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환상의 그림나라에서 알쏭달쏭 과학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앞선 두 숫자의 합이 그 다음에 오는 수열 맞지?맞아. 나란한 두 숫자끼리의 비율이
뒤
로 갈수록 점점 황금비율과 같아진다지 뭐야. 그럼 혹시 정답이 황금비율…?맞았다옹! 두 사람 모두 나의 무도회에 온 것을 환영해. 함께 가자.아니, 여왕님? 설마 냥냥이가 여왕님? 숨겨졌던 또 다른 저주가 풀린 ... ...
Part 3. 완전 기대 새학기 생활! 수학은 공평해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사람은 9분을 기다린 다음에 화장실을 쓸 수 있다.한줄 서기 3분에 3명씩 빠지므로 맨
뒤
에 서 있는 사람도 9분을 기다리면 화장실을 쓸 수 있다.이렇게만 보면 칸별로 줄서기나 한줄 서기나 기다리는 시간은 비슷해 보여. 하지만 누군가가 화장실을 20~30분씩 차지하는 일이 생기면 얘기는 달라지지 ... ...
측정과 어림, 통계의 시작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자리를 나타내기 위한 0, 즉 0.2에서 0은 유효숫자가 아닙니다. 460처럼 0이 아닌 숫자
뒤
에 있는 0은 한눈에 유효숫자인지 아닌지 알 수 없습니다. 이는 반올림한 자릿값이 주어져야 판단할 수 있습니다 ... ...
식품으로 마음의 평화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섭취하는 것만으로도 교도소 내의 공격적인 행동이 평균 26% 줄어들었다. 그
뒤
네덜란드 연구진들이 좀 더 개선된 처방으로 우리 실험을 재현했는데, 대조군에 비해 공격성이 48%나 줄어들었다고 보고했다. 이건 엄청난 효과로 수감자들이 감내해야 할 유일한 ‘위험’은 ‘건강이 좋아진다’는 ... ...
볼리비아 우유니 소금사막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모조리 소금, 즉 암염 덩어리로 만들어졌다. 관광객들은 직접 ‘소금집’의 맛을 확인한
뒤
에야 꿈처럼 펼쳐진 하얀 풍경이 눈이 아니라 소금임을 다시금 실감한다.소금사막의 지하에는 안데스 산맥에서 화산암 지역을 거쳐 흘러온 미네랄이 풍부한 소금물이 흐르는데,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 ...
탄소 다이어트 집에서 따라하기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면이 많다. 늘리기는 쉽지만 빼기는 어렵다는 점이 그렇다. 다이어트를 시작한 지 얼마
뒤
나타난다는 ‘요요현상’까지 똑같이 나타난다. 실제로 탄소 감량에 성공한다고 해도 이를 획기적으로 줄이거나 현 상태를 유지하는 데는 상당한 노력이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저배출 가정에 포함됐던 주부 ... ...
학습과 놀이의 절묘한 만남 기능성 게임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GDC 2009) 자료에 따르면 캐나다 공군은 사격훈련과 고공낙하훈련에 시뮬레이터를 적용한
뒤
실전에 버금가는 효과를 얻었으며, 결과적으로 실제 상황에서의 사망률이 많이 감소했다고 분석됐다. 체감형 게임의 경우 신체적 움직임을 동반하기 때문에 부상문제가 이슈로 제기된다. 체감형 ... ...
과학으로 벗겨본 남녀 탐구생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잡아당기며 싸워요. 이 네 명은 각각 커플이에요. 한 여자아이가 다른 여자아이한테 왜
뒤
에서 내 욕을 하느냐며 따지다가 남자친구들 간의 싸움으로 번졌어요. 참으로 눈물겨운 시추에이션이 아닐 수 없어요. 한 남자아이가 다른 남자아이에게 어퍼컷을 날려요. 빗나가요. 그러자 다른 아이가 ... ...
창의성 높이는 공간 만드는 신경건축의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무렵의 일이다. 그는 실험실에서 밤12시까지 실험을 하고 주말에도 연구실에 나와 논문을
뒤
적이며 수년 동안 거의 하루도 쉬지않고 연구에 매진했지만, 소아마비 백신에 대한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았다. 폴리오바이러스의 활동이 너무 강력해 백신으로 억제할 방안이 도무지 떠오르지 ... ...
종이컵에 컵슬리브 끼기까지 86년 걸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볼펜이라는 것은 소수의 외신기자 들만이 사용했기 때문에‘기자펜’으로 불렸다. 그
뒤
로 많은 발명품이 쏟아지면서 이제 펜은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 됐다. 오늘날 필기구 분야는 발명의 각축장이라 할 만큼 다양한 아이디어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우리나라에서도 무수히 많은 ... ...
이전
773
774
775
776
777
778
779
780
7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