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9,103건 검색되었습니다.
진화가 대칭성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0001
땅 위에서 이동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부속기관들이 필요하게 됐기 때문이다. 물론 앞
뒤
의 차이는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물 속과 마찬가지로 땅 위나 공중에서도 좌우는 중요한 차이를 가지지 않는다. 하늘을 나는 새나 정글에 사는 동물은 좌우가 크게 다를 바 없다. 육상동물이나 ... ...
계속되는 NASA의 실패
과학동아
l
200001
쥐고 있었다. 탐사선의 안테나는 화성대기권에 진입할 때 화성 쪽을 향하다가 착륙한
뒤
에 지구를 향해 펴지도록 설계돼 있다. 그 과정에서 엄청난 공기저항으로 지구와의 교신이 끊기는 블랙아웃 현상이 일어난다. 그런데 폴라 랜더는 5분으로 예정된 블랙아웃 시간을 넘긴 후에 감감 무소식이었다 ... ...
멋진 신세계
과학동아
l
200001
7년 미국 캘리포니아에 정착했다. 첫부인 마리아와는 1919년에 결혼했으며 1955년에 사별한
뒤
1956년에 로라와 재혼했다. 헉슬리는 오늘날 '멋진 신세계'(1932)의 작가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지만 작가로서 그의 재능이 가장 빛났던 시기는 1920년대로 평가된다. 이 시기에 발표한 소설 '대위법'(Point Counter ... ...
완벽한 대칭미 갖춘 '최후의 만찬'
과학동아
l
200001
그룹을 형성, 좌우로 두 그룹을 배치함으로써 화면의 통일성을 고양시키고 있다. 예수의
뒤
에 있는 세 개의 창으로부터 들어오는 빛과 그 너머 풍경은 2차원의 평면에 깊숙한 공간감을 부여하고 있으며 앞으로 돌출한 식탁 위에 놓여진 각종 그릇이나 음식물조차 마치 우리 눈앞에 펼쳐진 현실을 ... ...
재미있는 공룡족보
과학동아
l
200001
발견되는 초식공룡으로 앵무새와 같은 부리가 특징이다. 뿔공룡의 특징은 머리뼈
뒤
에 발달한 프릴이다. 이빨이 없는 앞 주둥이는 질긴 식물을 뜯는데 이용됐고 칼날 같은 입 안쪽의 이빨이 이들을 잘게 잘랐다. 긴 다리를 가진 지타코사우루스와 같은 초기 뿔공룡은 두발로 걸었으나 진화하면서 ... ...
21세기 이동통신 IMT-2000
과학동아
l
199912
IMT-2000 서비스의 시연회를 가졌다. 카메라에 찍힌 영상을 엠펙4 방식으로 압축한
뒤
자체개발한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을 통해 전송하는데 성공한 것이다. 이는 원격의료, 화상회의, 주문형비디오(VOD)가 가능함을 뜻한다.한편 일본은 차세대이동통신 개발의 선두주자답게 다양한 단말기를 ... ...
DDT를 개발한 노벨상 수상자가 몰랐던 것
과학동아
l
199912
더구나 DDT가 사용된 초기에는 인간에는 어떠한 피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쟁
뒤
에는 지중해 지역에 만연한 말라리아 모기를 박멸하는데 널리 사용됐고, 실제로 말라리아 질병의 발생은 현저하게 감소했다.이런 공로로 뮐러는 1948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물론 뮐러는 DDT가 인체에 ... ...
방사성 쓰레기가 갈 곳은?
과학동아
l
199912
방사성 폐기물은 대체로 반감기가 매우 짧다. 따라서 밀폐된 탱크에 모아놓으면 한두달
뒤
방사선이 거의 없어진다. 그후 고성능 필터로 남은 방사성 물질을 제거하고 방사선감시기로 검사한 다음 무해하다고 판단되면 대기로 방출하게 된다.액체 방사성 폐기물들은 액체의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 ...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과학마술
과학동아
l
199912
된 숟가락을 테이블의 모서리 등에 두드리면 이들 작은 자석들이 다시 뿔뿔이 흩어져
뒤
섞이기 때문에 처음과 같이 자석의 성질을 띠지 않게 된다.물론 영구자석은 두드려도 방향이 그대로 유지돼 자성을 잃어버리지 않는다. 왜냐하면 영구자석 내부의 원자자석들은 일정한 방향을 유지하고 있고 ... ...
인간복제는 시간문제 복제양 돌리
과학동아
l
199912
것이다. 이 복제젖소의 이름은 ‘영롱이’라고 붙여졌다. 영롱이가 태어난지 두달
뒤
에는 복제한우인 ‘진이’가 태어났다. 물론 둘다 암컷이다.이제 인간복제는 시간문제가 됐다. “누가 고양이의 목에 방울을 달 것인가” 하고 연구자들은 서로의 눈치만 볼 뿐이다. 인간복제는 궁극적으로 인간의 ... ...
이전
692
693
694
695
696
697
698
699
7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