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생리의학상 - 신속 정확 세포 택배회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돌연변이 효모의 몸 안에 작은 주머니가 가득 차 있었다. 그는 운반주머니가 만들어진 뒤 필요한 곳으로 가서 다시 세포막과 융합하는 과정에 문제가 생겼기 때문이라고 추론했다. 이 효모에서 돌연변이가 일어난 유전자가 바로 세포막 융합에 필요한 유전자였던 것이다. 셰크먼 교수는 이런 ... ...
- 박쥐의 ‘나뭇잎 보청기’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녹음한 동료 박쥐의 소리를 들려주고, 박쥐가 사는 좁은 쪽 입구에서 크기를 쟀다. 그 뒤 위치를 반대로 바꿔서 다시 측정했다. 그 결과 집 안쪽에서 잴 때 바깥의 소리가 최고 10dB(데시벨)만큼 크게 들린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소리가 거의 10배 증폭된다는 뜻이다. 반대 경우는 약 1.3배 정도 크게 ... ...
- [hot science] 지구의 중력에 감사하라!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있는 이유는 중심을 향해 끌어당기는 힘인 중력 덕분입니다. 이 중력 덕분에 위아래, 앞뒤, 좌우가 구분이 되고 바닥에서 뛰어올라도 다시 내려올 수 있지요. 우주에 놓인 우주인은 혼자서는 아무것도 할 수가 없습니다. 바닥이 없기 때문에 박차고 올라갈 수도 없고, 공기가 없기 때문에 마치 수영을 ... ...
- 소수를 쪼개면 우주가 열린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자리였다. 프랙탈 구조를 음악으로 들어보고, 산타마리아 델 피오레 성당 건축과 기욤 뒤파이 음악 사이에 어떤 수학적 유사성이 있는지 찾아보았다. 수학과 음악에 숨어 있는 균형과 대칭이라는 유사성에서 새로운 공상이 출발할 수 있다는 것이 콘서트의 핵심 주제였다.“지식을 공유하는 마당이 ... ...
- 통계로 미래를 본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통해 키울 수가 있어요. 궁금한 현상에 대해 과거의 데이터를 찾아 그래프로 나타낸 뒤 그 추세를 살펴보고, 왜 이런 경향을 보이는지 생각해 보세요. 그리고 예측이 맞았는지 검증해 보세요. 이런 연습을 계속해서 하다 보면, 어느 순간 미래를 지혜롭게 예측하는 선견지명이 생길 거예요. 미래를 ... ...
- 수학은 우리의 VIP! 북일고 Math VIP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주제를 선택한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저는 피보나치 수열처럼 특별한 수열들을 조사한 뒤에 새로운 종류의 수열을 찾아보려고 했지만 결국 실패했어요. 그리고 열심히 준비한 경시대회에서도 입상하지 못해 무척 아쉬웠죠. 그렇지만 수학동아리를 통해 다양한 도전을 할 수 있어서 좋았어요. ...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배출하는 요소는 배설기관을 통해 나오는 양의 50배나 됐다. 자라에게 요소를 주입한 뒤 침과 혈액을 조사하자 침 속의 요소 농도가 혈액보다 250배나 높았다. 연구팀은 소금기 있는 물에 적응해 사는 이 자라가 짠물을 마시지 않기 위해 입을 헹구려고 이런 성질을 발달시켰을 수 있다고 추측했다.귀 ... ...
- ‘숙면이 보약’, 잠잘 때 뇌 속 독성물질 ‘대청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뇌 척수액의 흐름이 달라지는지 관찰했다. 먼저 쥐의 뇌파를 측정해 잠든 것을 확인한 뒤, 뇌 척수액에 녹색 염료를 주입했다. 30분이 흐른 뒤, 다시 쥐를 깨워서 빨간 염료를 주입했다. 두 염료의 흐름을 각각 레이저 현미경으로 촬영해 비교한 결과, 쥐가 자고 있을 때 뇌 척수액이 흐르는 조직 ... ...
- 초기 인류의 ‘족보’ 전면 수정되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머리와 얼굴 형태를 완벽에 가깝게 추정할 수 있다.연구팀은 이 화석의 특징을 연구한 뒤, 기존에 같은 지역에서 발굴했던 4구의 다른 두개골 화석과 비교했다. 이들은 비슷한 시기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눈두덩이가 솟은 모습 등 구체적인 형태가 화석마다 눈에 띄게 달랐다.하지만 튀어나온 ... ...
- 오직 근육의 힘으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지난 1년간 치열했을 설계 경쟁을 시사했다. 세종대 ‘한바람’은 프로펠러를 뒤에 달아 총 길이 5.5m, 날개 길이 22m, 조종사 탑승 총 무게 90kg인 가장 작은 항공기를 만들었다. 날개와 프로펠러를 모두 앞에 달았을 때보다 무게가 골고루 분산되기 때문에 꼬리를 길게 만들지 않아도 된다. 박승훈 팀장 ... ...
이전5815825835845855865875885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