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무한 에너지 꿈꾸는 빛의 마술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렌즈도 연구 중인 주제다. 이 기술은 카메라의 줌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렌즈를 앞
뒤
로 움직이게 하는 모터를 액정 홀로그램 렌즈로 대체하면 전력 소모가 거의 없고, 작동 시간도 0.1초에서 0.001초로 훨씬 짧아집니다.”공 교수팀은 미세한 입체 조형기술인 ‘3차원 나노스테레오리소그래피’ ... ...
로봇은 노인의 친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상황이 아니면 거의 쓰이지 않는다 최근에는 장거리 탐지능력을 높이기 위해 선체
뒤
에 늘어뜨려 예인하는 TAS(Towed Array Sonar)와 물고기의 옆선처럼 잠수함의 측면에 소나를 일렬로 배열해 성능을 향상시키는 FAS(Flank Array Sonar)도 개발돼 사용되고 있다 영화 '붉은 10월' 등에 등장하는 소련 잠수함의 ... ...
순간이 세상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삶은 운명이다. 모든 생명체는 살아남기 위해 생체시계를 찰나로 맞췄다. 우주는 10-43초
뒤
에 빅뱅으로 탄생했다. 순간의 쳇바퀴가 돌아가며 세상이 움직이고 있다. 지금 당신은 순간의 힘을 느끼는가. 여기, 순간이 지배하는 세계가 펼쳐진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순간이 세상을 지배한다 ... ...
4. 우주는 뻥튀기한 것이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또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하면 우주공간의 모양을 알 수 있다. 우주배경복사에 나타나는
뒤
틀림의 정도가 중간에 거쳐 온 우주공간의 모양을 무심결에 드러내기 때문이다. 최근 우주배경복사의 관측결과에 따르면 우주는 매우 평탄한 것으로 밝혀졌다.인플레이션 이론은 우주의 등방성과 평탄함을 ... ...
바다를 알면 태풍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표층이 짜지는 고염화가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북서태평양의 경우 태풍이 지나간
뒤
분석한 아르고 자료의 약 78% 정도에서 저염화가 나타났다. 따라서 태풍시기의 강수가 해양의 염분에 더 지배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짐작할 수 있다. 염분보다 수온에 더 민감수온과 염분의 저하가 태풍의 세기에 ... ...
일본의 소행성 탐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진흙 퇴적물이 건조해 수축할 때 그 표면에 생기는 다각형의 균열 진흙이 물속에 쌓인
뒤
물이 마르면서 생기는데, 석호·호소 주변이나 하구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다고대부터 동양에서는 자미원, 태미원, 천시원을 합쳐 3원이라 하고 지상의 모습이 하늘에 투영된 중요한 지역으로 생각했다 ... ...
당신의 순간은 안녕하십니까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잠겨 있던 뉴턴 앞에 사과 하나가 떨어지던 바로 그 때 그의 머리를 스쳐간 생각이 20여년
뒤
만유인력법칙의 씨앗이 돼 과학혁명을 불렀다. 1854년 교과서를 집필하다 잠깐 잠이 든 케쿨레가 원자가 뱀처럼 꼬리를 물고 빙빙 도는 꿈을 꾼 순간 19세기 화학에서 가장 큰 의문이었던 벤젠화합물 구조의 ... ...
3. 생명은 빛보다 빠르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생존경쟁에 유리했다. 줄행랑 치기 챔피언인 바퀴벌레는 감각기관이 정보를 얻은
뒤
행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0.001초에 불과하다. 1초에 25번이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바퀴벌레는 지구의 역사에서 무려 3억년이나 생존하고 있다.포항공대 생명과학과 류성호 교수는 “특히 생체 내부의 ... ...
세균 정수기 나왔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8월 29일 미국화학회 정기회의에서 발표됐다.먼저 얇은 막에 세균을 붙여 자라게 한
뒤
이를 말아 머리카락 두께의 끈으로 만든다. 이 끈을 원통형 다발로 만들어 그 안에 수소를 채운 다. 이렇게 만든 7000개의 다발을 높이1.5m의 원통에 채우면 1분에 4~8L의 물을 정화할 수 있다.로켓 연료와 불꽃놀이에 ... ...
생명과학이 만드는 아름다운 예술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모습. 사람의 치아를 1×1×3mm 크기의 막대 형태로 만들어 토끼 턱뼈에 이식한 다음 3주
뒤
뽑아내 관찰했다. 그러자 치아를 파괴하는 파치세포가 상아질을 제거하는 것이 관찰됐다. 전자현미경 배율 4000배로 찍은 작품. 인체에서 가장 단단한 조직인 상아질을 흡수하는 파치세포는 생존을 위해서라면 ... ...
이전
964
965
966
967
968
969
970
971
9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