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화
투입
뉴스
"
섭취
"(으)로 총 1,603건 검색되었습니다.
건강기능식품, 어디까지 믿어야 하나
2016.06.19
미치는 영향을 살폈다. 그 결과 복수의 약을
섭취
하는 현대인의 경우 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
한다고 해서 크게 효과가 달라지지 않았다. 이덕환 서강대 과학커뮤니케이션협동과정 교수는 “식약처가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하려면 논문이 한 편만 있어도 된다”며 “심지어 어떤 식품은 논문 없이 ... ...
프로바이오틱스는 돈낭비다?
과학동아
l
2016.06.17
나왔다. 덴마크 코펜하겐대 올루프 페데르센 교수팀이 매일 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
하는 것이 건강한 성인의 대장 미생물 구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추적한 기존의 연구 7개를 임의로 뽑아 분석한 결과, 단 한 개의 연구만 유의미한 결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바이오틱스는 장을 건강하게 ... ...
“장내미생물이 뇌 자극해 살찌게 만들어”
2016.06.12
먹으면 쥐의 신경계가 자극돼 생리활성이 바뀐다는 의미다. 실제로 고지방식을
섭취
한 쥐는 혈당을 조절하는 호르몬인 인슐린의 분비가 활발해졌으며, 배고플 때 분비되는 호르몬인 그렐린의 분비도 늘어났다. 배고픔을 더 쉽게 느끼며 식이습관이 바뀌고 몸무게가 증가하게 된다는 것이다. ... ...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 동물?
과학동아
l
2016.06.04
슬로우 로리스의 전략은 이뿐만이 아니다. 몸집에 걸맞게 엄청난 양의 곤충을 충분히
섭취
하기 위해 남들이 건드리지 않는 곤충을 먹는다! 곤충도 다 같은 곤충이 아니다. 악취가 나거나 온 몸에 가시가 돋아 있어서 곤충을 주식으로 삼는 동물들조차 거들떠 보지 않는 종들이 있다. 슬로우 로리스는 ... ...
내가 먹은 닭고기엔 항생제 얼마나 들었나
2016.05.27
먹일 경우 항생제 내성균이 생길 수 있다. 또 이 내성균과 잔류 항생제가 닭고기를
섭취
하는 과정에서 체내에 쌓여 문제를 일으킬 여지가 있다. 국내 시험기관에서는 자체적으로 육류 내 항생제 잔류량을 측정하고 있지만 검사법이 제각각이어서 객관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연구진은 ... ...
한여름보다 따가운 햇빛, 5~6월 자외선을 피하려면?
2016.05.26
포도를 먹거나 와인을 한두 잔 마시면, 항균 항암 등 항산화 작용을 하는 폴라보노이드를
섭취
할 수 있어서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을 막을 수 있습니다. 포도와 와인에는 폴리페놀 성분이 많아서 자외선에 손상된 피부를 건강하게 해 줍니다. - pixabay 제공 ※ 참고문헌 ☞ https://www.sciencedaily.com ... ...
피해망상과 환각…조현병(정신분열증)의 원인은?
2016.05.23
심각성을 인식해 전문가를 찾아야 한다. 즉 선제적인 약물복용과 비타민D와 오메가3
섭취
를 포함한 영양요법, 인지행동요법(CBT) 같은 행동치료를 병행하면 큰 도움이 된다. 인지행동요법이란 자신의 상태를 마치 제3자가 바라보듯 들여다보면서 행동을 교정하는 심리치료법이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 ...
식이섬유, 무조건 많이 먹을수록 좋다?
동아일보
l
2016.05.23
자료를 분석한 결과 18세 이하 아동·청소년 중 약 60만 명은 식이섬유를 과다
섭취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 교수는 “식이섬유는 콜레스테롤 등 나쁜 영양소뿐 아니라 칼슘·비타민·미네랄 등 중요 영양소의 체내 흡수도 방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조건희 기자 becom@donga.com - [심규선 대기자의 ... ...
식물로 백신, 만들지 말입니다
2016.05.20
먹는다고 해서 사람이나 가축에게 바로 면역력이 생기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입으로
섭취
한 식물 백신이 소화·흡수 과정을 거쳐 면역시스템에 자리 잡는 과정이 예상보다 복잡하기 때문이다. 이에 항원단백질을 정밀하게 설계해 효능을 높이는 연구가 이어졌다. 잉아 히체로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72] 보톡스 맞으면 뇌도 마비된다
2016.05.16
관여하는 단백질을 파괴한다. 그 결과 신경신호가 전달되지 않아 근육이 마비된다.
섭취
량이 어느 선을 넘어 심장이나 호흡기 근육이 멈추면서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보툴리움톡신이 약물로 적용된 건 1970년대로 미국의 안과의사들이 사시를 치료하기 위해 도입했다. 사시는 안구의 움직임에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