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d라이브러리
"
분자
"(으)로 총 3,24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독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故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장남인 김정남이 2월 13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제2국제공항에서 출국수속을 하던 중 피살당했습니다.일 ... 점에서 새로운 독극물을 만들었을 수도 있습니다. 새로운 독성물질은 검출되더라도
분자
식을 비교해 볼 샘플이 없기 때문에 분석하기 어렵습니다 ... ...
[과학뉴스] ‘마이크로 물방울’로 엽록소 반응 관찰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엽록소 탈금속반응이 일어나는 속도를 측정했다. 탈금속반응은 산성 조건에서 엽록소
분자
가운데에 있는 마그네슘 이온이 수소 이온으로 교체되는 반응이다. 엽록소는 산화되면 광합성 기능을 잃는데, 탈금속반응은 엽록소의 산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연구팀은 염산을 포함한 물방울과 ... ...
[과학뉴스] 약을 만드는 인공 나뭇잎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충분한 빛에너지를 모은 거예요. 이 장치는 다양한 파장의 빛을 흡수할 수 있는 염료
분자
로 구성돼 있어요. 그래서 일부 파장 영역의 빛만 흡수하는 기존의 장치보다 훨씬 많은 빛을 모을 수 있지요.빛에너지를 모은 뒤에는 반응판에서 화학물질을 만들어요. 반응판에는 빛에너지를 흡수해 반응을 ... ...
[Culture] 새 책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막연한 동경을 품었더랬다. ‘생명과학의 기원을 찾아서’는 그 연재를 묶은 책이다.
분자
생물학 분야의 획기적인 논문들(1파트)을 시작으로 유전자(2파트), 진화(3파트), 생리학(4파트), 발생학(5파트), 신경과학(6파트) 등 분야별로 글을 엮었다. 7파트 ‘상식의 벽을 넘다’에는 주제를 떠나 기존 ... ...
[과학뉴스] 얼음 구름의 생성 순간을 보다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얼음 구름이 탄생하는 순간을 처음으로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북태평양국립연구소 환경
분자
과학실험실 알렉산더 라스킨 박사팀은 입자가 수증기를 흡수해 얼음 결정을 형성하는 과정을 촬영해 학술지 ‘물리화학·화학물리’ 2016년 11월 21일자에 발표했다.구름은 태양 빛을 반사해 지구를 ... ...
[Origin] 지루한 기본맛? 반전의 향료 바닐라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껍질을 이용한다. 식물의 세포벽을 이루는 리그닌은 방향성 알코올로 이뤄진 복잡한 고
분자
인데, 여기에 바닐린 구조도 들어있기 때문이다. 바닐린의 화학구조는 천연이나 합성이나 똑같기 때문에 예전에는 이렇게 만든 향료도 천연으로 분류했다. 그러나 완벽한 천연을 바라는 소비자의 요구가 ... ...
[Culture] 우주의 다른 이름은 게임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모습을 똑똑히 볼 수 있다. 갑자기 생성된 전자 회오리 속에서 쌓여있던 경판들이
분자
구조 변환되어 장갑병 형상으로 조립된다. 망할. 정말 책 속에 귀신이 들어 있었고만(도대체 어떻게 그 플라스틱에서 마크VIII급 장갑을 만들어낼 수가 있지?).이번에 나타난 것은 아까와 비슷하지만 살짝 더 크고, ... ...
[Future] 홀로그램으로 다시 만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소자로 광중합체를 준비했다. 이 광중합체는 빛을 주면 간섭 무늬의 패턴에 따라 내부의
분자
구조가 변형돼 굴절률이 변한다. 이 광중합체는 평소에는 투명한데, ‘씨스루’란 이름도 그래서 붙었다. 연구팀은 광중합체에 간섭패턴을 쪼여 잠자리 눈처럼 2차원으로 배열된 렌즈 기능을 하도록 ... ...
[Issue]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感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손상되지 않도록 최소한의 플라즈마를 조사해 미세유체칩을 만들었다. 또 생체
분자
를 이용해 물질을 측정할 때 전하량의 변화뿐만 아니라 질량 변화도 동시에 측정해 정확도를 높였다. 마지막으로 실리콘 표면의 나노구조를 개선해 측정 민감도를 높였다. 이 연구원은 e메일 인터뷰에서 ... ...
[사이언스 010] 맛의 과학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따라서 우리의 혀는 단백질의 감칠맛을 느끼도록 진화했다. 하지만 단백질 자체는
분자
가 너무 커서 맛 수용체가 느끼지 못하고 단백질의 구성성분인 아미노산을 느낄 수 있다. 끓이거나 발효시켜서 재료 속에 든 글루탐산을 극대화시키는 게 감칠맛의 핵심이다.감칠맛은 짠맛과 단맛을 상승시키고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