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종류
물품종류
종족
재배종
변종
스페셜
"
품종
"(으)로 총 9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의 날 50주년 "지구 살리려면 원주민의 지혜 배워라"
동아사이언스
l
2020.04.22
카야포 부족은 67종의 고구마와 46종의 카사바, 13종의 옥수수 등을 재배하고 있다.
품종
이 다양해진 것은 이른바 ‘종자 은행’을 개선하기 위해 수세기에 걸쳐 다른 마을과 씨앗을 교환하고 복제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과학자들이 전세계 식량 안보를 위해 종자은행을 고려하고 만들기 훨씬 ... ...
노후 제조기업엔 신제품 공급, 창업기업엔 기술지원 및 시장 진출···제조엔지니어링 새 장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1
기술을 활용해 안산에 있는 기업의 신제품 출시와 제품 성능 향상, 동작시제품 제작, 다
품종
소량 제품 생산을 지원하고 있다. 빠른 시장 출시를 위한 수요시장 최적화 제조 엔지니어링 서비스를 지원한다. 디지털이라는 이름을 붙인 이유는 활용되는 장비 가운데 디지털 장비가 많기 때문이다. ... ...
[AAAS연례회의]스티븐 추 "깨끗한 전기 10~20년내 나온다…다른 청정에너지 산업도 자극"
동아사이언스
l
2020.02.15
961년 이후 급격히 증가했다”며 “최근에는 연구를 통해 가뭄에 강하고 경작이 필요없는
품종
을 개발하는 제2의 녹색혁명이 일어나며 농지 크기는 작아지지만 생산량은 더 높아지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추 회장은 “젖소와 소가 뿜어내는 연간 이산화탄소량은 4.6기가톤(gt ... ...
[표지로 읽는 과학]비료 덜 쓰고 벼 수확량 늘리는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0.02.09
수는 질소 비료의 양에 달려있다. 한국의 ‘통일벼’처럼 녹색 혁명 이후 도입된 쌀
품종
들 대다수가 적용된다. 하지만 수확량을 최대치로 늘리려고 하면 환경에 유해한 수준의 질소 비료를 뿌려야만 가능하다. 연구팀은 벼에서 질소에 반응하는 유전자가 ‘NGR5’라는 단백질의 양을 늘린다는 ... ...
로봇 동료와 함께 일할 준비 얼마나 됐습니까 (2부)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제품의 설계, 제작, 운용, 서비스 방식까지 변화시키고 있다. 현재 제조 시스템은 소
품종
대량생산이나 일괄 생산 방식으로 이뤄지고 이는 최근에는 저임금 국가에서 추진된다. 디지털 기술과 제조업의 융합은 점점 더 새로운 생산 패러다임으로 이어지고 있다. 즉, 전 세계에 분산된 소규모 ... ...
구글·페이스북도 탐낸 ‘로봇 핸드’ 10년간 열정으로 ‘진일보’
동아사이언스
l
2020.01.09
많다. 최근 산업 현장에서 로봇 핸드의 수요는 다양해지고 있다. 대량 생산보다는 다
품종
소량 생산 체제로 산업의 트렌드가 바뀌다 보니 로봇이 다뤄야 하는 부품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부품 하나당 전용 툴이 필요한 실정이다. 부품별로 필요한 전용 툴을 인덱싱해 부품마다 파지하는 역할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GMO 황금쌀, 20년 만에 빛을 볼까
2019.12.03
분의 3이 재배
품종
의 것인 개체를 얻을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세대를 거칠 때마다 도입된
품종
의 게놈이 절반씩 희석되므로 6세대에서는 1%대(1/64)가 되고 8세대에는 1/256에 불과하다. 원하는 특성만 남은 사실상 재배종을 얻는 셈이다. 벼의 경우 아열대 지역에서는 이 과정에 3년 정도가 걸린다. ... ...
기후변화로 쌀 발암물질 두 배 늘어나고 수확량 절반 가량 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1
40% 감소했다. 펜도르프 교수는 “토양을 잘 관리하면서 새로운 조건에 적응할 수 있는
품종
을 개량할 수 있는 우리의 능력을 감안할 때 연구에서 관찰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적응할 준비를 위해 다가오는 도전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의 공동저자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달걀 감별하는 시대
2019.08.21
로 질식시키거나 믹서기로 갈아 죽인다. 수평아리는 육계로 키우면 될 것 같지만 산란용
품종
은 사료가 고기로 전환되는 효율이 낮아 상업성이 없다. 이렇게 세상의 빛을 본 지 하루 이틀 만에 생을 마감하는 수평아리가 1년에 70억 마리로 추정된다. 세계 인구와 맞먹는 수다. 참고로 세계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딸기가 지구를 한 바퀴 돈 사연
2019.03.19
년 전부터 흰딸기도 재배했다고 한다. 지난해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는 흰딸기
품종
이 안토시아닌 색소를 합성하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긴 결과임을 밝힌 논문이 실렸다. 한참 딸기 얘기를 쓰다 보니 딸기가 듬뿍 올라간 생크림케이크와 진하게 내린 커피 한 잔이 생각난다. ※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