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의뢰 1 군사작전을 해도 될까요?수학동아 l2010년 04호
- 그 속에 무언가를 숨기고 있어요. ✚평균에 감춰진 함정 평균은 자룟값을 모두 더한 뒤 자료의 개수로 나눈 값으로 월평균 기온, 평균점수와 같이 자료를 대표하는 값으로 많이 사용한다. 하지만 평균에는 엄청난 함정이 있다. 바로 자룟값 중 아주 큰 값이 있거나 작은 값이 있으면 자료를 ... ...
- 지붕뚫고 하이킥의 단짝, 해리와 신애수학동아 l2010년 04호
- 뺄셈법. 극 중 해리는 모든 뺄셈 문제를 신애가 해리의 먹을 것을 뺏어먹는 것으로 고친 뒤 문제를 풀었어요. 그 결과 해리는 0점에서 80점이 됐죠. 특히 해리가 가장 좋아하는 갈비를 이용해서 뺄셈 공부를 했더니 효과 만점 ... ...
- 그들은 왜 큰 몸집을 택했나과학동아 l2010년 04호
- 다시 올라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그 뒤 다시 한 차례 대멸종을 더 거쳐 2억년 뒤 지구는 또 다시 새로운 모습을 띠게 된다. 지금의 판구조론을 적용하면 각각 분리됐던 대륙들이 한데 뭉쳐 거대한 하나의 초대륙이 된다. 과학자들은 초대륙으로 바뀌면 대륙 내부는 매우 건조한 사막이 형성되고 ... ...
- 한반도 5~6년마다 큰 지진 온다과학동아 l2010년 04호
- 양양에서 지진이 일어나 땅이 갈라지고 해일이 일어났다는 기록도 남아 있다. 하지만 그 뒤 약 200년간 국내에서는 대규모 지진이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일부 학자들은 ‘역사지진’을 근거로 했을 때 한반도는 대지진의 위험이 점점 커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하지만 기상청을 포함해 지진관측 ... ...
- 귀는 속여도 코는 못 속인다과학동아 l2010년 04호
- 같은 돌출 부위의 높낮이를 구별한다. 연구팀은 실험에 참가한 36명의 얼굴을 촬영한 뒤 프로그램을 이용해 3차원 영상(사진)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코 주변의 특징인 코끝과 콧등, 미간을 비교 분석해 로마인의 코와 그리스인 코, 흑인 코, 매부리코, 넓은 코, 들창코 등 6개 유형으로 나눴다.에반스 ... ...
- 감쪽같이 위장한 ‘움직이는 나뭇잎’과학동아 l2010년 04호
- 하나씩 낳으며, 개미가 주워갈 수 있도록 땅바닥에 떨어뜨린다. 수정이 된 알은 약 3개월 뒤에 부화하지만, 암컷이 혼자 낳은 알은 9개월 정도가 지나야 새끼가 나오는데, 모두 암컷으로 태어난다. 큰가시대벌레의 애벌레는 작은 개미와 닮았다. 다른 개미들과 함께 개미집에서 지내면서 말벌 같은 ... ...
- 빅뱅 직후 우주에는 쿼크가 흘렀다과학동아 l2010년 04호
- 1이다. 초입자삼중수소핵은 매우 불안정 하기 때문에 보통 수백 피코초(1피코초는 10-12초) 뒤에 기묘도가 0인 반헬륨-3 원자핵과 중간자(π+)로 붕괴한다.이번에 발견된 반물질 초입자원자핵은 1952년 발견된 초입자원자핵의 반입자인 반초입자삼중수소핵(antihypertriton)이다. 반양성자, 반중성자, ... ...
- 한방과 양방으로 다스리는 척추측만증과학동아 l2010년 04호
- 들어가는 약재들은 물에서 직접 추출하기가 어려워 알코올에서 90℃로 끓였다. 그 뒤 몇 가지 약재는 분해하고, 몇 가지는 일반 약재처럼 물에서 추출하고 나머지는 60~70℃에도 물을 끓이는 단압장치로 추출했다.이렇게 얻은 약재를 합쳐서 가루로 빻으면 약이 완성된다. 풍한습비환은 고통을 ... ...
- 생명의 비밀을 푸는 열쇠, 동적평형과학동아 l2010년 04호
- 대한 중대한 물음으로 긴 글을 시작한다. 지금까지 우주에 대해 알려졌던 내용을 짚어준 뒤 우주가 어떻게 시작됐고, 무엇으로 이뤄졌으며 우주가 생명체에 적합한 이유가 무엇인지 하나하나 알려준다.이 책에 따르면 생명체란 외관상 우연인 듯 보이는 물리법칙과 우주의 정교한 구조적인 특징으로 ... ...
- 1982년 토머스 체크 교수의 RNA 효소 발견과학동아 l2010년 04호
- 밝혀졌다. 리보자임 발견은 워낙 놀라운 사건이었기 때문에 논문을 발표하고 불과 7년 뒤인 1989년 체크 교수는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다.리보자임 발견으로 ‘효소란 촉매 활성이 있는 단백질’이라는 정의 자체가 바뀌었을 뿐 아니라 생명의 기원에 관련해서도 혁신적인 사고의 전환이 일어났다. 즉 ... ...
이전7677687697707717727737747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