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교과연계수업] 3월 14일, 파이(π)와 즐기는 파이파티!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과학관에서 시작됐어. 은퇴한 물리학자 래리 쇼 박사가 처음으로 이 행사를 주관했지. 그
뒤
로 샌프란시스코에서는 파이의 날을 기념일로 정해서 매년 행사를 열고 있어. 올해는 22번째 기념일이 될 거래. 래리 쇼 박사가 아직도 이 행사를 돕고 있다는 소식이야. 미국엔 유명한 ‘파이클럽’도 있어. ... ...
반짝 반짝! 보석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송진은 나무를 타고 흘러내리면서 종종 나무에 붙어 있던 곤충을 덮쳐 함께 굳어져. 그런
뒤
에 지각 변동이 생겨서 송진이 땅 속 깊은 곳으로 들어가면 높은 압력과 열을 받아 화석처럼 단단해지게 되지. 이게 바로 호박이야. 지구의 역사를 담고 있는 데다가 너무나 희귀해서 보석이 될 수 있었단다 ... ...
화가는 파란색을 좋아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작업을 늦게 할 핑계가 없었지요. 다 빈치는 꾀를 내어벽 위에 템페라로 밑그림을 칠한
뒤
, 그 위에 다시 *유화를 발랐어요. 그러고는 “그림이 안 말라 빨리 그릴 수가 없다”고 핑계를 댔어요.그런데 다 빈치도 예상하지 못한 문제가 생겼어요. 템페라를 바른 부분에 습기가 차기 시작한 거예요. ... ...
Part 3. 완전 기대 새학기 생활! 수학은 공평해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사람은 9분을 기다린 다음에 화장실을 쓸 수 있다.한줄 서기 3분에 3명씩 빠지므로 맨
뒤
에 서 있는 사람도 9분을 기다리면 화장실을 쓸 수 있다.이렇게만 보면 칸별로 줄서기나 한줄 서기나 기다리는 시간은 비슷해 보여. 하지만 누군가가 화장실을 20~30분씩 차지하는 일이 생기면 얘기는 달라지지 ... ...
[허풍의 퍼즐 세계일주] 찰스와 시계공장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그러니까 이곳에 보물이 있다는 말이지. 이걸 혼자 발견하면 다 내가 갖는 거야. 지도
뒤
에 있는 숫자와 기호를 선 하나로 이어서 옳은 수식만 만들면 보물이 있는 장소가 나오고. 그럼 보물이 내 손에! 흐흐흐.’“선생님 뭐하세요? 좋은 일이라도 있으세요? 왜 혼자 웃고 그러세요?”“아니다. ... ...
우울과 몽상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미칠 수 없다.사라진 마리와 정체불명의 시체에 얽힌 이야기의 마지막 부분입니다.
뒤
팽은 사건을 설명하며 위와 같은 말을 합니다. 조금 아리송한데, 무슨 소리인지 자세히 알아봅시다.주사위를 던졌는데 몇 번이나 연속해서 6이 나왔습니다. 그러면 다음에 주사위를 던질 때 6이 나올 확률은 ... ...
힐베르트의 세 번째 문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된 것은 20세기에 들어서였다. 수학적으로 엄밀하지 않으면에 x=1을 넣어서이라고 계산한
뒤
기적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밑변과 높이가 같은 두 삼각형은 넓이가 같다’는 명제를 생각해보자. 삼각형은 항상 조각내서 밑변과 높이가 같은 직사각형으로 바꿀 수 있기 때문에, 밑변과 높이가 같은 ... ...
종이컵에 컵슬리브 끼기까지 86년 걸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볼펜이라는 것은 소수의 외신기자 들만이 사용했기 때문에‘기자펜’으로 불렸다. 그
뒤
로 많은 발명품이 쏟아지면서 이제 펜은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 됐다. 오늘날 필기구 분야는 발명의 각축장이라 할 만큼 다양한 아이디어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우리나라에서도 무수히 많은 ... ...
기초 학업 위에 스펙
뒤
따라야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전형의 일정 속에 포함돼 있다. 대입 전형은 크게 수능 전에 치르는 수시 전형과 수능
뒤
치르는 정시 전형이 있다. 입학사정관 전형은 두 전형 중 어떤 전형에 적용되느냐에 따라 중점 요소가 달라진다. 입학사정관제로 가장 많은 인원이 선발되는 유형은 수시 전형이다. 이 전형에서 내신은 매우 ... ...
상상까지 현실로 창조하라, 리얼리티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가까이 있는 물체는 두 이미지의 차이가 크다. 뇌는 양쪽 눈에 투영된 이미지를 중첩한
뒤
그 차이를 인식해 눈에서 해당 물체까지의 거리, 즉 깊이를 계산한다.전통적인 2D방식은 두 눈에 동시에 같은 이미지를 투영시키기 때문에 두 이미지 간의 차이가 없어 대상이 멀리 있는 것처럼 보인다. 즉 ... ...
이전
770
771
772
773
774
775
776
777
7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