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오일러 앞지른 최석정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뒤
옳음이 증명됐다. 그러나 1959년 파커 등은 k=2인 10차 직교라틴방진을 발견했고 그
뒤
14차, 18차 등 k=1일 때를 제외한 모든 경우 오일러 방진이 존재하는 것으로 증명됐다. 천재 수학자의 추측이 보기 좋게 빗나간 셈이다. 만일 최석정이 10차 직교라틴방진을 찾는데 성공했다면 이는 획기적인 업적이 ... ...
바닷물 온도로 태풍 강도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지날 때 오키나와 남측 바다 층의 수온 변화도 조사했다. 관측 결과 태풍이 지나간
뒤
표층수온이 평균 27.9℃에서 약 4℃ 낮아져 태풍 발생 기준온도 아래로 떨어졌다. 강 박사는 “태풍이 바닷물을 수직으로 섞기 때문”이라며 “태풍이 지날 때 해류가 수직방향으로 크게 움직인다는 사실을 최초로 ... ...
잠 못 자면 '가짜 기억' 생겨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다음날 아침에 둘로 나눠 한 그룹에 카페인을 주고 다른 그룹에는 가짜를 줬다. 한 시간
뒤
단어 테스트를 한 결과 카페인을 먹은 그룹이 먹지 않은 그룹보다 ‘가짜 기억’을 10%나 덜 떠올렸다. 연구팀은 카페인이 잠을 자지 못해 손상됐던 전전두엽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
같은 살모사, 사는 곳 따라 독성분 달라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다를 것이라고 추측해왔다.연구팀은 양쪽 지역에서 사로잡은 살모사에서 독을 빼낸
뒤
크로마토그래피와 전기영동장치를 이용해 단백질을 분리했다. 분석 결과 두 지역의 살모사가 지닌 독은 단백질 조성이 크게 달랐다.특히 분리해낸 단백질 중 27종은 두 지역의 살모사 중 한쪽에서만 발견됐다. 또 ... ...
타이거 우즈 따라할 수 있는 셔츠 개발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센서 내부에 전기장이 발생한다. 그러면 센서에 내장된 회로가 이 신호를 증폭시킨
뒤
무선으로 컴퓨터에 전송한다.측정한 자료를 컴퓨터로 분석하면 특정 동작을 할 때 어떤 근육을 움직이는지 정확히 알 수 있다. 이 정보는 테니스 선수나 골프 선수처럼 같은 동작을 많이 반복하는 운동선수가 ... ...
'탄소 제로 도시' 뜬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시작했다. ZESH에서 살게 된 일은 운명 같은 우연이었다. 인하대 기계공학과를 졸업한
뒤
한국에너지연구원에서 석사과정을 시작하게 된 필자는 대전에서 보금자리를 찾아야 했다. 마침 필자가 태양열 연구팀에 소속이 됐고, 연구팀의 배려로 ZESH에 둥지를 틀었다. 대신 ‘미션’이 주어졌다. ZESH를 ... ...
1. 두께 1m 얼음 깨며 나가는 북극 첨병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30m로 현재 세계에서 가장 크다.미국은 2차 세계대전 중 4척의 쇄빙선을 처음 건조한
뒤
1970년대 핵연료를 사용하지 않는 쇄빙선 가운데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출력을 가진 ‘폴라스타’와 ‘폴라씨’를 만들어 북극해 탐사를 벌이고 있다.캐나다 역시 북극해 주변에서 천연자원을 활발하게 ... ...
다이어트 콜라와 멘토스 사탕이 만났을 때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그런데도 다이어트 콜라가 이 실험의 주인공이 된 이유는 덜 끈적거리기 때문. 실험
뒤
처리를 하기에는 다이어트 콜라가 좋다.2. 멘토스 한번에 쏙~ 들어가야다이어트 콜라에 멘토스 사탕을 넣을 때 유념할 점이 있다. 멘토스 사탕이 한꺼번에 콜라 병 속으로 쏙 들어가야 한다는 점이다. 이게 ... ...
PART2 과학으로 무장한 태극전사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그 자리에서 피드백을 준다.가령 철봉에서 봉을 차고 올라가서 최고 높이에 다다른
뒤
공중에서 도는 연기를 한 다음 다시 봉을 잡고 내려오는 동작이 있다. 이때 가장 중요한 요소는 최고 높이다. 철봉의 기대주 김지훈의 경우 이 연기에 성공했을 때 최고 높이가 실패했을 때보다 약 24cm 높았다. 백 ... ...
'차르르' 소리로 한여름 도시 점령한 말매미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나무뿌리에 기생하던 매미 유충이 많이 죽어 해당 지역에 서식하는 매미가 사라졌다.그
뒤
1980~1990년대 들어 도시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도시에 녹화사업을 벌였다. 그 일환으로 플라타너스가 가로수로 인기가 높았다. 이때 말매미가 ‘르네상스’를 맞았다. 말매미는 활엽수의 수액을 좋아한다. 특히 ... ...
이전
858
859
860
861
862
863
864
865
8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