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스키"(으)로 총 3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혈당 스파이크? 기자가 직접 확인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나는 단맛은 대부분 감미료이기 때문에 당이 그리 많지 않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위스키 같은 증류주는 증류 단계에서 포도당이 모두 걸러집니다. 증류는 알코올의 끓는점(78.37℃)과 물의 끓는점(100℃)이 다른 원리를 사용해서 순수한 알코올만을 추출해 술의 알코올 도수를 높이는 작업입니다. ... ...
- Part 3. FRUIT, BEER, MAKGEOLLI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막걸리는 숙취 때문에 마시기 힘들다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 사람들은 사실 와인이나 위스키, 청주도 마시지 않아야 한다. 모든 발효주에는 숙취를 가져오는 원인 물질인 아세트알데이히드가 들어있기 때문이다. 숙취가 심한 사람은 두 가지 경우다. 너무 많이 마셨거나, 아세트알데히드를 ... ...
- [Culture] 기계공학자의 눈으로 본 라테, 위스키 그리고 와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코팅하거나, OLED(유기발광다이오드)와 같은 재료를 균일한 패턴으로 코팅하는 데에도 위스키의 원리를 응용할 수 있다. [와인] 약물 전달에는 ‘와인의 눈물’ 마랑고니 효과는 사실 ‘와인의 눈물’로 잘 알려져 있다. 와인을 마실 때 우리는 보통 둥근 잔을 이용해 ‘스월링(와인을 마실 때 잔을 ... ...
- [Future] 내가 진정한 파란 꽃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능.파란 장미의 꽃말이다. 파란 장미는 자연적으로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일본의 위스키 제조회사인 산토리(Suntory)와 호주 벤처인 플로리진(florigene)이 유전자를 조작해 파란 장미를 만들었지만, 실제 색깔은 파랗다기 보다는 연보라에 가깝다. 아직까지 진정한 의미의 파란 장미는 탄생하지 ... ...
- [Issue] 유통기한, 넘겨도 괜찮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9년 5월부터 품질유지기한을 제품에 표시하도록 법이 바뀌었습니다. 한편 소주나 과실주, 위스키, 브랜디, 리큐르 같은 소위 ‘센 술’은 품질유지기한이 훨씬 깁니다. 제품에도 제조일자만 표시돼 있죠. 애매한 건 소주 회사들이 만든 낮은 도수의 주류인데요. 알코올 함량이 3~5%로 맥주 수준으로 ... ...
- Part 3. 최고의 빵 만드는 ‘태양의 손’은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포도당을 분해할 때 생기는 에탄올 중 이소아밀알코올이나 이소부탄올은 브랜디나 위스키 향을, 효모가 포화지방산을 만났을 때 생기는 초산이소아밀은 바나나처럼 달착지근한 향을 낸다.발효 속도는 생이스트 > 발효종 순고체와 액체 발효종을 넣은 반죽은 약 1.5배쯤 부풀어 있었다. 발효종은 ... ...
- 에펠탑 보면 떠오르는 와인은?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어떤 와인을 주문하는지 살펴봤답니다. 그랬더니 샹송을 틀어줬을 때 고객은 맥주나 위스키보다 와인을 훨씬 더 많이 주문했어요. 또 테이블보에 에펠탑 그림을 넣었더니 비싼 프랑스 와인을 더 많이 시켰다고 합니다.맛은 냄새(후각)뿐만 아니라 청각과 시각에 많은 영향을 받아요. 촉각도 맛에 ... ...
- 밀 VS 보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2호
-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쌀 다음으로 많이 먹는 곡식이었지만 요즘은 맥주나 위스키, 엿기름, 고추장을 만드는 데 주로 쓰이고 있어요. 보리는 따뜻한 기후에서 잘 자라며, 다 자라면 키가 1m 정도 돼요. 다른 맥류, 즉 밀이나 호밀, 귀리에 비해 탄수화물의 함량이 높고 칼슘, 철분과 같은 무기질과 ... ...
- 과학으로 갈 데까지 크리스마스 파티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등의 다양한 칵테일 제조법과 재료가 나타나기 시작했다.칵테일은 종류도 어마어마하다. 위스키, 브랜디, 보드카, 진처럼 증류주에 온갖 과즙, 탄산음료, 감미료, 방향료를 섞는다. 같은 재료를 섞더라도 비율에 따라서 맛이 천차만별로 달라진다. 현아가 파티에서 즐기기 딱 좋은 술이라고 판단한 ... ...
- ‘별 엘리베이터’ 킬리만자로과학동아 l2011년 08호
- 해서 ‘코카콜라 루트’라는 별명도 있다. 서쪽에서 오르는 마차메 루트는 반대로 ‘위스키 루트’라는 별칭으로 불린다.여름과 겨울, 밀림과 빙하가 공존하는 곳낮에는 여름, 밤에는 겨울. 하루 동안 사계절을 경험할 수 있다. 아래에는 열대 밀림, 정상에는 만년설. 산 하나에서 극과 극을 경험할 ... ...
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