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품종"(으)로 총 90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2018.01.09
- 양치기개로 길렀다. 흥미롭게도 게놈 분석 결과 케이넌 도그는 오래 전에 확립된 품종으로 나왔다. 연구자들은 암각화와 나오는 개가 케이넌 도그의 조상일 가능성도 있다고 언급했다. 즉 수렵채취인이 유목민이 되면서 사냥개도 양치기개로 ‘직업’을 바꾼 것이라는 말이다. [그림4_사냥꾼 두 명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2017.09.12
- morning glory와 통하는 데가 있다. 아무튼 일본 원예가들은 나팔꽃을 애지중지했고 많은 품종을 개발했다고 한다. 20세기 들어서는 유전학자들도 뛰어들어 1910년대까지만 해도 나팔꽃의 염색체 지도가 식물로는 세계에서 가장 앞서는 수준이었다. 지금도 나팔꽃은 원예식물의 모델로 다양한 측면에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2017.04.18
- 너무 써서 벌레들도 피한다) 인류는 육종을 통해 커커비타신을 덜 만드는 쪽으로 품종을 개량했다. 따라서 커커비타신에 민감한 유형의 쓴맛수용체를 지닌 사람은 오이를 싫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가장 유명한 예가 쓴맛수용체 TAS2R38이다. 일찍이 1930년대 화학자 아서 폭스와 유전학자 알버트 ... ...
- 양귀비꽃, 그 붉은 아름다움의 비밀2016.05.30
- 과천 서울대공원에서 열리고 있는 장미축제를 보러갔다. 여러 나라에서 개발한 다양한 품종의 장미들이 저마다 자태를 뽐내고 있었다. 다만 사람들이 너무 많고 날도 좀 더워 차분히 감상할 분위기는 아니었다. 그런데 장미정원 가는 길에 양귀비꽃밭이 펼쳐져 있었다. 한 2000~3000m2에 이르는 꽤 넓은 ... ...
- 귀족 생선 자바리, 이제는 기른다 동아사이언스 l2015.12.17
- 영위하는 공간이 있으니, 바로 바다다. “우리가 먹는 소나 돼지들은 오랜 세월 동안 품종이 개량된 결과물입니다. 들소와 소, 멧돼지와 돼지는 조상이 같지만 그 특징이 확연히 다르죠. 눈으로 대충 보아도 구분할 수 있을 정도입니다. 그에 비해 물고기는 육종의 역사가 50년 정도로 매우 짧아요. ... ...
- 노화치료시대 열린다2015.12.07
- 넓게 봐서) 품종은 인류가 불과 수천 년에 걸쳐 선별한 ‘인위선택’의 결과로, 많은 품종에서 고유한 특성을 얻는 대가로 생리적 밸런스가 깨진 상태다. 대형견의 경우 성장인자의 과다분비 또는 해당 수용체의 과민화쪽으로 변이가 일어난 개체를 선별한 것일 뿐이다. 고양이과 동물도 비슷한 ... ...
-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2015.08.17
- 만들어진 잡종이다. ●술이 향기로운 까닭은 인류가 늑대를 길들인 뒤 수백 가지 품종의 개를 만들어낸 것처럼 야생의 효모를 길들여 오늘날 다양한 특성의 균주를 얻었지만 효모의 본질적인 특성을 만들어낸 것은 아니다. 즉 에탄올 생산 효율을 높이고 내성(에탄올 농도가 올라가면 효모도 ... ...
- 세계인이 사랑한 커피의 모든 것KISTI l2015.07.07
- 공정이다.적게 볶으면 신맛이 강하고 많이 볶으면 쓴맛이 증가하는데, 볶음 정도는 커피 품종에 따라 다르다. 또한 지역별로 로스팅의 강약에 따른 선호도가 다르다. 흔히 유럽인은 강하게 볶은 것을 선호하며, 한국인은 엷게 볶은 것은 좋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커피의 향미는 로스팅을 한 ... ...
- 농수산업에도 유용한 방사선의 과학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6.04
-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방사선은 농식품 분야라고 그 활용도가 떨어지지 않는 것이다. 품종 개량, 병원성 미생물 사멸, 식품 저장 등 다양하게 분야에서 이용 가능하다. 가장 일반적인 사례가 과일에 남아 있는 농약을 측정하는 일이다. 이를 통해 농작물에 농약을 언제 살포해야 하는지, 얼마나 ... ...
- 과학계 '그랜드 슬램' 뒤에는 그가 있었다IBS l2014.12.16
- 달에 한 번 수확할 수 있는 애기장대는 유전자 변형으로 한 달, 6개월, 1년까지 성장하는 품종도 함께 키우고 있다. 서 연구원은 "연구용 식물은 맞춤형으로 기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여러 각도로 생태환경을 다양하게 만들어서 실험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연구단에서 식물 재배를 함께하는 ... ...
이전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