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그가 붓을 들면 우주가 잠을 깬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영상은 눈으로 볼 수 있는 원래 색이 없기 때문에 각 파장에 따라 가짜 색을 지정한 뒤 여러 장을 합성해 컬러 영상으로 만든다.둘째,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작업(data visualization)이다. 예를 들어 점과 선이 있는 그래프가 있을 때, 관련 이미지를 함께 그려 넣어서 각각이 의미하는 바를 이해할 수 ... ...
- 반도체 행성 3D 대공사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끊임없이 도로 길이를 줄여왔다. 더 많은 전자가 흐르게 하기 위해서인데 자세한 것은 뒤에 설명하자. 그런데 도로 길이를 줄이고 줄이다 보니 부작용이 생겼다. 도로를 벗어난 전자들이 신호가 없는 상태에서도 도로를 건너가는 것이다. 워낙 도로가 짧아졌기 때문이다. 이를 누설 전류(Leakage Current ... ...
- '머리 큰 아기' 엄마는 괴로워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미처 신경 쓰지 못하는 이런 저런 마무리를 대신 해 줍니다. 아기가 나온 후 얼마 후 뒤따라 나오는 태반도 받아내야 하죠. 인간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사회적인 동물인 것입니다. [새끼를 품에 안은 긴팔원숭이. 유인원은 새끼를 낳을 때 어미 혼자서 새끼를 낳고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인간 여성은 ... ...
- 종이 한 장으로 접는 예술, Origami수학동아 l2012년 05호
- 만나게 돼 영광입니다.저는 6살 때 처음 오리가미를 운명적으로 만났습니다. 그 뒤로 오리가미와 사랑에 빠져 평생을 함께하고 있고요. 만약 제가 학창시절에 수학과 과학 공부를 하지 않았더라면, 저는 지금 다른 일을 하고 있을 겁니다. 그만큼 수학은 저를 이 자리에 있게끔 만들어 준 일등공신인 ... ...
- 수학으로 우사인 볼트를 더 빨리 뛰게 만들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2년 05호
- 009 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서 그의 반응 속도는 0.146초였다. 이는 결승전에 오른 선수들 중 뒤에서 세 번째 기록이다. 배로우 교수는 그가 반응 시간을 0.05초 줄이면, 기록을 9초53으로 앞당길 수 있다고 말했다.둘째, 바람의 도움을 받는 것이다. 볼트는 9초58의 기록을 세웠을 당시 0.9m/s의 뒷바람을 ... ...
- 5화 속임수 천국 논리나라로!수학동아 l2012년 05호
- “윽, 비밀번호를 바꿨나 보네? 어디 보자….”문에는 숫자들이 써 있었다.“a, b를 구한 뒤 두 수를 숫자패드에 누르라고? 규칙 찾기네. 하아~, 이런 문제는 약한데….”사형 100% 확률, 속임수에 빠진 폴폴은 피타고라스의 점수를 맞히자마자 뮤클리드에게 소리쳤다.“뮤클리드! 문제를 맞혔으니 ... ...
-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움직이는 수준이야.뇌공학 전문가인 정재승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는 10∼20년 뒤에 생각만으로 기계를 정교하게 움직이는 기술이 크게 발전할 거라고 예상했어.기술❷ 감각까지 교감사람이 느낀 걸 로봇에게 전달하는 것 뿐 아니라 로봇이 느낀 감각을 사람도 알 수 있어야 해. 서로 감각을 ... ...
- 진화에서 인공지능까지, 똑똑한 유전 알고리즘수학동아 l2012년 05호
- 괜찮다고 생각하는 작품을 진화예술가가 선택하고 이를 교차하고 변형한다. 그 뒤 이를 컴퓨터로 무수히 반복한다. 그 결과 세대를 거듭하면서 점점 아름다운 작품이 만들어진다.유전 알고리즘은 이밖에도 경제 현상 분석이나 금융공학, 반도체 등 계산하기 어려운 문제에서 쓰이고 있다는군. 내가 ... ...
- 흉터 없이 수술한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그래서 회복도 빠르다. 수술로봇은 칼로 사람 피부를 자르지 않는다. 몸에 구멍을 낸 뒤 코가 긴 수술도구를 집어넣고 환부를 치료한다. 구멍을 뚫고 환부를 치료하는 복강경 수술을 의사 대신 해 주는 것이다.물론 다빈치 로봇이 없어도 의사가 복강경 수술을 할 수 있다. 문제는 로봇만큼 수술을 잘 ... ...
- 주머니 ‘속’ 휴대전화가 당신을 찍는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미래에 벽 뒤의 물체를 꿰뚫어 보는 초능력 ‘휴대전화’가 등장할지도 모르겠다. 미국 달라스대 연구팀은 최근 꿈의 주파수 대역이라 불리는 ‘테라헤르츠파’와 소형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에 쓰이는 ‘CMOS 마이크로전자칩’을 이용한 영상장치를 개발했다고 2012 국제반도체회의(ISSCC)에서 ... ...
이전6456466476486496506516526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