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 만든 미생물로 환경오염 처리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영역에 도전해 최고의 성과를 냈던 것이다. 새로운 영역을 향한 도전은 GIST에 부임한
뒤
에도 계속됐다. 미생물 연구에서 무기물질 연구로 영역을 바꾼 것이다.“새로운 연구 영역에서 세계 정상급 논문을 내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새롭게 공부해야 하니 시간도 많이 들고, 자신감이 없으니 상당히 ... ...
녹색성장 꿈꾸는 ‘유연한 전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주 연구 주제였다. 하지만 사후약방문 같은 연구 분야에 한계를 느꼈다. 그래서 귀국한
뒤
로는 다양한 전력 수요에 대응하는 새로운 송전선로를 연구하는 데 주력했다. 이때 개발한 것이 ‘유연송전시스템(FACTS)’이다. 교통량에 따라 차선 수가 바뀌는 가변차선처럼 수요량에 따라 송전선로의 ... ...
INTRO. 폭우 도시를 삼키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때문이다. 김 기자 역시 가까스로 집으로 되돌아가 반바지와 슬리퍼 차림으로 갈아입은
뒤
물을 헤치고 출근해야 했다. 이날 서초구 우면산에서는 근래 보기 드문 도심 산사태가 나 큰 인명 피해를 냈다. 관악구와 광화문, 강남 등 서울의 주요 도심은 하루 종일 물난리로 몸살을 앓았다. 가까이에서 ... ...
PART 1. 산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Random Walk)모형’이라는 이름의 이 모형은 산지를 위에서 보고 바둑판 모양의 격자를 그린
뒤
각각의 격자에서 다음 격자로 이동할 때 높이 차이가 가장 큰 쪽의 격자(즉 경사가 가장 급한 방향)를 선택한다고 단순하게 가정한다(38쪽 위 그림 참조). 기울기가 급한 방향으로 토석류가 흘러간다는 ... ...
PART 1. 공진은 무서워?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콘크리트 바닥을 받치는 철골의 단면을 키워 강성을 높이는 것이다.건물이 준공된
뒤
진동이 생겨 입주민이 불안해하거나 불편을 겪을 때는 진동을 흡수하는 장치를 써야 한다. 진동을 일으키는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면 가장 좋지만, 그럴 수 없다면 구조물을 개선해 고유진동수를 바꾸거나 ... ...
우주에서 가장 어두운 행성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계산했다. 먼저 행성이 앞에 있을 때 밤 부분의 밝기를 측정했다. 그리고 모항성
뒤
에 있을 때 빛을 받는 낮 부분의 밝기를 측정해 비교했다.그 결과 반사율은 1%보다 낮으며, 정밀한 모델에 따르면 0.04% 정도로 추정된다. 이는 검은 아크릴페인트보다 낮은 반사율이다. 목성의 반사율 52%와 지구의 37%에 ... ...
달에게 동생이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질량이 달의 4%(지름이 달의 약 3분의 1)인 작은 달이 따로 있다가 오랜 시간이 지난
뒤
달과 매우 느린 속도로 충돌한다면 달 앞면과 뒷면의 지형과 구성 성분의 차이를 상당히 잘 설명할 수 있다. 대충돌설에 사용된 시뮬레이션을 달과 또 다른 달 사이의 충돌에 적용한 것이다. 수천만 년 정도가 ... ...
별과 생명체의 씨앗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무거운 원소는 대부분 ‘중성자포획’으로 만들어진다. 중성자가 원자핵에 포획된
뒤
베타붕괴를 일으켜 양성자로 바뀌면서 무거운 원소가 만들어지는 것이다.우라늄과 토륨 같은 무거운 원소들은 중성자의 밀도가 아주 높은 환경인 초신성 폭발을 할 때만 만들어진다. 결국 가스와 먼지가 모여 ... ...
‘월하정인’에 뜬 눈썹 달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명령을 내렸다고 가정하면, 화원은 달이 가려졌다가 다시 나타나는 것을 자세히 관찰한
뒤
나중에 그림으로 기록했습니다. 즉 실제를 보고 그린 그림도 실제와 100% 같지는 않았다는 얘기죠.”신윤복이 세상을 떠난 지 벌써 수백 년이 흘렀고, 그림에는 시간만 적혀 있다. 그가 그림을 그리던 순간에 ... ...
생태계의 보고 갯벌, 시민이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땅이나 파는 것이 아니다. 갯지렁이같은 갯벌생물은 갯벌을 파고 흙이나 모래를 먹은
뒤
찌꺼기를 몸 밖으로 배설하면서 작은 경단이나 화산 분출구를 닮은 다양한 모양의 흔적을 남긴다. 이 부분을 집중적으로 판다.기자도 방게와 꽃개소겡 등 네 가지 생물을 찾아냈다. 직접 해 보니 별로 어렵지 ... ...
이전
680
681
682
683
684
685
686
687
6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