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곡식"(으)로 총 98건 검색되었습니다.
- 1탄: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새들기사 l20240617
- 2. 참새 참새도 도시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새 입니다. 참새도 텃새죠. 참새는 곡식이 열리기 전에는 작은 곤충을 먹지만 추수기에는 곡식을 많이 먹습니다. 몸 크기는 10~15cm입니다. 몸 색깔은 검은빛을 띄는 갈색이고, 부리는 검은색 입니다. 참새의 둥지 보호 전략은 '잘 보이지 않는 곳에 둥지 짓기' 여서 둥지는 보기 힘듭 ...
- 새 TMI 4편- 겨울가객 두루미기사 l20240303
- 1,200~1,270mm 몸무게는 5,100~6,000g입니다.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가장 많이 관찰됩니다. 약 8000마리가 생존하고 있습니다. 먹이는 곡식의 낟알, 풀씨, 식물의 뿌리, 어류, 곤충류, 갑각류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겨울철새인 재두루미가 해가 갈수록 개체수가 줄고 있습니다. 저는 주남저수지에 두루미 쉼터 근처에서 재두루미가 ...
- 용산전쟁기념관-고대유물들기사 l20240218
- 긴 변에 잔손질을 하여 날을 만든 석기입니다. 특히 나무나 가죽을 주로 손질할 때 자주 쓰였습니다. 반달돌칼은 청동기 시대에 곡식의 낟알을 거둘때 사용하던 도구입니다. 모양이 마치 반달처럼 생겨서 반달돌칼로 부른 것입니다. 특히 이삭을 벨 때 자주 쓰이던 도구 입니다. 주먹도끼는 사냥을 하거나 짐승의 털과 가죽을 벗겨 내는데 사용되었어요. 또는 ...
- 스푼빌에서 이루어진 2024년 첫번째 현장교육 - 겨울철새 탐조기사 l20240129
- 앉아서 쉬어야 하는데 장대 같은 것을 흔들어서 못 앉게 하면 참새가 지쳐서 땅에 떨어지게 되면 시체들을 주었다고 합니다. 그럼 곡식이 생산량이 늘었을까요? 아닙니다 오히려 다른 곤충때의 습격으로 인해 대기근이 왔다고 합니다. 위 사건에서 말하고자 하는 내용은 생태계를 인간이 마음대로 건드리면 큰 재항이 올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이번 탐조는 ...
- 겨울나기 새를 위한 솔방울 모이주머니 만들기기사 l20240120
- 곡물 또는 견과류 , 노끈 ● 만드는 방법 1. 솔방울에 노끈을 묶고 땅콩버터를 꼼꼼히 발라줍니다. 2. 땅콩버터가 묻은 솔방울을 준비한 곡식과 견과류에 굴려줍니다. 3. 솔방울 모이주머니를 나무에 걸어줍니다. 솔방울 모이주머니를 나무에 걸어두고 관찰하였습니다. 가까이 가지 않고 거리를 두고 며칠을 지켜보았는데, 박새와 직박구리가 솔방울 모이주 ...
- 경쟁이 싫어 진화했습니다-멧밭쥐기사 l20231025
- ‘쥐’하면 땅에서 산다고 생각하는데요. (저도 마찬가지입니다.) 멧밭쥐는 작은 몸집으로 높게 자란 풀을 타고 다닙니다. 먹이는 곡식, 풀 위에 사는 곤충들을 잡아먹으며, 둥지마저 갈대나 억새, 벼와 같은 풀 위에 짓습니다. 왜 멧밭쥐는 땅이 아닌 풀위에서 살게 되었을까요? 이러한 궁금증을 풀어보고자 저는 10월 14일 서울시 마포구 하늘공원에서 ...
- 서울시에 꽃봉오리보다 더 작은 쥐가 산다고? 멧밭쥐 현장교육!(feat.하늘공원)기사 l20231016
- 멧밭쥐는 갈대나 억새, 벼 같은 벼과 식물의 잎을 엮어 테니스공 같은 둥근 둥지를 짓고 그 속에서 휴식하거나 새끼를 기르며, 곡식이나 곤충, 거미(늑대거미, 깡충거미와 같은 배회성 거미)를 먹이로 삼는 들쥐류입니다. 최근에는 꽃 속에 쏙! 들어간 모습으로 널리 알려져 인터넷상에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데요, 실제로도 동전 한 개와도 맞먹는 ...
- 고양이 풀, 캣그라스기사 l20230423
- 김수빈 기자 입니다. 혹시 캣그라스를 고양이에게 먹여 본 적 있나요? 캣그라스는 말 그대로 고양이가 먹을 수 있는 풀로, 식용곡식의 어린잎을 말합니다. 이번에는 고양이에게 캣그라스가 좋은 점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출처:네이버 블로그 첫 번째는 헤어볼을 토할 수 있게 유도합니다. 그루밍을 하는 고양이는 모두 헤어볼을 토하는 ...
- [챌린지] 만약 인간이 영원히 산다면? (9/8)기사 l20230418
- 될 것입니다. 그로인해 우리의 먹거리들은 가격이 계속 오르겠죠. 그중에서도 고기의 가격이 가장 많이 일어나게 되는데, 가축들은 곡식들이 많이 필요합니다. 사람보다 훨신 많이 먹죠. 그래서 고기는 흔한 음식이 되지 못하고 드물고 부자만 먹을수 있는 음식이 될 것입니다. 특히, 한국은 더욱더 심각해질 것입니다. 다른 나라보다 한국의 먹거리 가격기 ...
- 정월대보름의 풍속 1.기사 l20230205
- 함께 보름 명절의 음식으로 삼아왔다. 오곡밥에는 그 해의 곡식이 잘 되기를 바라는 뜻이 담겼다. 농사를 짓는 사람은 농사지은 곡식을 종류별로 모두 넣어서 오곡밥을 지었다. 특히 대보름날에는 다른 성을 가진 세 집 이상의 밥을 먹어야 그 해의 운이 좋다고 하여 여러 집의 오곡밥을 서로 나누어 먹었다. 또 그 날 하룻 동안 아홉 번 먹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