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목성과 즐거운 화상 채팅?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필요하다.웹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을 각각의 영상으로 추출하고 이를 다시 합성한
뒤
최종적인 영상을 만드는 일은 무척 어렵다. 하지만 웹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한 동영상을 처리하는 무료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쉽게 사진을 합성할 수 있다. 천체사진가들이 많이 사용하는 ‘레지스탁스’(Registax ... ...
무관심 속에 파고든 A형간염 주의보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집단시설이나 인구밀도가 높은 장소에 있다면 대변이나 소변을 보거나 기저귀를 간
뒤
반드시 손을 구석구석 깨끗하게 씻어야 한다. 그리고 A형간염 바이러스는 85℃ 이상의 온도에서 1분간 끓이면 사멸하므로 물을 끓여먹어야 한다.A형간염은 현재 치료제가 없으므로 바이러스에 노출되기 전에 ... ...
2000년 조지프 르두 교수의 기억 재강화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반면 B그룹은 정확도가 현저하게 떨어졌다. B그룹은 둘째 날 ‘4-1-3-2-4’ 순서를 연습한
뒤
바로 ‘2-3-1-4-2’ 순서를 배우면서 기억이 업데이트됐기 때문이다. 즉 회상으로 운동 기억 시냅스가 약화된 상태에서 비슷한 동작을 하게 되자 기존 기억 회로가 재배치된 것이다.춤이나 운동을 배울 때 ... ...
태양계는 찌그러진 공 모양?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2호는 천왕성과 해왕성을 지나 행성들의 공전 궤도면 남쪽으로 여행을 계속했다. 그
뒤
2004년 12월 보이저 1호가 먼저 태양권 북쪽 말단충격을 지났고, 보이저 2호는 지난해 8월 말 태양권 남쪽 말단충격을 지났다.스톤 교수팀은 보이저 1, 2호가 지난 말단충격의 거리를 분석했다. 그 결과 보이저 2호가 ... ...
'달 먼지'로 만든 망원경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물질을 만들었다. 그는 회전주조(spin-casting) 기법을 사용해 이 물질로 반사경 밑판을 만든
뒤
그 위에 얇은 알루미늄 판을 증착하는 방식으로 반사경을 완성했다.첸 박사가 개발한 방법으로 달에 허블망원경(지름 2.4m)과 동일한 규모의 망원경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지구에서 에폭시 수지 60kg, ... ...
'명왕성'을 찾아 떠난 여행, 그
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New Horizons)는 명왕성(소행성 134340)과 그 위성‘카론’을 탐사한
뒤
수집한 영상과 데이터를 지구로 보내기 위해 만든 탐사선이다. 크기가 피아노만한이탐사선은‘카이퍼벨트’도탐사할예정이다.‘ 카이퍼벨트’는 과학자들이 46억 년 전 태양계가 탄생했을 때 형성된 물질을 간직한 곳으로 믿고 ... ...
2. 두꺼운 얼음 밑에서 지하자원 캐낸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방법과 그에 대한 경제성 분석이 아직 제시되지 않아 상용화되는 시점이 이르면 10년
뒤
다.일본은 가스하이드레이트에 대한 가능성을 재빨리 알아차리고 이미 첫걸음을 내딛었다. 캐나다 북극지역에서 2002년과 2007년 두 번에 걸쳐 가스하이드레이트 층에서 메탄을 시험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 ...
지구온난화와 제트기류의 합작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이동한다. 장마후 강수는 집중호우최근 8월 강수가 증가하면서 학자들은 장마가 끝난
뒤
에 바로 이어지는 8월 강수를 ‘장마후 강수’라고도 부른다. 8월 강수는 장마와 다르게 우리가 흔히 ‘게릴라성 호우’로 알고 있는 집중호우다. 즉 매우 좁은 지역에 짧은 시간 동안 내리는 비다.8월 강수는 ... ...
PART3 수식으로 예측한 박태환 2관왕 가능성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박태환은 200m에서 1분46초28을 기록해 펠프스 (1분45초41)에
뒤
지는 반면, 400m와 1500m에서는 3분44초31과 14분54초16을 각각 기록해 해켓(3분44초63, 14분56초19)에 앞설 것으로 예측됐다. 하지만 박태환이 헤켓을 앞선다는 것은 예측오차 내의 결과이다. 따라서 박태환이 우리의 ... ...
소금쟁이가 물 위에서 점프할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살짝 벌린 상태에서 들어온 물방울을 부리를 살짝 닫아서 눌러주면 물방울이 눌려 앞
뒤
로 퍼진다.그런데 다시 부리를 벌려주면 물방울이 제자리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부리 끝부분의 물 표면은 안쪽으로 들어가는 반면 부리 안쪽의 물 표면은 부리 끝쪽으로 거의 밀려나가지 않아서, 전체 ... ...
이전
857
858
859
860
861
862
863
864
8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