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다시 별의 낭만을 꿈꾸며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바라보는 일부터 알려준다. 맨눈으로 보고 쌍안경으로 본다. 복잡한 공간은 잊는다. 그 뒤 별자리 이름을 배우고, 그 다음 비로소 돌입하는 게 천구 개념을 이해하는 일이다. 허공의 3차원 좌표의 중심에 지구가 떠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면 별 관측을 위한 준비는 반이 끝난다.이제 우리가 사는 ... ...
- 환자의 가슴과 배를 열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방광결석 치료법, 얼굴 안면 봉합법, 의수와 의족을 고안했고 외과에 대한 저서를 남겼다.뒤이어 17세기 프랑스의 조르주 마레샬은 루이 14세와 루이 15세의 외과 주치의가 되어 외과의 지위를 내과와 대등하게 올리는 데 큰 기여를 했다. 그는 1731년 왕의 승인을 받아 ‘왕립외과아카데미’를 ...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서로 비교하는 일은 꿈도 꾸지 못한다. 미생물 하나하나를 배양해 염기서열을 분석한 뒤 비교해야 했던 과거에는 20~30개의 미생물 유전체를 비교하는 일도 버거웠다. 하지만 이제는 1만 개씩의 유전체를 서로 한꺼번에 비교할 수 있는 수준이 됐다. 이를 이끈 것은 차세대 염기서열해독기술이라는 ...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자리에서 로봇이 합선돼 불꽃이 튀기며 넘어지기도 했다.오 교수는 “의심스러운 시선을 뒤로 하고 새벽 2시에 겨우 로봇을 다 조립했고, 시운전에도 성공했어요. 그런데 대통령 앞에 내 보이는 로봇이니 보안검사를 받아야 했습니다. 할 수 없이 호텔 방문을 두들겨 새벽 2시에 잠을 자고 있는 ... ...
- 5년을 몰입하면 인생이 재밌어진다 (박흥식 한국해양과학기술연구원 태평양해양연구센터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바뀌지 않는 것이었다. 1990년대 후반 외환위기 때는 임시로 정규직으로 승진된 뒤 다시 ‘잘린’ 적도 있었다. 일률적으로 정규직 몇 %를 줄여야 했던 시기라 일부러 그를 정규직으로 올렸던 것이다. 2003년에야 정식으로 발령됐다. 비록 과기원에서 그를 돌보지 않은 시간도 많았지만 그는 묵묵히 ... ...
- 소통 전도사 안몽 동물회의장에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SSVEP : 모니터에서 3.5Hz~75Hz 주파수로 깜빡거리는 빛을 볼 때 빛과 같은 주파수로 뇌의 뒤 쪽에서 발생하는 뇌파를 의미한다.아바타 프로젝트, BBIBBI는 ‘뇌-뇌 인터페이스’(Brain-Brain Interface)의 줄임말로 한쪽 뇌에서 발생한 정보를 다른 쪽 뇌로 전달하는 장치를 가리킵니다. BBI는 BCI와 CBI가 합쳐 ...
- 수학을 사랑한 기기묘묘 음악가 열전!수학동아 l2013년 11호
- 교향곡 5번, ‘운명’을 들어보지 못한 사람은 아마 없을 거야. 특히 3번의 짧은 음 뒤에 긴 음이 따라오는 전주 부분은 음악사상 가장 유명한 도입으로 일컬어지지.그런데 제2차 세계대전 기간에 영국의 방송사 BBC가 모든 라디오 방송의 뉴스를 나의 이 유명한 도입부로 시작했어. 더욱 놀라운 건 제 ... ...
- 소설, 수학을 삼키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10억 명을 돌파했다. 그런데 불과 100년 만인 1920년 인구는 20억 명을 기록했다. 또 50년 뒤인 1970년에는 40억 명을 돌파했다. 2011년에는 70억 명을 넘어섰고, 현재 80억 명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프랑스국립인구연구소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5년에는 81억 명, 2050년에는 96억 명에 이른다고 한다.그렇다면 ... ...
- Part|. 입은 어떻게 진화했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한 벌 단위, 즉 위아래가 쌍으로 교체되는 방식으로 진화했다. 앞니, 송곳니, 송곳니 뒤쪽의 젖니성 어금니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젖니성 어금니는 미성숙한 포유류에서는 씹는 기능을 하지만, 나중에 좀 더 안쪽에 성체용 어금니가 나기 시작하면 영구적인 앞어금니로 교체된다. 윗니와 아랫니가 ...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보냈다.“전 사실 상을 바라고 연구하지 않았어요. DNA인트론과 접합 메커니즘을 발견한 뒤로도 16년동안 아무 상도 못 받았지만 개의치 않았어요. 내가 하는 연구가 재미있었으니까요. 연구가 취미가 되는 순간 정말 행복한 삶이 펼쳐질 거라고 학생들에게 늘 이야기합니다.”로버츠 박사는 자신이 ... ...
이전5825835845855865875885895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