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지막 날 현실과 통하는 문, 클라인 병 건물로!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다른 도형으로 바뀔 때, 변함없이 유지되는 성질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주장했다. 그
뒤
수학자들은 더 어렵고 복잡한 도형을 이해하고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뫼비우스 행성 탐험기첫째 날 M-214호에 떨어지다 둘째 날 알쏭달쏭 신기한 세계 셋째 날 상상하면 ... ...
도넛과 머그컵이 똑같이 생겼다고?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따라 뫼비우스 띠도 직접 만들어 보고 이 앤츠가 내는 문제도 풀어 봐. 실험이 끝난
뒤
엔 바로 퀴즈를 낼 거니까 계속 긴장하고 있어야 해~.실험1 두 개의 띠가 있어. 각각의 도형에서 가운데 선을 따라 자르면 나오는 결과는 같을까 다를까? 결과 뫼비우스 띠의 양쪽 끝은 서로 다른 면과 붙고, 원통형 ... ...
2. 순간의 대변신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위에 놓는다. 이제 하이라이트인 가락내기를 할 준비가 모두 마쳤다.달인은 호흡을 고른
뒤
반죽의 양 끝에 작은 손잡이를 만들어 붙잡고는 공중에서 흔들면서 가락내기를 한다. 순식간에 두 가락이 네 가락이 되고, 네 가락이 여덟 가락이 된다. 자장면을 만들 때는 반죽의 양에 따라 128가락이나 25 ... ...
[수학 통조림] 천만 가지 문자의 얼굴을 벗겨라!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계산한
뒤
괄호 밖의 숫자와 곱한 결과는 괄호 밖의 숫자를 괄호 안의 숫자와 각각 곱한
뒤
더한 것과 같다는 것입니다.문자로 쓰면 a×(b+c) = a×b+a×c입니다. 이것은 단순히 문자로 바꾼 것이 아닙니다. 두 개 또는 그보다 많은 대상 사이의 관계를 발견해 표현하는 추상화·일반화의 과정입니다.교과서 ... ...
아이, 로봇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지구는 태양의 주위를 돌고 있습니다. 어떤 한 순간에 멀리 떨어져 있는 별을 관측한
뒤
6개월이 지나면 지구는 태양의 반대편에 와 있습니다. 이 때 똑같은 별을 관측하면 위 그림처럼 두 직선 사이의 각도를 잴 수 있습니다. 이 각도의 절반이 1초, 즉 3600분의 1도가 되는 거리를 1파섹이라고 합니다. ... ...
새 교과서의 첫 번째 성격! 대화가 필요해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나니까 외워야 한다는 부담도 없어지고 자신감이 생겼다. 그리고 공식을 이해한
뒤
에 문제 5개를 풀었는데 모두 다 맞아서 기분이 좋았다. 내일은 복잡한 도형의 넓이를 구하는데, 조금 걱정스럽지만 기대도 된다.수학일기를 써 보았어. 배운 내용을 정리하고, 느낀 점을 솔직하게 쓴 글이야. 매일 ... ...
얼음 위의 날쌘돌이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무릎을 쭉 펴는 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발이 들리는 문제는 기술로 해결했어. 스케이트날
뒤
축이 신발과 붙었다가 떨어졌다가 하는 ‘클랩 스케이트’가 개발된 거야. 신발은 들려도 스케이트날에 용수철을 달아 계속 얼음바닥에 붙어 있게 만들었어. 클랩은 발을 옮길 때마다 용수철에서 나는 ... ...
줄기세포 원정치료 논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혁신적인 치료란 동물을 대상으로 한 전임상에서 충분한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보한
뒤
다른 치료로는 가망이 없는 중증 인 환자들에게 치료를 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효과가 입증되면 별도의 임상시험 없이도 치료법으로 인 정된다. 저자들은 “지난 40년 동안 개발된 외과적 치료법의 10~20%만이 ... ...
동계스포츠에 숨은 과학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보호해야 한다.
뒤
로 누워 타는 루지루지(luge)는 프랑스어로 썰매를 뜻한다. 루지는
뒤
로 누운 채 다리부터 내려가기 때문에 도움닫기가 없다. 따라서 다른 썰매들과 출발 장소가 다르다. 얼음 바닥을 양손으로 쳐서 속력을 높인다. 머리나 어깨의 무게중심을 변화시켜 방향을 튼다.탄소 소재로 제작된 ... ...
일본 이리오모테 섬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힘쓰고 있다. 특히 그는 이 지역의 전통악기인 사미센 연주의 대가다. 인터뷰가 끝난
뒤
연주를 청하자 긴세이 씨는 현을 퉁기며 ‘아리랑’의 한 소절을 연주했다. 심지어 한국어로 구성지게 노래까지 부르는 모습에 놀랐다. 아리랑은 그가 태어나기 전 이리오모테 섬에 강제 징용되거나 위안부로 ... ...
이전
776
777
778
779
780
781
782
783
7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