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d라이브러리
"
분자
"(으)로 총 3,240건 검색되었습니다.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2016 대전 사이언스페스티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함성이 쏟아져 나왔어요. 함성 소리를 따라 가 보니
분자
요리사인 최상현 셰프가
분자
요리를 만들고 있었어요. 기자단은 최상현 셰프과 함께 망고 노른자와 과일맛 캐비어, 물방울 떡, 구름과자를 만들어 봤어요.“숟가락에 담은 과일 주스를 염화칼슘 녹인 용액에 떨어뜨리면 캐비어가 돼요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끈적끈적한 접착제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일반적으로
분자
량이 커질수록 반데르발스 힘이 증가한다. 전분의 주성분인 다당류의
분자
량은 180g/mol인 반면, 젤라틴은 약 2만g/mol로 100배 가량 차이가 난다. 이 때문에 보통 동물성 접착제가 식물성 접착제보다 접착력이 더 강하다 ... ...
[쇼킹 사이언스] 거대한 보석들이 반짝반짝 나이카 결정 동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걸쳐 거대한 결정을 만들었답니다. 석고의 정확한 이름은 ‘수화칼슘 황산염’으로,
분자
식은 CaSO4·2H2O예요. 석고가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결정을 이룬 것은 ‘셀레나이트(Selenite)’라고도 불러요. 한마디로 이 동굴은 거대한 셀레나이트들이 가득한 동굴인 거예요.*포화상태 : 어떤 물질이 더 이상 ... ...
[과학뉴스] 2016년 노벨상의 주인공은 아주 작은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두 개를 연결해 외부 자극을 받으면 기계처럼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들었어요. 이들이 만든
분자
기계를 이용하면 몸에 쌓인 중금속을 모아 밖으로 배출시키거나 암세포 치료제 등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답니다 ... ...
[도전! 코드마스터] 코딩을 알면 노벨상 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0호
덕분에 직접 물질을 다루거나 골치 아픈 식과 머리싸움을 하지 않더라도, 쉽고 빠르게
분자
속을 볼 수 있게 된 거지요.이처럼 코딩의 발전은 언뜻 보기에 상관없는 다른 과학 분야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어요. 어쩌면 어과동 친구들 중 뛰어난 코딩 능력을 이용해 노벨상을 타는 멋진 과학자가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뜻밖의 범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그럼 위에 있던 차가운
분자
들이 아래의 빈 공간으로 밀려 내려와요. 이렇게 열을 받은
분자
들이 이동하며 전체에 열을 고루 전달하는 과정을 ‘대류’라고 해요.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공기층인 ‘대기’는 햇빛이나 땅에서 올라오는 열 때문에 안에서도 온도 차이가 있어요. 그런데 만약 대기의 ... ...
[포커스 뉴스] 우주 극한환경 만들어 물질 결정의 본모습 찾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결정구조를 확인했다.이근우 책임연구원은 “레이저를 생성할 때 쓰는 KDP 수용액 속
분자
의 결정구조를 상온에서 확인한 것”이라며 “초과포화상태를 자유자재로 다루는 이 기술을 이용하면 앞으로 단백질의 명확한 구조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이 장치로 3000℃ 이상의 ... ...
Part 2. 내 안에 펼쳐진 나만의 우주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자라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혈관모세포가 혈관내피 성장인자라는 단백질
분자
를 주변으로 내뿜는데, 새로운 혈관이 여기에 형성되면서 네트워크를 이룬다고 설명했다. 그러니까 혈관은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기보다는 이미 유전적으로 설계된 대로 가지를 뻗고 있는 셈이다. [포스텍 ... ...
[과학뉴스] 사람 소장의 융모 흉내 낸 배터리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전자를 포획하는 능력이 점차 약해지는 현상을 발견했다.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수록 황
분자
가 고리를 이뤄 리튬과 사슬 형태로 연결되는 부위가 많아지면서 전하를 띤 기자리튬이온을 포획하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연구팀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양전극 부분에 리튬이온을 추가로 포획할 수 ... ...
[News & Issue] 감칠맛=글루탐산 맛!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따라서 우리의 혀는 단백질의 감칠맛을 느끼도록 진화했다. 하지만 단백질 자체는
분자
가 너무 커서 혀의 맛 수용체가 느끼지 못한다. 맛 수용체는 단백질의 구성성분인 아미노산(ex. 글루탐산)을 느낄 수 있다. 끓이거나 발효시켜서 재료 속에 든 글루탐산(MSG)을 극대화시키는 게 감칠맛의 핵심이다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