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 Math] 신비의 수 142857의 비밀을 찾았다!수학동아 l2011년 08호
- 세 자릿수의 최댓값인 999의 배수가 된다. 16자리수인 0588235294117647에 어떤 수를 곱한 뒤 2자리씩 끊어서 더하면 99의 배수가 된다. 또 4자리씩 끊어서 더했을 때는 9999의 배수가, 8자리씩 끊어서 더하면 99999999의 배수가 된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순환마디가 6자리 수일 때는 그 자릿수의 약수인 ... ...
- 내셔널 트레져, 보물 사냥꾼의 운명을 좌우하는 암호 어떻게 푸나수학동아 l2011년 08호
- 그중 ‘시저암호’가 가장 단순하다. 시저암호는 위의 표와 같이 알파벳을 세 글자씩 뒤로 옮겨 읽는 식의 방법을 이용해 암호문을 만들면된다. 만약 상대방이 작성한 암호문이 시저암호 방식으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알았다면, 해당 알파벳을 세 글자 앞에 있는 글자로 바꿔 내용을 풀면 된다 ... ...
- MIE 수업 탐방 스케치 서울 서이초등학교 “색종이로'무게중심 새'를 만들었어요!”수학동아 l2011년 08호
- 공부하고 싶었지만 주어진 시간이 짧아 모든 것을 공부할 순 없었어요. 아쉬운 마음은 뒤로한 채, 비행기 또는 새가 날기 위해 가장 중요한 핵심 요소를 직접 색종이로 알아보기로 했죠. 바로 무게중심에 대한 실험이었습니다.‘무게중심 새’ 전개도가 인쇄된 색종이를 오린 뒤, 클립으로 양 날개의 ... ...
- 수학일기는 나만의 포트폴리오수학동아 l2011년 08호
- 일기를 쓰면 자연스럽게 나온다. 생각을 꺼낸 다음에는 생각을 기준에 따라 묶어 분류한 뒤 정리한다. 생각을 묶을 때는 생각그물(마인드맵)과 같은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한다.‘거울 → 반사 → 반사각 → 각 → 각도’처럼 거울이라는 소재에서 시작해 각도라는 수학적 개념으로 연결해갈 수 있다. ... ...
- Part 1. 비타민, 추락하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축적되는 경우도 있어 더 이상 복용을 권장하지 않는다.비타민의 여전한 인기, 그리고 뒤에 숨은 진실[건강기능식품 제조회사의 간접적인 검열은 대중에게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기도 한다.]비타민의 최신 연구를 접한 기분이 어떤지 모르겠다. 의료나 의약 관련업계에 종사하는 ... ...
- 죽은 세포 되살리는 기적의 주사?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줄기세포치료제는 다른 세포치료제와 마찬가지로 살아 있는 세포를 추출해 배양증식한 뒤 제조하는 의약품이다. 환자의 몸에서 추출한 세포(자가 세포치료제)나 다른 사람의 몸에서 추출한 세포(동종 세포치료제), 또는 사람이 아닌 다른 동물에서 추출한 세포(이종 세포치료제)로 만들 수 있다. ... ...
- 직장을 넘보는 암과학동아 l2011년 08호
- 그에 못지 않은 문제가 담배(25~30%)다. 이어서 병원체 감염(15~20%), 비만10~20%), 음주(4~6%)가 뒤를 잇는다.직업(4%)과 환경(2%)은 그 다음이다.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도 직업성 암 비율을 4%로 추정하고 있다. 비율은 낮지만 암 환자 수를 고려하면 결코 적지 않은 숫자다. 안연순 동국대 ... ...
- 구술면접, 개념 정립부터 시작하라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문제도 나온다. ‘대칭연속’이나 ‘대칭미분가능’ 같은 새로운 개념을 정의한 뒤 그 개념을 응용하고 확장해 논리적으로 전개하고 검토하는 문제, 이계평균변화율과 같은 새로운 개념을 제시해 삼계평균변화율을 정의하는 문제가 나온다. 생소한 개념을 정의해주면서 학생의 수학적, 논리적 개념 ... ...
- Intro. 우주왕복선 마지막 임무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이야기를 들려주는 역사관. 우주왕복선의 활약상을 정리한 명예의 전당. 우주왕복선의 뒤를 이어 우주를 누빌 후계자에 대한 미래관까지! 우주왕복선에 대한 모든 것을 한눈에 볼 수 있답니다.그러면 지금부터 우주왕복선의 빛나는 여정을 따라가 볼까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 Part 1. 조류, 광합성 절반 맡은 물속의 유비쿼터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수온이 성장하기에 알맞으면 하루에도 1~2번씩 분열을 할 수 있다. 이는 한 개체가 사흘 뒤에는 8~16 개체로 늘어날 수 있다는 이야기다. 바다에서 적조가 일어나는 것도 이처럼 식물플랑크톤이 빠르게 증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미세조류를 하찮게 여기지 말자. 이렇게 작은 ... ...
이전6846856866876886896906916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