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풍미
향미
미각
향기
정취
경험
d라이브러리
"
맛
"(으)로 총 1,576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과 더불어 사는 신세대로봇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중요한 기술이다. 그러나 아직 초보적인 명령을 따르는 수준을 머물고 있다. 냄새를 맡고
맛
을 보는 로봇이 등장했다는 소식이 들리기도 하지만 그 수준은 매우 낮다.이처럼 로봇의 감각기관이 발달하지 못한 것은 결국 로봇의 지능이 낮기 때문이다. 감각기관에서 들어온 신호를 해석해야 하는데, ... ...
고추의 매운
맛
은 자손 퍼뜨리는 수단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몬타나대학의 조슈 턱스베리 교수는 지난달 미국생태학회에서 “칠레고추의 매운
맛
이 겨냥하는 것은 고추의 씨를 씹는 포유동물”이라고 말했다. 대신 조류는 씨를 먹기는 하지만 소화시키지 않아 칠레고추의 씨를 새로운 서식지로 퍼뜨리는 역할을 한다.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들은 캡사이신을 ... ...
월척도 과학으로 낚는다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떡붕어는 거의 힘이 없다. 잡은지 얼마되지 않아 온몸이 뻘겋게 피멍이 드는 떡붕어는
맛
이나 약발도 토종붕어보다 떨어진다고 한다. 붕어도 '신토불이'(身土不二)인 모양이다.재작년부터 유료낚시터에 중국산 붕어가 눈에 띄고 있다. 씨알이 25-30cm로 굵어 인기를 끄는 이 붕어는 토종붕어와 체형이 ... ...
입안에서 사르르 아이스크림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놀이 공원 같은 곳에서 볼 수 있는 즉석에서 만들어 먹는 소프트 아이스크림이 약간 거친
맛
을 내는 것은 일반 아이스크림에 비해 주입되는 공기의 양이 훨씬 적기 때문이다. 여기에 재료들이 충분히 섞이도록하는 숙성과정이 없는 것도 한 요인이다.월드콘은 밥 반공기아이스크림을 먹으며 ... ...
우주여행의 파이어니어들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수상 흐루시초프의 장난기 때문이었다. 그는 우주비행사들이 기록을 갱신하는데 흠뻑
맛
을 들이고 있다가, 뭔가 특별한 것을 해보고 싶었는데 그게 바로 여성우주비행이었다.이후 테레슈코바는 가가린만큼이나 유명인사가 됐다. 또 우주비행사 중 유일한 총각이었던 니콜라예프와 자의반 ... ...
내 몸의 건강지표 소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당뇨병은 애초에 소변에 당이 섞여 있다고 해서 붙여진 병명이다. 소변의
맛
을 본다면 단
맛
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본래 혈액 중의 당은 사구체에서 여과됐다가 거의 모두 재흡수 돼 소변에는 극히 미량만이 나오게 돼 있다. 그런데 당뇨병 환자는 혈액 중 당의 농도가 높으므로 여과된 소변의 당 ... ...
3. 민주주의 앞당긴 염료의 역사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정보를 전해주는 동시에 위험도 막아준다. 심지어 우리가 먹는 음식물도 그 색깔에 따라
맛
이 다르게느껴진다. 뿐만 아니라 색깔은 그림이나 조각과 같은 예술품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 요소다.색깔을 이용한 역사는 아주 오래됐다. 프랑스의 라스코동굴에는 기원전 1만5천년 전에 빨강, 노랑, ... ...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과학마술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이를 쓴
맛
으로 느낀다. 스테인리스 스틸 수저에 비해 은수저로 실험했을 때 더 쓴
맛
을 느낀다. 그 이유는 철보다 은이 알루미늄과의 반응성 차이가 커서 좀더 높은 전압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만약 충치 때문에 금이나 아말감으로 치료를 한 사람은 알루미늄 포일을 씹기만 해도 전기적인 충격을 ... ...
삼복더위와 누렁이의 수난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그러나 고통과 스트레스로 인해 아드레날린 분비가 많아져 오히려
맛
없는 고기가 될 수 있다. 역사가들은 복날 개 패듯 하는 도살법이 우리 민족의 문화적인 특성 때문이라고 설명하기도 한다. 농경민족으로 오랫동안 살아오면서 동물을 도살하는 요령이 발달하지 못했기 ... ...
미생물 조절하는 생물공학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느껴지지 때문이었다. 설탕이 없던 시절 용케도 찾아낸 자연의 단
맛
, 옥수수 속대의 단
맛
이 현대에 가장 획기적인 당분으로 재탄생했다. 이름하여 자일리톨. 당도는 설탕과 같지만 충치균이 얼씬 못해 껌이나 사탕에 제격인 감미료다. 입안에 넣는 순간 ‘쏴 -’ 하는 청량감으로 모두의 사랑을 받고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