 크기와 개수를 분석했다. 콩잎 하나에 있는 진드기를 파악하면 계산을 통해 전체 재배 면적에 분포하는 진드기의 상황을 알아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진드기 사진을 찍을 때 ... ...
- 첨단과학무기의 산실! 국방과학연구소수학동아 l2014년 04호
- 하기 때문에 표적보다도 빨라야 해요. 게다가 정확성도 갖춰야 하죠. 그렇다고 마냥 뒤에서 쫓아가기만 하면 안 되겠죠? 친구랑 뛰어 놀 때를 생각해 보세요. 친구가 뛰어가는 방향을 예측한 사람이 먼저 친구를 잡는답니다. 마찬가지로 유도탄도 목표물의 방향을 미리 예측해요. 이때 삼각형의 비례 ... ...
- 초신성 폭발의 비밀 밝힐 실마리 찾았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하지만 그 경계가 모호하게 뒤섞이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내부에서 뒤섞인 뒤 별 밖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중심부의 무거운 물질이 별 밖으로 튕겨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아네드 교수팀이 발표한 초신성 폭발시 별 내부의 모습. 3차원 모델로 별 내부를 재구성했다. ... ...
- 물의 행성 지구, 수원지는 ‘맨틀’과학동아 l2014년 04호
- 그레이엄 피어슨 박사팀은 지하 410~660km 깊이의 맨틀층에서 만들어진 암석을 연구한 뒤 그 안에서 물을 발견하고, 결과를 ‘네이처’ 3월 13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브라질 중서부 지역에서 채취한 암석 ‘킴벌라이트’를 연구했다. 킴벌라이트는 화산 폭발로 맨틀 물질이 지표를 향해 마치 나무가 ... ...
이전5615625635645655665675685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