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추장 1000년의 비밀을 풀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조선을 건국한
뒤
에도 그 맛을 잊지 못해 순창고추장을 수라상에 올리라고 명했다. 그
뒤
순창이 맛 좋은 고추장으로 유명해졌다는 얘기다. 그래서인지 순창에서는 고추장의 역사를 늦어도 조선 건국(1392년) 전으로 보고 있다. 권 박사는 고추에 대한 구전설화가 과학적으로 100% 입증된 이야기는 ... ...
진짜 재미있는 과학은 진지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난해했는지 몇 번이나 글이 오고 갔습니다. 너무 어려웠는지 결국 실리지는 않았어요. 그
뒤
에 생각해보니 왠지 글쓰기에 욕심이 생기더라고요.” 이 연구원은 이 사건을 계기로 과학 분야에서 전문가 글쓰기의 중요성을 새삼 체감하게 됐다고 했다.과학의 참 재미에 도전사이언스온은 필진 ... ...
외유내강 검정파리와 외강내유 전갈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구더기 녹여 파리 만드는 검정파리 번데기 작고 기다란 붉은 ‘알’이 꿈틀거리다가 한쪽에 금이 가기 시작한다. ‘알’을 깨고 천천히 기어 나오는 것은 검정파리 ... 단단해진다는 뜻이다. 새끼 전갈들은 최대 7번까지 탈피를 하며, 단단한 외골격이 생긴
뒤
에야 어미의 몸에서 독립한다 ... ...
폐수에서 전기 얻는 일석이조의 미생물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이 연구는 무매개체형 미생물연료전지를 구현한 세계 최초의 사례로 기록됐다.그
뒤
에도 김 박사팀은 두 가지 방향에서 미생물연료전지 연구를 주도했다. 첫째로는 폐수를 처리하는 데 미생물연료전지를 쓸 수 있는지 조사했다. 보통 폐수에는 다양한 형태의 유기물이 들어 있는데, 폐수의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설명했다.이를 보완하기 위해 현미경 연구자들은 하나의 신경세포를 촬영한
뒤
자동으로 그 다음 신경세포를 촬영하는 방법을 개발 중이다. 그는 컴퓨터 비전 기술로 대뇌의 연결선인 축색 조직을 추적하는 연구를 한다. 하지만 데이터만 얻는다고 해서 능사는 아니다. 결국 알고 싶은 것은 데이터 ... ...
죽음과 맞바꾸는 치명적인 맛 황복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되면 좋은 환경을 찾아 강물을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지금의 강바닥은 부유물로
뒤
덮이고 물에서는 악취가 풍긴다. 무분별한 골재채취로 인해 자갈밭을 찾는 일이 더욱 어려워졌다. 무엇보다도 큰 문제는 황복이 올라갈 강줄기를 막고 있는 보와 댐이다. 대규모의 간척사업과 강 하구에 설치되는 ... ...
계획 없이 하는 공부는 이제 그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중에서도 유체역학을 배우고 싶어요. KAIST에 탐방을 갔을 때, 교수님께 질문을 받은
뒤
부터 관심이 생겼어요.”“그러면 관련 책은 많이 읽어봤니?”“학교 도서관에서 과학에 대한 웬만한 책은 다 읽었어요. 그런데 물리학에 대한 몇몇 책들은 어려워서 못 읽겠더라구요.”이과 서적은 기본적인 ... ...
학습계획서 작성하기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하나의 성취를 얻기까지 스스로 노력해온 과정을 표현하고, 해당 학교에 입학한
뒤
어떤 학습계획이 있는지 연관성 있게 정리하면 자신이 꼭 선발돼야 하는 이유가 더욱 확실해질 것이다. 봉사 및 체험 활동은 21세기형 리더에게 필요한 덕목을 보기 위해 자기주도학습 전형과 입학사정관제에서 ... ...
TV as the Most Important and Newest Technology?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삶에 대한 영향력일 것입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인도에서는 케이블TV가 마을에 생긴
뒤
로 여성이 남편의 허락을 일일이 받지 않고 시장에 가는 빈도가 더 늘었고 남아선호사상이 줄었다고 합니다. 여성들은 자녀의 보건에 관해 더 많은 결정권을 얻게 됐으며, 남편이 부인을 때리는 권리가 있다고 ... ...
허블, 새로운 눈으로 우주를 담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우주선진국들의 차세대 우주망원경 계획이 속속 발표되는 가운데, 어떤 망원경이 허블의
뒤
를 이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가장 눈에 띄는 후보는 NASA에서 2013년 발사 예정인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이다. JWST는 반사경의 지름이 6.5m로 허블(2.4m)보다 약 2.7배 크다. 반사경이 클수록 망원경은 ... ...
이전
764
765
766
767
768
769
770
771
7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