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9,1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 태양과학동아 l199910
- 붙인다.④ 두 병을 그림과 같이 적당히 잘라 검은색 테이프로 이어 붙인다.⑤ 맨 앞과 뒤를 빼고 알루미늄 포일로 틈이 없도록 병의 겉면을 감싼다.⑥ 병마개 부분이 눈 쪽에 오게 해 태양을 바라본다.⑦ 도화지의 작은 구멍을 통해 들어온 태양 빛이 주둥이에 붙인 반투명 테이프에 상을 만들면 자를 ... ...
- 2. 태풍도 엘니뇨 탄다과학동아 l199909
- 점도 지적돼야 한다. 일반적인 태풍의 주기는 약 20일 정도이지만, 올해의 태풍은 발생한 뒤 급격히 성장해 소멸까지 7-10일 정도만 소요됐다. 또한 올해는 크기가 제각각인 열대성 폭풍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다. 7월 중순부터 제5호(니일), 제6호(열대성 저기압으로 이름이 없음), 제7호(올가), 제 ... ...
- 세계의 밀레니엄 로봇 퍼레이드과학동아 l199909
- 개발했으며 일본어로 '친구'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아이보는 3개의 자유도(위아래, 앞 뒤, 좌우)를 지닌 발, 2개의 자유도(위아래, 좌우)를 지닌 꼬리, 한개의 자유도(열고 닫음)를 지닌 입을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 놀랑누 특징은 기쁨, 슬픔, 성남, 놀람, 두려움, 싫어함 등 6가지 감정을 나타내며, ... ...
- 홍수 막는 물고기 입 포말하우트과학동아 l199909
- 일부와 도마뱀자리 지역을 합쳐 루이 16세를 기리는 별자리로 그렸다. 또 약 1세기 뒤 독일의 천문학자 보데는 ‘프레데릭 대왕의 영광’이라고 별자리 이름을 붙였으나 얼마 사용되지 못하고 사라졌다.이 별자리에서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별은 약 20개이고, 4등성 이하의 별로 구성돼 있어 눈에 띄지 ... ...
- 우주도 약육강식의 세계과학동아 l199909
- 리튬들이 풍부하고 이들을 스펙트럼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태양계도 시간이 흐른 뒤 목성형 행성들이 태양에 흡수될까? 과학자들에 따르면, 태양이 50억년 후 적색거성이 돼도 태양의 거리가 멀어 목성이 빨려들 위험은 없다고 한다 ... ...
- 초고속 광통신망 실현 앞당긴 전자동 광증폭기과학동아 l199909
- 목소리를 높인다.미래는 빛의 시대다. 우주의 역사가 1백50억년 됐다고 말할 수 있고, 28년 뒤 소행성 하나가 지구로 근접할 것이라는 것도 빛을 매개로 한 정밀한 천체 관측으로 가능한 것이다. 모든 정보는 빛에 실려 각 가정은 물론 전세계의 연구소로 흘러들어가 미래 사회의 원동력으로 작용할 ... ...
- 공룡 몸집이 커진 이유과학동아 l199909
- 먹었을 것이다.그러나 엄청난 양의 식물을 섭취해야 했던 목긴공룡의 머리길이(앞에서 뒤까지)는 75cm로 단지 말의 머리보다 조금 더 컸다. 또한 말의 치아처럼 식물을 잘 씹을 수 있는 어금니 대신에 전혀 씹을 수 없는 단순한 치아만 발달해 있다. 예를 들면 디플로도쿠스(Diplodocus)는 앞 주둥이에 ... ...
- 불임 해방과 아기산업의 두 얼굴 시험관아기과학동아 l199909
- 세계 최초의 시험관아기(test-tube baby) 루이스 조이 브라운이 탄생한 것이다. 루이스는 4년 뒤 동생 나탈리를 같은 방법으로 얻었다.루이스 브라운이 태어난 날 시골도시인 올덤에는 수백명의 기자들이 모여들어 금세기 최고의 의학혁명을 축하해 주었다. 어떤 이는 브라운의 탄생을 2천년 전 ... ...
- 로그과학동아 l199909
- 기하학 교수였던 브리그스(Henry Briggs, 1561-1631)의 제안에 따라 탄생했다. 지수 함수를 배운 뒤 이의 역함수로 로그 함수를 배우지만, 역사적으로는 로그가 지수보다 먼저 등장했다 ... ...
- ② 살아있는 약공장과학동아 l199909
- 1998년 보람이의 정자를 채취해 다른 젖소의 난자와 시험관에서 인공적으로 수정시킨 뒤 1백20마리의 암소에 수정란을 주입했다. 보람이의 진가가 발휘되려면 새로 태어난 젖소 가운데 암소의 젖에서 락토페린이 발견돼야 한다. 현재 연구팀은 새끼 암소들이 락토페린 유전자를 보유한다는 점을 ... ...
이전6956966976986997007017027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