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이손 혜성을 볼 수 있는 마지막 기회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반환점을 돌고 있다.11월 29일 태양에 가장 가까이 접근하는 아이손 혜성은 태양 주위를 돈
뒤
점차 멀어져 태양계를 벗어난다. 포물선 궤도로 움직이기 때문에 두 번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이번에 기회를 놓치면 영원히 볼 수 없다.첫 번째 관측 최적 시기였던 지난 16~17일에는, 서울 용산구 소재 ... ...
병원에서 귀신도 쫓나요?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소개하고 있습니다.“빙의를 진단하고 나면 빙의한 영과 대화를 해서 내보낸
뒤
빛명상으로 밀봉한다”고 치료 단계를 써 놓았습니다. 물질에 기반을 두지 않고도 의식이 있는 영이 존재하는 게 마치 기정사실인양 말하고 있습니다. 밀봉은 또 뭡니까? 사람이 무슨 락앤락 용기인가요?혹시 한의원을 ... ...
[life & Tech] 설탕과 펙틴이 만나면 과일이 끈적끈적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않도록 약한 불에서 주걱으로 잘 저으면서 졸였어요.하지만 펙틴 분자들은 설탕을 넣은
뒤
에도 여전히 음전하를 띠고 있어 서로 밀어내요. 이때 레몬즙이나 구연산 같은 산성 물질을 넣어주면 펙틴 분자들이 더 이상 음전하를 띠지 않는답니다. 저는 설탕이 사과농축즙에 고루 섞여 조금씩 ... ...
노화 정복 꿈을 실현한다 (박종화 테라젠이텍스 연구소장)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컴퓨터 시스템을 만들어서 자동으로 분석할 수 있는 것을 만들자고 생각했습니다. 그런
뒤
제약회사나 생명공학 회사를 만들어 실제로 항노화 약을 개발하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박 소장의 부모님은 남에게 간섭하는 스타일이 아니었다. 공부하라는 얘기도 한번도 한 적이 없었다. 박 소장은 ... ...
나를 키운 건 팔할이 소변이었다 (정희선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원장 / 충남대 분석과학기술대학원장)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하지만 나머지 기간에는 더 집중해서 일할 수 있어야 해요. 그래야 남자에게 장기적으로
뒤
처지지 않아요.” 역시 여성 리더답게 한번 조직 이야기가 나오니까 말이 술술 이어졌다. 정 원장은 기자에게 “직장 생활 하면서 뭐가 가장 중요한지 아냐”고 물었다. “무조건 오래 일하는 게 중요한 ... ...
수리온 하늘에 띄웠다. 다음은 민간 항공기다 (이대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중형항공기 사업단장)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앞선 기술력을 높이 산 자동차 회사에서도 연락이 왔다. 하지만 이 단장은 모든 제의를
뒤
로 하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택했다. 비행기와 로켓 등 여러 분야를 주도적으로 연구하려면 대학이나 민간 기업 보다는 국책연구기관이 가장 잘 어울릴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 항상 ‘팀이 함께 ... ...
직업은 열정을 갖고 꿈을 실현시키는 것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대한 부당한 트집을 잡아 인터넷에 비방글을 남기며 비난하고 다녔던 것이다. 좀 더
뒤
에는 법규 위반으로 고발을 해 조 대표가 경찰 조사를 받고 벌금을 내기도 했다. 실수로 전기자전거에 꼭 붙여야 하는 KC인증 마크를 뗀 채 전시장에 선보였다가 누군가 신고를 했던 것.조 대표는 “그런 어려움을 ... ...
짜릿한 수학, 평생 즐기는 세계적인 수학자 (금종해 고등과학원 원장)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집중해서 듣는다는 건 불가능해 보였다. 대학교 2학년 때 전공을 ‘수학과’로 결정한
뒤
본격적인 공부는 대학원에 진학하고 나서야 시작할 수 있었다. 공부에 집중할 수 없었던 학부 시절을 보낸 제자들이 안타까운 지도 교수님은 다음과 같은 조언으로 학생들을 이끌었다. “젊었을 때는 ... ...
디자인으로 공간의 마음을 훔쳐라 (황지은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지난 2012년에는 구 서울역 건물을 개조한 '문화역 서울 284'에서 전시를 했다. 전시가 끝난
뒤
에는 다시 서울 금호미술관으로 자리를 옮겨 작품을 선보였다. '우연구름'이라는 이름의 이 작품은 두 장소에서 거의 같은 아이디어와 형식을 따랐다. 하지만 놀랍게도 각각 느낌이 크게 달랐다. 공간의 ... ...
PART 2. 남산 위에 저 소나무, 귤나무로 바뀔까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따라갈 것인가. 반팔 티셔츠와 패딩 점퍼가 동시에 보이는 창밖의 광경을 보면서 수 년
뒤
기후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1세기, 지구가 불타오른다PART 1. 해운대, 몰디브, 마이애미 해변 모두 사라진다PART 2. 남산 위에 저 소나무, 귤나무로 ... ...
이전
580
581
582
583
584
585
586
587
5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