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10화 주사위의 방을 탈출하라
수학동아
l
2013년 10호
있었다.“다들 나왔지? 이제 빨리 문을 닫아!”그때 성난 주사위맨들이 뛰어오는
뒤
쪽에서 뭔가가 하나 날아들었다. 뚱뚱한 주사위맨이 던진 것이었다.“뭐지?”문이 닫히기 직전 폴이 반사적으로 날아오는 것을 잡았다. 이와 동시에 문이 큰 소리를 내며 닫혔다. 혹시라도 주사위맨들이 문을 열고 ... ...
세상이 나를 벗긴다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통보하기도 한다. 지우고 싶은 정보를 일일이 찾아내고 이 정보가 어떤 정보인지 설명한
뒤
삭제해달라고 요청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찾아보니까 대행해 주는 업체가 있다는 제보가 있어서 첨언. 국내 포털의 경우 데이터 센터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검색 결과에서 ... ...
나는 뒷골목 낭만고양이 입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한 방에 옆동네로 도망갔어요. 한 달도 안돼서는 뒷골목 모든 고양이를 제압했지요. 그
뒤
로 뒷골목 암고양이는 모두 대장냥이의 노예♥가 되었어요.대장냥이가 지배하는 이 동네에 얼마나 많은 고양이가 살고 있는지는 저도 잘 모르겠어요. 대부분 사람들의 눈에 잘 띄지 않는 곳에서 숨어 살고 ... ...
산호바다엔 뜨거운 남자들이 산다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센터의 대표적인 업적인 흑진주 양식도 빼놓을 수 없다. 2007년 시범 양식에 성공한
뒤
현재 상업 생산만을 남겨 놓고 있다.예외없이 검게 탄 이들을 보며 든 생각이 있다. 과학은 뜨거운 사람이 하는 거라는.마지막 날 아침, 한 시간 가량 연구소 주변을 돌아다녔다. 길에서 만난 주민들은 하나같이 ... ...
인도네시아로 날아간 GIST의 젊은이들 진화의 뿌리와 만나다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통해 나는 지극히 수동적인 자세를 가진 자신을 발견하고 반성하게 됐다. 그래서 이
뒤
로는 아주 사소한 것이라도 지도교수나 조교, 친구들과 서로 묻고 생각을 나누었다. 인터넷이 되는 곳이었다면 쑥스러워서 검색부터 해보았을 텐데, 거의 모든 통신 수단이 단절된 상태에서 오히려 거리낌없이 ... ...
게임이 꽃할배 만든다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개선돼, 훈련받지 않은 20대보다도 뛰어났다. 일시적인 결과인지 확인하기 위해 5개월
뒤
다시 측정을 했지만 여전히 뛰어난 성적을 보였다. 그래즐리 교수는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동시에 여러 작업을 해야 한다는 사실이 인지 능력을 높였다” 고 설명하면서도 “게임이 (뇌를 깨우는 데) ... ...
우리는 외계에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연구가 있다.영국 켄트대 연구팀은 바다에 사는 단세포 생물을 얼린 덩어리로 만든
뒤
물을 향해 초속 7km로 발사했다. 지구와 비슷한 행성에 운석이 충돌할 때의 속도다. 그 결과 미생물은 전멸하지 않고 살아남았다.외계 미생물이 냉동 상태로 우주공간을 날아와 지구에 떨어졌을 때 일부가 ... ...
과학동아가 선정한 이달의 책 - 쉡게 줄 수 있으면 난제가 아니지!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때 간절히 바란게 있다. ‘난제를 일반인도 알기 쉽게 풀어준 책이라도 한 권 있었으면.’
뒤
늦게나마 그런 책이 한 권 나왔다. 대중 수학서를 여럿 쓴 영국의 수학자이자 과학저술가인 이언 스튜어트의 책 ‘위대한 수학문제들’이다. 여기에는 소수와 관련된 골드바흐 추측과 파이와 관련된 원적 ... ...
너를 위한 이야기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어떤 방향에도 우열이 없는 줄을 안다. 늘 대비를 한다. 인류의 유전자는 분리를 택한
뒤
에도 다시 실험을 해 우리를 만들었다. 이곳에서도 유전자는 다시 실험을 해 너희들을 만들었다.유전자는 배움을 기록한다. 우리는 기호를 만들고 몸짓을 만들었다. 언어가 생겨나자 아이들은 말을 익히는 ... ...
[수학뉴스] 1/2은 피자 반 판! 실생활 예시를 꾸준히 가르쳐야
수학동아
l
2013년 10호
발표한 것이다.오사나 교수는 5~6학년 학생 70명을 모아 두 그룹으로 나눈
뒤
3주간 실험을 했다. 한 그룹에게는 분수의 의미를 보여 주는 실생활의 예를 지속적으로 가르쳐 줬다. 반면 다른 한 그룹은 첫 수업에서만 예시를 설명하고, 나머지 시간은 숫자만으로 진행했다.3주 후 학생들을 비교해 보니, ... ...
이전
586
587
588
589
590
591
592
593
5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