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입시 벗어나 논문 쓰는 고등학생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주제는 패널 토론, 마술 공연, 오케스트라 협연, 영화 촬영 등이었다. 학생들은 영재성
뒤
에 숨은 ‘끼’를 맘껏 풀어냈다. 마술 초빙 강사의 시범을 한 번 보고 그대로 재현하고, 1주일 만에 오케스트라 화음을 맞출 정도. 학예전을 지켜본 교사들은 “수학·과학에서만 뛰어난 학생들이 아니라는 걸 ... ...
시리우스 커플의 빛나는 댄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잠시 관심의 대상이 됐던 이 별이 천문학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은 그로부터 얼마
뒤
베셀에 의해서였다. 짝꿍을 발견하다19세기 초 천재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인 베셀은 밤하늘의 좌표를 정밀히 구하고 기준성으로 삼았던 38개 별의 정확한 위치를 발표했다. 그는 이 기준성들의 고유운동을 ... ...
우주개발에 대해 알고 싶은 7가지 궁금증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그래서 1971년 4월 세계 최초의 우주정거장인 러시아의 ‘살류트’가 발사되었다. 2년
뒤
미국은‘스카이랩’이라는 우주정거장에서 무중력 상태를 이용한 다양한 실험을 했다. 그 후 러시아의 미르를 비롯하여 우주정거장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졌고, 드디어 지상 400km에 초거대 ... ...
중국 두 번째 유인우주선 선저우6호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쌓여 삼각형 모양을 이룬 지형빙하의 침식으로 만들어진 골짜기에 빙하가 사라진
뒤
바닷물이 들어와 생긴 좁고 긴 만 가로로 자른 면은 U자 모양을 이룬다하천이 산악지형에서 갑자기 완만한 평지로 흐를 때 산기슭에 자갈과 모래가 부채꼴로 퇴적해 생긴 지형공간의 한 지점에서 자기장의 크기를 ... ...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대조된다.이곳에서 빙하를 연구하던 지질학자 아버는 연에 디지털카메라를 매단
뒤
땅에서부터 50~150m로 띄워 올려 촬영에 성공했다. 비행기보다는 낮고 고층빌딩보다는 높은 중간 높이라 이렇게 독특한 색깔, 질감, 해상도를 얻을 수 있었다고 ... ...
3. 위장을 점령한 난폭한 미생물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못해 한동안 실패를 거듭했다.어느날 행운이 찾아왔다. 연구진은 위 점막을 배양한
뒤
3일 동안 관찰해 세균이 나타나지 않으면 배양접시를 버렸다. 35번째 환자에서 위 점막을 배양할 때 마침 부활절 휴가가 시작됐다. 연구진이 휴가를 다녀오는 바람에 5일 동안 배양을 하게 됐고 여기서 지름 1mm의 ... ...
예술과 과학의 화려한 만남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고정돼 있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해 사용한다는 점에서 다릅니다. 객석
뒤
에서 관객 위를 가로질러 무대까지 이어지는 와이어는 심지어 탄광에서 사용하던 도르래를 이용한 경우죠.”‘아이다’가 공연 중인 서울 역삼동 LG아트센터에는 각각 18대의 윈치모터와 체인 호이스트가 무대 지하에 ... ...
창공을 가르는 날틀의 경연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머리 위를 지나자 관람석에선 어느새 환호가 터져 나온다. 마치 땅 위의 먹이를 낚아챈
뒤
유유히 둥지로 돌아가는 맹금류처럼 청회색 기체는 우아한 곡선을 그리며 하늘로 치솟아 올랐다.세계 첨단 항공기와 방위산업 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2005년 서울에어쇼가 지난 10월18일부터 6일간 일정으로 ... ...
줄의 열의일당량 측정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공부했다. 이 관계는 2년밖에 지속되지 않았지만 1834년 줄이 가업인 양조업을 이어받은
뒤
에도 과학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게 만든 계기가 됐다. 양조장에서 사용하는 증기기관을 전동기로 바꾸고 전동기에 대한 연구를 논문으로 발표하면서 1840년 줄의 법칙을 발견했다. 열의 일당량 측정 실험으로 1 ... ...
2. 은하의 먹이사슬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많이 읽고 많이 써야 논문도 잘 쓸 수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를
뒤
지는 한국인 INTRO X선에서 전파까지 합동수색작전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2. 은하의 먹이사슬 밝힌다3. 거대한 별의 인큐베이터 옆에서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5. 별의 유언을 ... ...
이전
961
962
963
964
965
966
967
968
9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