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시골
기름
지구
지대
유지방
굳기름
d라이브러리
"
지방
"(으)로 총 2,796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착한야식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삼 박자를 모두 갖췄지요. 몸에는 야채와 과일이 좋겠지만 그게 어디 야식인가요? 거기에
지방
을 축적하게 한다는 혈청 코티솔까지 생각한다면 야식이 두려워집니다. 하지만 올빼미처럼 밤에 노는 전 야식을 포기할 생각하니 벌써부터 기운이 빠집니다. 이 기사를 마무리할 수 있을지조차 장담 ... ...
생면으로 요리한 봉골레 파스타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익힐 때 전분 알갱이와 영양분이 빠져나가는 현상을 막아줘요. 달걀노른자에 들어 있는
지방
은 반죽을 더 섬세하게 만들고, 파스타를 부드럽게 만들어요. 무엇보다도 반죽에 달걀을 넣으면 몸에 좋은 단백질이 더해지지요. 그런데 달걀을 넣어 만든 생 파스타는 그만큼 빨리 상할 수 있어요. 시중에 ... ...
열대야가 72일이나…2100년 서울의 밤은 ‘더워~’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올해 여름 폭염으로 밤잠을 설치지 않은 사람들이 있을까. 그런데 앞으로 이런 열대야가 점점 길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와서 충격을 ...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2100년의 서울은 1년 중 반은 여름이고, 제주도를 비롯한 남쪽
지방
은 아예 겨울이 없어질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남극 해저의 난파선이 썩지 않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나무토막에서는 이 종은 물론 미생물에 의한 분해 흔적도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온대
지방
해저에 가라앉은 나무토막이 반 년 만에 크게 분해되는 것과 대조적이다. 연구팀은 “인근지역 해저를 수중 촬영한 결과 나무토막 유입이 전혀 없었다”며 “나무를 처음봐서 생물이 이용하지 못한 ... ...
20시간 만에 완성하는 극지 얼음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만드는데 세제를 넣는다고?빙해수조에는 에틸렌글리콜(0.39%)과 함께, 세제 성분의 일종인
지방
성 화합물(0.036%)을 섞는다. 이 때문에 빙해수조에는 세제 거품처럼 무지개빛을 내는 거품이 ‘둥둥’ 떠 있다.그 혼합물로 얼린 얼음의 단면을 보면 얼음핵을 떨어뜨린 표면은 둥근 ‘입자형’, 그 밑으로 ... ...
왓슨과 크릭도 상상 못한 DNA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만날 거예요.200년 자란 나무를 대신하는 치료제아프리카나 동남아시아 같이 더운
지방
에서는 말라리아로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어요. 나무에서 추출하는 말라리아 치료제 아르테미시닌은 200년이나 자란 나무에서 겨우 환자 한 명을 1년 동안 치료할 수 있는 양 밖에 얻을 수 없거든요. 미국 ... ...
젤라틴이 만드는 쫀득함의 비밀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또
지방
으로 코팅된 덕분에 혀에 얼음입자가 직접 닿지 않아 덜 차갑게 느껴진 답니다.
지방
이 들어 있지 않은 셔벗은 얼음결정이 크기 때문에 질감이 거칠고, 코팅되어 있지 않으므로 훨씬 차가워요. 그만큼 더 빨리 녹는답니다.여러 가지 아이스크림을 맛보고 나니 무더위가 싹 도망가 버렸어요. ... ...
[수학뉴스] 밤새도록 수학 계산을 하는 식물이 있다?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식물이 살아남기 위해 수학 계산을 한다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존이네스센터 농업유전학과 마틴 하워드 교수는 애기장대 ... 아니다”라고 덧붙였다.연구팀은 애기장대 수학모델이 기러기 등 철새들의 비행시간과
지방
소모량의 관계 연구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8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 기자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건강을 해칠 수도 있다. 당에 중독되고 비싼 카카오 버터 대신 포화
지방
또는 트랜스
지방
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채린(부산 동래여고 2)옛날부터 단것을 워낙 좋아했던 터라 초콜릿에 대해 한 번쯤은 다뤄보고 싶었다. 기사를 쓰고 나니 무엇인가 이뤄냈다는 뿌듯함과 동시에 나도 할 수 있다는 ... ...
Part 2. 바이러스가 당신을 당장 죽이지 않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미얀마, 필리핀, 인도네시아에서 40만 명을 감염시켜 8000명을 죽이고, 지금도 여전히 열대
지방
에서 악명을 떨치는 뎅기열바이러스다. 일반적으로 한 번 감염됐던 바이러스에 또 감염되면 강력한 2차 면역반응 덕분에 바이러스를 쉽게 물리칠 수 있다. 그런데 뎅기열바이러스는 2차 면역반응을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