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맛
미감
풍미
기호
신호
명칭
서명
뉴스
"
미각
"(으)로 총 170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do감] 걸어 다니며 바다맛 보는 물고기 '바다로빈'
동아사이언스
l
2024.09.27
삽 같은 모양을 하고 있었고 표면은 혀의 미뢰 같은 돌기로 덮여 있었다. 돌기에는
미각
수용체가 있어 모래 속에 묻혀 있는 단일 아미노산 캡슐을 찾아낼 정도로 화학적 자극에 민감했다. 바다로빈 중에서도 모래를 파는 행동을 하는 종과 하지 않는 종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래를 파헤치지 ... ...
[동물do감] 물속 산소 농도, '맛'으로 알아내는 물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24.09.13
호흡이 촉진됐다. 일반적으로 산소 농도가 낮으면 호흡이 촉진된다. 연구팀은 "미뢰가
미각
신호를 감지하는 기능 외에 호흡 조절 기능까지 수행하는 것"이라며 "동일한 생물학적 구조가 어떻게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라고 설명했다. 또 "수중 산소 농도를 '맛보는' ... ...
"옷깃 스쳐도 고통" 신경병성 통증, 최대 65% 줄이는 약물
동아사이언스
l
2024.08.30
것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길항제는 낮은 농도에서도 P2X3R의 활성을 강하게 억제하고
미각
상실과 같은 부작용을 낮출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쥐 실험을 통해 성능을 테스트한 결과 최대 65%의 통증 완화 효과를 보였다. 김용철 교수는 "현재 사용되는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제를 보완할 신약의 ... ...
코로나19 후유증 '브레인포그' 원인 밝힐까…뇌 감염 돕는 돌연변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8.23
중요한 조절인자로 보인다"고 말했다. 코로나19 감염은 호흡기 증상 외에 후각과
미각
상실, 브레인 포그 등 신경학적 증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브레인 포그는 뇌세포의 직접적인 감염 때문인지 아니면 감염 이후 지속되는 면역 반응 때문인지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 ... ...
[푸드테크 뜬다]⑩ 초밥과 케이크도 인쇄하듯 찍어내는 '3D 푸드 프린팅'
동아사이언스
l
2024.08.16
오뎅 같은 복잡한 음식을 3D 프린터로 인쇄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오뎅의 경우 맛을
미각
센서로, 모양은 3D 스캐너로 디지털화한 뒤 젤리 소재로 알갱이를 인쇄해 조립한다. 스시는 작은 밥알갱이를 먼저 인쇄하고 쌓아올리는 방식이다. 민간인의 우주 여행 시장이 열리면서 우주식량을 ... ...
냉방병인 줄 알았는데…코로나 의심 증상은?
동아사이언스
l
2024.08.12
호흡곤란 등이 발생한다. 냉방병 증상 이후 시간이 지나도 호전되지 않거나 후각·
미각
상실 같은 코로나19 특이적인 증상이 보이면 코로나19 검사를 받도록 한다. 냉방병은 사전 예방이 중요하다. 냉방기 필터를 최소 2주에 한 번씩 청소하고 세척 후에 충분히 말려야 한다. 냉방기 사용 시 실내 ... ...
선풍적 인기 비만치료제, 체중감소 원리 세계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최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음식을 보거나 냄새만 맡아도 결과를 통해, 우리의 시각이나
미각
을 담당하는 뇌의 영역이 시상하부의 GLP-1 수용체 신경회로에 어떤 작용을 하는 경로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하지만 이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진 바가 없어 추가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짠맛 증폭시키는 숟가락 등장…저염 식습관에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4.05.21
숟가락에 얹은 음식이나 침에 있는 나트륨 이온(Na+)을 혀 근처로 끌어당긴다. 혀의
미각
세포를 자극해 짠맛을 강하게 느끼도록 하는 원리다. 짠맛은 실제보다 약 1.5배 강해진다. 라면이나 된장국 같은 경우 이전보다 소금을 약 3분의 1 적게 넣더라도 짠맛은 더 강하게 느낄 수 있다. 숟가락 ... ...
쓰지 않은 약 나올까…서서히 베일 벗는 '맛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4.05.06
것으로 확인됐다. 이같은 메커니즘은 쓴 맛 수용체의 활성화를 유도해 뇌의
미각
피질로 신호를 보내면 뇌가 쓴 맛을 감지하는 것이다. 복잡한 신호 체계는 일순간에 발생했다. 연구 논문의 1저자인 김유중 노스캐롤라이나대 박사후 연구원은 "이전까지는 단 맛, 쓴 맛, 감칠맛의 수용체 구조에 ... ...
고혈압 원인 '소금 과다섭취' 조절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5.02
이용해 나트륨 결핍 상태가 소금 선호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했다. 소금에 대한
미각
센서가 작동하지 않는 'Ir76b' 돌연변이 초파리도 나트륨 결핍 상태일 땐 소금을 선호했다. 나트륨 섭취에 대한 욕구는 짠맛 때문만이 아니라 나트륨 결핍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