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d라이브러리
"
분자
"(으)로 총 3,240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感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손상되지 않도록 최소한의 플라즈마를 조사해 미세유체칩을 만들었다. 또 생체
분자
를 이용해 물질을 측정할 때 전하량의 변화뿐만 아니라 질량 변화도 동시에 측정해 정확도를 높였다. 마지막으로 실리콘 표면의 나노구조를 개선해 측정 민감도를 높였다. 이 연구원은 e메일 인터뷰에서 ... ...
[Origin] 지루한 기본맛? 반전의 향료 바닐라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껍질을 이용한다. 식물의 세포벽을 이루는 리그닌은 방향성 알코올로 이뤄진 복잡한 고
분자
인데, 여기에 바닐린 구조도 들어있기 때문이다. 바닐린의 화학구조는 천연이나 합성이나 똑같기 때문에 예전에는 이렇게 만든 향료도 천연으로 분류했다. 그러나 완벽한 천연을 바라는 소비자의 요구가 ... ...
[사이언스 010] 맛의 과학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따라서 우리의 혀는 단백질의 감칠맛을 느끼도록 진화했다. 하지만 단백질 자체는
분자
가 너무 커서 맛 수용체가 느끼지 못하고 단백질의 구성성분인 아미노산을 느낄 수 있다. 끓이거나 발효시켜서 재료 속에 든 글루탐산을 극대화시키는 게 감칠맛의 핵심이다.감칠맛은 짠맛과 단맛을 상승시키고 ... ...
[Future] 너덜너덜 번아웃 된 기자, ‘마음챙김’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었다. 그런데 최근 그 증거가 뇌 영역에서 신경과
분자
수준에서 밝혀지기 시작했다. 한 예로 2015년 3월 ‘뉴로사이언스’에는 ‘마음챙김 명상의 신경과학’이라는 제목으로 180개 관련 논문을 리뷰한 13페이지 논문이 실렸다(DOI: 10.1038/nrn3916). 논문에서는 ... ...
[과학뉴스] 영하에서 얼음은 한 층씩 녹는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하나가 준 액체로 변해 있는 것을 발견했다. 서서히 온도를 높이자 영하 16℃에서 두번째
분자
층이 준 액체로 변했다. 온도가 높아지면 얼음표면이 조금씩 지속적으로 녹을 것이라는 기존 추측과 달리, 특정 온도에 도달했을 때 한층씩 녹아내리는 방식이었다. 연구에 참여한 미샤 본 교수는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것이다. 예를 들어 위선암이나 폐선암은
분자
생물학적 진단기법으로 관찰하면 특정
분자
와 관련된 유전자 변이가 원인이다. 앞으로는 병이 난 부위가 달라도 ‘EGFR변이 암’처럼 부를 가능성이 있다. 치료도 개인 맞춤형으로 다가설 것이다. 최근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기술은 초기 연구 수준을 지나 ... ...
Part 5. 작게 더 작게! 진짜 작은 마이크로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만들었다는 점이 가장 큰 의의라고 해요. 페링하 교수는
분자
모터를 이용해 2011년에는
분자
자동차(아래 그림)도 만들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꿀꺽 삼키면 치료가 싹~! 마이크로 로봇Part 1. 마이크로 로봇이 뜬다!Part 2. 꿀꺽~! 삼키는 마이크로 로봇Part 3. 혈관 속을 누비는 로봇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국제천체투영관영화제에서 황홀한 오로라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에피소드 등을 물어보았어요.*플라스마 : 기체의 온도가 2000℃ 정도로 올라가면 기체
분자
가 쪼개져 원자 상태가 돼요. 약 3000℃에서는 원자에서 전자가 떨어져 나가 이온화가 되죠. 이런 상태의 기체를 플라스마라고 한답니다.캐나다, 아이슬란드, 노르웨이에 갔습니다. 오로라는 1년 365일 있습니다. ... ...
[출동! 섭섭박사] 화산모형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여기에 물을 넣어 주면 물이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속 산소, 수소와 결합하며
분자
들 사이를 벌려놓는답니다. 그 결과 구슬의 크기가 커지고 딱딱했던 구슬이 고무처럼 말랑말랑해지지요.폴리아크릴산나트륨은 무려 자기 부피의 400배나 되는 물을 흡수할 수 있어요. 물을 잘 흡수하는 성질 덕분에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끈적끈적한 접착제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일반적으로
분자
량이 커질수록 반데르발스 힘이 증가한다. 전분의 주성분인 다당류의
분자
량은 180g/mol인 반면, 젤라틴은 약 2만g/mol로 100배 가량 차이가 난다. 이 때문에 보통 동물성 접착제가 식물성 접착제보다 접착력이 더 강하다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