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암산 왕과 암산 신동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5월 14일 방송에서는 한 달 동안 특별 수업을 받은 학생을 공개했는데, 100일 수업을 마친 뒤 학생들의 실력이 얼마나 달라질지 그 결과가 벌써부터 궁금해진다.암산의 비법, 주산! 암산 왕 이정희 선생님이 말하는 암산의 비법은 바로‘주산’이다. 주산이란 주판이란 도구를 이용해 수를 계산하는 ... ...
- PART 2 최다득표자라도 꼴찌가 될 수 있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방송을 다시 시작했다. 크게 두 가지 규칙을 바꿨는데, 첫째는 경연을 두 차례 거친 뒤 탈락자를 정한다는 것이고 둘째는 기존의 1인 1투표제를 1인 3투표제로 바꾼다는 것이다. 하필 첫날 고른 곡이 그 가수의 장점을 잘 드러내지 못 할 수도 있고 얼마나 알려진 곡을 골랐느냐가 영향을 줄 수 있기 ...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숨 막히는 스포츠 속 운동화의 비밀수학동아 l2011년 06호
- 가 좋다.쿠션화는 몸무게가 많이 나가는 사람에게도 적당하다. 몸무게에 따라 신발 뒤쪽의 밑창 높이에 차이를 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60kg까지는 밑창 높이가 3~3.5cm면 충분하지만, 60kg 이상이면 높이가 3.5~4cm인 밑창이 적당하다. 발을 구부렸을 때 신발 앞쪽의 1/3 부분까지 부드럽게 접히는신발이 ... ...
- [수학클리닉] 함수 정복하기!수학동아 l2011년 06호
- 현재 몸무게는 13kg이다. 이 아기는 태어난 지 몇 주가 지난 걸까?답(재해석)아기가 태어난 뒤 흐른 시간(주)을 x, 아기의 몸무게를 y라 하자. 이는 관계식 y=x+3을 만족시킨다. 따라서 문제에 주어진 값을 각각 x와 y에 넣으면 13=x+3이므로, 아기는 태어난 지 10주가 됐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도전변하는 두 ... ...
- 발명의 나라 스웨덴 4D프레임과 사랑에 빠지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수학 교구가 없다며 칠레 과학관에 4D프레임을 소개하겠다”고 양 대표에게 전했다.강의 뒤 이어진 질의응답 시간에는 이노바툼 과학관 이사인 케네스 에릭슨 웨스트대 공학과 교수(수학 박사)가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4D프레임을 이용해 증명할 수는 있지만, 면이 없는 구조물로 돼 있어 학생들이 ... ...
- 완전수 6으로 떠나는 여행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이루는 점의 개수는 4×3=12와 같이 쉽게 셀 수 있지. 즉 직사각형의 점의 개수를 먼저 구한 뒤에 반으로 나누면 처음의 삼각수가 얼마인지 쉽게 알 수 있다는 거야. 이것을 일반화하면 1부터 n까지의 합인 n번째 삼각수 2개를 더해 가로와 세로가 각각 n+1, n개의 점으로 이뤄진 직사각형으로 만들 수 ... ...
- PART 3 힘을 알면 비행이 보인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사다리꼴 모양의 날개인 테이퍼익은 제2차 세계 대전 때 주로 전투기에 사용됐다. 뒤쪽으로 젖혀져 있는 날개인 후퇴익과 앞쪽으로 뻗어 있는 날개인 전진익은 평행사변형에 가까운 모양을 한다. 때때로 더 납작해지기도 하는데, 이는 안정성을 높이고 저항력을 적게 발생시킨다. 하지만 전진익은 ... ...
- 에베레스트 산 등정에 나서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믿고 한 말이다. 이렇게 허풍과 도형은 에베레스트 산에 도전하게 된다. 일주일 뒤 그들은 히말라야 산맥의 눈보라 속에 있다.“자, 이동하도록 합시다. 바닥에 크레바스가 숨어 있으니 조심해! 어빙의 일지에 크레바스의 위치가 있다. 도형아 부탁한다.” ‘눈에 보이는 크레바스 외에 1칸짜리 ... ...
- [수학동아, 도서관에 가다] MIE 수업 탐방 스케치 서울시립어린이도서관수학동아 l2011년 06호
- 더 알아가는 시간을 가졌죠.특별히 100분으로 구성된 수업시간이라 쉬는 시간을 가진 뒤, 두 번째 시간에는‘지도’에 대해 집중했어요. 지도를 잘 그리기 위해선 맞닿아 있는 나라를 다른 색으로 칠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래서 학생들과 함께 직접 색칠해 봤어요. 간단한 다각형 모양의 ... ...
- 음악 들으면 기분이 좋아지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캐나다 맥길대학교 심리학과 로베르 자토르 교수팀은 사람들에게 음악을 들려준 뒤, 사람의 뇌 속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장치로 촬영을 했어요. 그 결과 사람이 음악을 들으면 학습과 기억을 담당하는 뇌의 부위인 ‘미상핵’에서 도파민이 나온다는 사실을 알아 냈지요.하지만 같은 음악이라도 모든 ... ...
이전6936946956966976986997007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