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눈과 귀 사로잡는 오디션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실험에서도 증명됐다. 미국 코넬대 연구팀은 164명의 사람들에게 물건을 고르게 한
뒤
그들이 고른 물건보다 더 나은 조건의 물품이 있다는 정보를 줬다. 그러자 다짜고짜 새 물건을 산 사람들은 여행이나 영화선택 등 체험관련 구매를 한 사람보다 더 후회하는 경향을 보였다. 물건은 다른 것과 계속 ... ...
위성사진으로 GDP 측정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사진을 위도와 경도 1°씩 잘라 작은 단위로 만들어 얼마나 밝은지 1년 단위로 측정한
뒤
세계은행이 매년 발표하는 국가별 GDP와 비교했다. 그 결과 도시가 밝으면 GDP가 더 높았다. 연구팀은 “이 연구가 선진국보다는 개발도상국이나 가난한 나라에 더 잘 맞아떨어진다”며 “미국과 호주와 같은 ... ...
암흑물질 후보 윔프 입자 ‘없다 VS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아직까지 인류가 검출하지 못한 ‘암흑물질’의 정체를 놓고 최근 과학계에서 갑론을박이 한창이다. ,암흑물질 후보인 ‘윔프’ 입자의 흔적을 찾을 ... 암흑물질 검출 경쟁에 대해 금용연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자료가 축적되는 3년
뒤
에는 확실히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hot science] 스마트폰으로 내 위치가 샌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Wi-Fi 식별정보를 애플의 위치 정보 서버로 전송해 아이폰 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뒤
위치정보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사용했다.그러나 이 과정에서 아이폰에 저장된 위치정보가 1년 가까지 지워지지 않고 사용자 컴퓨터에 백업할 때 암호화되지 않은 채 그대로 저장되는 문제점이 드러났다. ... ...
안전띠에 대한 궁금증 5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17.5°) 이상으로 기울면 안전띠가 저절로 잠기게 하는 기능을 연구하고 있다. 차가
뒤
집히더라도 승객은 좌석에 단단하게 매달릴 수 있다. 안전띠는 일반적으로 배 아래쪽은 당기지 못한다. 현재 연구 중인 액티브버클리프트는 사고가 나기 직전 버클이 아래로 내려가면서 안전띠가 허리와 배를 ... ...
반물질 지구는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수상연설에서 우주 어딘가에는 반물질로 이뤄진 세상이 있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그
뒤
주류 물리학은 우주가 물질로 이뤄져 있다고 가정했으므로 디랙의 코멘트는 기억의 저편으로 사라졌다. 그런데 어쩌면 디랙의 이 말이 그의 또 다른 예언으로 부활하지 않을까.“지구(그리고 아마도 태양계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거쳐 물 표면의 속도를 측정해 유량을 계산하는 기술이다. 우리나라는 미국과 일본 등에
뒤
이어 2005년부터 하천에 시험 적용하기 시작했으며, 최근에는 카메라 3대로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시켰다. 댐에서 방류한 물의 양과 측정한 값을 비교해 보면 상당히 정확하다.이 외에도 김 박사팀은 GPS를 ... ...
냄새 잘 맡아서 똑똑해진 포유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걸쳐 발달했을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먼저 후각이 발달하면서 냄새에 예민해졌다. 그
뒤
엔 몸에 난 털을 이용해 촉각이 발달했다. 마지막 단계에서 감각기관이 우수해져 두뇌와 근육의연결, 즉 신경 네트워크도 점점 더 발달했다. 근육을 미세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됐다. 고대포유류가 다른 ... ...
네안데르탈인, 정말 현생인류 만났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이 결과가 맞다면 네안데르탈인은 현생인류와 아예 만날 수조차 없게 된다. 한편 이틀
뒤
인 5월 13일 ‘사이언스’에는 반대로 네안데르탈인이 기존보다 더 넓은 지역에 살았으며, 현생인류와도 더 오래 공존했다는 사실을 보여 주는 논문이 발표됐다. 러시아과학원 고고학과 파벨 파블로프 박사팀은 ... ...
게보린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진행하겠다”고 말했다.일부에서는 이번 안전성 입증 조사에 대해 “부작용 논란을 1년
뒤
로 미룬 셈”일뿐이라며 앞으로도 부작용 논란은 해소되지 않고 게보린과 사리돈에이의 시중판매만 계속될 거라고 보기도 한다. 또 입증 책임을 당사자인 제약사에게 맡기는 것은 옳지 않다는 의견도 많다 ... ...
이전
695
696
697
698
699
700
701
702
7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